+ | ||||
---|---|---|---|---|
국가체제 | 장성맹주 · 혼두이트 · 은 나두히리닐드 | |||
문화 | 훔웨화카튼 · 화칸어 · 재민 · 거신신앙 | |||
역사 | 티카 · 가시발톱 섬 · 큰주머니 섬 · 목토인 · 목토어 | |||
남극해 무력시위 · 티펠라트리아 국가평의회 |
사용 민족 | 목토인 |
---|---|
사멸 | 기원전 6천년 경 |
언어 계통 | 한카엔지어족 티카어파 목토어 |
언어코드 | HE-MK |
사전 | [ 목토어_사전] |
개요
목토어(목토어: 木土言)는 티카 최초의 고등생명체인 목토인이 사용했던 것으로 추측되는 언어이다. 원어 발음에 따라 모클라응얀이라고도 한다.
명칭
명칭 | |
---|---|
목토어 |
木土言 |
무르무르어 |
Móthan |
시메타시스어 |
Motlan |
자소크어 |
Motlan |
퍈프소븜 |
fjan mokto, fjan mokxlanjan |
헤이어 |
Moqrlabuju(국내표준) Vokhlabudzu(국제표준) |
한국어 |
목토어 |
영어 |
Mokhlanese |
한문 |
木土語, 木土言 |
안드로어 |
ahrxhdj |
메다어 |
ivx'vjt |
역사
음운
양순 |
치경 |
연구개 |
구개수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
비 |
m̥ ⟨hm⟩ |
m ⟨m⟩ |
n̥ ⟨hn⟩ |
n ⟨n⟩ |
ŋ̊ ⟨hng⟩ |
ŋ ⟨ng⟩ |
||
파 열 |
p ⟨p⟩ |
b ⟨b⟩ |
t ⟨t⟩ |
d ⟨d⟩ |
k ⟨k⟩ |
ɡ ⟨g⟩ |
q ⟨q⟩ |
ɢ ⟨x⟩ |
파 찰 |
t͡s ⟨ts⟩ |
d͡z ⟨dz⟩ |
||||||
마 찰 |
s ⟨s⟩ |
|||||||
접 근 |
ɹ̊ ⟨hr⟩ |
ɹ ⟨r⟩ |
||||||
설측 접 근 |
l̊ ⟨hl⟩ |
l ⟨l⟩ |
|
전설 |
중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j⟩ |
u ⟨u/w⟩ | ||||
중 고 |
e ⟨e⟩ |
o ⟨o⟩ | ||||
중 |
ə ⟨y⟩ |
|||||
저 |
a ⟨a⟩ |
예문
세계인권선언
弟一木 |
---|
人于今火 自水于生 光而利同 受良于天 相行血心 |
dijq qjit mok |
---|
njin wja krjym khwajq. dzjits hljijq wja sreng, kwangs njy hrjits dong. djuq hrjang wja hlin, stjangs grang hwit sjym. |
디잏 힅 뫀 |
---|
늰 우야 끄렴 콰잏. 즻 흘릐잏 우야 스렝, 꽝스 녀 흐릧 동. 듛 흐량 우야 흘린, 스땽스 그랑 휱 셤. |
한글 표기법
자모 | 모음 앞 | 자음 앞, 어말 |
보기 | |
---|---|---|---|---|
자음 | b | ㅂ | - | |
d | ㄷ | |||
dz | ㅈ | |||
g | ㄱ | |||
h | ㅎ | 흐 | ||
hl | 흘리 | - | ||
hm | 흠 | |||
hn | 흔 | |||
hng | 흥 | |||
hr | 흐ㄹ | |||
j | 이, 으[9] | |||
k | ㄲ | ㅋ | ||
kh | ㅋ | - | ||
ks | - | ㄳ | ||
l | ㄹ, ㄹㄹ | - | ||
m | ㅁ | |||
n | ㄴ | |||
ng | ㅇ | |||
p | ㅃ | ㅍ | ||
ph | ㅍ | - | ||
ps | - | ㅄ | ||
q | ㅎ | |||
r | ㄹ | - | ||
s | ㅅ | 스 | ||
t | ㄸ | ㅌ | ||
th | ㅌ | - | ||
ts | ㅉ | ㅊ | ||
tsh | ㅊ | - | ||
w | 오, 우 | |||
x | ㅎ | |||
모음 | a | 아 | ||
e | 에 | |||
i | 이 | |||
o | 오 | |||
u | 우 | |||
y | 어 |
조어 방법
목토어의 한자음은 상고한어에서 따온 것이다. 즉, 목토어의 단어는 상고한어 시기에 쓰인 한자로 되어 있어야만 한다. 이를 알기 위해서는, 해당 사이트에 원하는 한자를 검색하여 갑골문이나 금문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다. 만약 검색 결과가 없다면, 원하는 한자를 파자하여 부수만 취한다.
이렇게 검토를 거친 한자는 해당 사이트에서 다음 단계를 밟는다. 원하는 한자를 검색하면 여러 가지 재구가 나오는데, 그 중에서 白一平 즉 윌리엄 벡스터의 것을 가져온 다음 규칙에 따라 약간씩 변형한다.
도보게
각주
- ↑ 2024년 12월 28일 17시 04분 23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語가 아니라 言이다.
- ↑ 북메디아 해협 사이에서 사용되는 야마타이 계통의 언어
- ↑ 자텐다 황금전단 국경 남부에 거주하던 야마타이계 언어 화자들이 썼을 것이라고 추측되는 야마타이 계통의 언어
- ↑ 이렘나 철랑대 셰헤카사 제도에서 사용했다고 알려지는 다이와계 언어
- ↑ 현 이렘나 반도에 정착했던 텐메이계 종족인 아스메인들의 언어
- ↑ 이렘나 철랑대 셰헤카사 제도에서 현재 사용하는 텐메이계 방언
- ↑ i 앞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