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역사 | 문화 | 정치 | 경제 | 군사 |
지리 | 언어 | 외교 | 기술 | 전쟁 |
Arteutiches Rheik+ Kreizertum Arteuterrheik, Tainatio di'Aytoit | ||
---|---|---|
아르토이트 제국 | ||
| ||
표어 | Due Survente dus Rheik unf Mensh sind meines Gleure unf Arteut. 국가와 인류에 대한 충성은 나의 영광과 아르토이트일지어다.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색 | 아르토이트 슈바르츠(black) 아르토이트 바이스(white) |
---|---|
역사 | |
이전 형태 | ![]() ![]() ![]() ![]() |
베니치 대공국 | 4637년 2월 13일 |
바움베니치 연합왕국 | 4661년 2월 11일 |
아르토이트 왕국 | 4665년 |
아르토이트 제국 | 4700년 |
미세자리아 연합 합병 | 4796년 6월 6일 |
지리 | |
수도 | 토이틴부르크 (Teutinburg) |
국가 코드 | |
2자코드 | AR |
3자코드 | ART |
한자약칭 | 亞(아) |
HerrWeiss |
개요
아르토이트 제국은 남메디아와 펠레마에 걸쳐 존재하는 국가이다.
명칭
언어 | 명칭+ |
---|---|
Arteutiches Rheik (정식명칭) Kreizertum Arteutichesrheik (통칭) | |
Девлети Аатоит | |
Atoit Şaisveazsa | |
Taartoit jer Defeis | |
![]() |
Hartriliy Tiylamhteva |
961022 0825, 961022 | |
![]() |
Anümora Árenne, Mora re Anü Tánie[3] |
vekina nuit artoitien | |
![]() |
es'Tiylam k'Hartiytz |
Tainatio di'Aytoit | |
![]() |
ارتويت قلمرو |
![]() |
Vánalkan Lázimir 'Ertóydem |
Imperium Artoïtas | |
![]() |
le Artoid Emücin |
gok knaunt artoit | |
![]() |
Νοπυμ μιϟυιαρμα φωτηρ Ααρυτοιτα |
Artoit Exurop(국내표준) Artoit Ekhurop(국제표준) | |
![]() |
아르토이트 제국 |
dkfmxhdlxm wprnr | |
jfyg'vjd'g lckbx |
국호
현재 아르토이트 제국을 지칭할 때 흔히 쓰는 "Arteutiches Rheik"는 아르토이트 왕국 시기부터 사용하게 된 국호이며, 이는 "아르토이트 국민국가"를 의미하는 단어이다. 이 명칭은 아르토이트 제국 천명 이후에도 계속 사용되었다. 아르토이트인이나 학자들은 두 시기를 구분하고자 할 때 아르토이트 왕국은 "Kronikertum Arteutichesrheik(크로니커툼 아르토이티셰스라히크)" 혹은 "Arteutiches Kronikerrheik(아르토이티셰스 크로니커라히크)"로 부르고, 아르토이트 제국은 "Kreizertum Arteutichesrheik(크라이저툼 아르토이티셰스라히크)" 혹은 "Arteutiches Kreizerrheik(아르토이티셰스 크라이저라히크)"로 부른다.
아르토이트 자체를 통칭할 때는 "Das Rheik"나 "Arteuterrheik"와 같은 명칭을 쓴다. 이것은 아르토이트인들이 자신들의 국가에 갖는 애국심을 보여주는 요소이다. 특히 Arteuterrheik라는 명칭은 '아르토이트'를 한 국가의 이름이 아니라, 하나의 정체성으로서 생각한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아르토이트어에서 명사가 합성어가 될 때 -er가 붙어 곡용하는 것은 일반명사 중 인물명사만이 해당되는 문법이기 때문이다.
오직 아르토이트에만 Rheik라는 단어를 사용하며, 그 외의 국가에는 국가, 땅을 나타내는 단어인 'Land'를 이용한다. 단 하나의 예외가 있다면, 그것은 아르토이트로서의 정체성의 근원인 부토니에를 지칭할 때이다. '아르토이트' 자체가 '새로운 부토니에'라는 의미이므로, 자신의 출신근원으로서의 부토니에를 향한 아르토이트인의 국민의식을 엿볼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주로 Teutiches Rheik라는 명칭을 쓴다.
자세한 내용은 아르토이트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역사
자세한 내용은 아르토이트 제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보게
+ 헤멜바토니에의 국가와 지역 | |||
---|---|---|---|
![]() 일라스파니 스티칼리바 |
![]()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 | |
베하니아 |
![]() 리프노이 |
헤멜바르트 |
아르토이트 제국(4700. 0. 0 ~)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0000. 0. 0 ~)
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992. 2. 11 ~)[4]
헤멜바르트 제국(377. 4. 6 ~)
리프노이(994. 5. 5 ~)[4]
+ 메디아 해협의 국가와 지역 | |||
---|---|---|---|
유인공 |
이랑 |
![]() 세멘티 |
아르토이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