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국가 | ![]() |
---|---|
사용 지역 | 아트레니스카 |
사용 민족 | 랑족 |
언어 인구 | 약 200만명 |
어순 | SOV |
언어 계통 | 한카엔지어족 랑어파 랑어 |
언어코드 | RN-RK |
사전 | [ 랑어_사전]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표준 | 요츠나이토지라 방언 |
표기문자 | 신성문자 |
개요
랑서국의 공용어이다.
문법
일본어족과 유사한 교착어이다. 근대일본어와 그 특징을 많이 공유한다.
음소는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50음도에서 ゐ와 ゑ가 추가되었고, を가 조사 이외에서 더욱 범용적으로 쓰인다. 또한 あ단 뒤에 う나, う단 뒤에 を가 붙으면 이는 お단의 장음과 일치한다.
단어
표기법
지호키(字表記)
모든 글자를 신성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요고토가 주로 이와 같은 표기를 사용한다. 현대에는 카나효우키에 밀렸지만, 지금도 랑어 식자층 다수는 지호키를 어느정도 읽을 수 있다.
카나효우키(仮名表記)
신성문자와 가나를 섞어쓰는 표기이다. 주로 가타카나를 사용한다.
칸젠카나효우키(カンザンガナヒヨウキ)
한자를 배제하고, 가타카나로만 표기하는 방법이다. 금속활자가 수입된 이후, 많은 양의 한자(랑어의 경우 벽자와 국자도 사용된다)를 사용하기 어려워서, 가타카나로만 표기한 것이다. 필요에 따라(사실 대부분의 경우에서) 의미소끼리 밑줄로 묶어 표기한다. 따라서 위의 내용을 밑줄을 그어 표기하면 カ ン ザ ン ガ ナ ヒ ヨ ウ キ가 된다.
회화
此日洋 / 此ノ日ヤ / コニャヤ / 코냐 안녕하세요
狼幸賀着畏太 / 狼ヅ幸ガ着ヰタ / ランヅシウガツヰタ / 란즈시오가츠이타 안녕하세요(천랑의 복이 닿았다)
反偉恵卽良左 / 反ヰレバ良ウサ / カヰレバヨウサ / 카이레바요사 고맙습니다((이 은혜를) 어떻게 돌려줘야할지..)
狼幸賀着良 / 狼ヅ幸ガ着ク良ニ / ランヅシウガツクヨウニ / 란즈시오가츠쿠요니 안녕히가십시오(천랑의 복이 닿기를)[3]
-言 / -ノイ / -노이
~입니다, ~인 것
我以洋A言 / 我シヤAノイ / ワシヤAノイ / 와시야A노이 저는 A입니다
亜他洋誰衛在末假 / 亜他ヤ誰衛在ツカ / アノタヤダレデツカ / 아노타야다레데츠카 당신은 누구십니까?
在生曰太 / 在ル曰ヰタ / テルトユヰタ[4] / 테루토유이타 (누가) ~라고 말했다
배우기
외교 목적을 제외하곤 외지에서 배울 수 있는 곳이 많지 않다. 다만 신세이어, 야마토어와 비슷한 구석이 많다.
도보게
각주
- ↑ 2025년 2월 22일 17시 06분 45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짧게 着ク良ニ라고 줄여쓰기도 한다.
- ↑ 다만 과거에는 テアルトユヰタ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