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괘선은 오팔투 통신체계 중 하나로, 단순한 도형과 형형색색의 빛으로 표현하는 언어이다. 조도 감지 기관과 발광 기관을 가진 오팔투의 일부 개체가 흉내이리와의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만들어냈다.
명칭
명칭 | ||
---|---|---|
![]() 괘선 |
| |
![]() 가베어 |
goesn | |
사삼오일 |
||
퍈프소븜 |
kagil ufsovm uxjuk | |
![]() 한국어 |
괘선 | |
![]() 영어 |
Ruled Line | |
![]() 일본어 |
罫線 | |
![]() 한문 |
||
안드로어 |
rhotjs | |
메다어 |
k/rnts |
문법
- 괘선은 5×5 규격의 발광 기관을 사용한다. 보통 오팔투의 얼굴이나 가슴 정도로 보이는 위치에 달려 있다. 위키 상에서는 틀:괘선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칸 별로 번호가 부여되어 있다. 좌상단은 1, 정중앙은 13, 우하단은 25이다.
- 기준자: 25번 칸에는 보통 방향 지시와 성질 표시를 나타내는 문자가 들어가며, 이를 "기준자"라고 한다. 단, 1차 발광으로 모든 의미를 담을 수 없는 경우 일반적인 괘선으로 대체되어 나타난다.
- ◇◆: 명사를 의미한다. 번호 뒤에 ㅅ 또는 ㅈ을 입력한다.
- ○●: 동사를 의미한다. 번호 뒤에 ㅇ 또는 ㅎ을 입력한다.
- □■: 문장을 의미한다. 번호 뒤에 ㅁ 또는 ㅂ을 입력한다.
- 색: 위키에서는 헥스 코드를 활용한다.
- ◆: #000는 인류, 즉 세계를 살아가는 모든 지적인 고등 생명체를 상징한다. 대척점인 #fff는 시스템 작동 정지 즉 죽음 이후를 의미한다.
- ◆: 기체를 상징한다. 탄소 생명체의 생리 현상과 같이 생명 유지를 위한 기본적인 욕구 충족 행위와 전후의 여러 단계들을 나타낸다.
- ◆: 고체를 상징한다. 물리적인 힘을 동원하여 어떠한 물체의 상태를 바꿀 수 있다고 보는 모든 행위와 그 결과물을 나타낸다.
- ◆: 액체를 상징한다. 기본적으로 소통을 의미하고, 소통을 위해 필요한 기억 능력이나 연산 능력 등 소위 지능을 동원하는 모든 행위를 나타낸다.
- ◆: 기체와 고체를 상징한다. 물리력이 필요한 욕구 충족 행위를 강조해서 나타내거나, 별개의 두 개념을 하나로 묶어서 표현해야 할 때 사용한다.
- ◆: 고체와 액체를 상징한다. 지능과 물리력을 모두 동반하는 행위를 나타내거나, 별개의 두 개념을 하나로 묶어서 표현해야 할 때 사용한다.
- ◆: 기체와 액체를 상징한다. 지능이 필요한 욕구 충족 행위를 강조해서 나타내거나, 별개의 두 개념을 하나로 묶어서 표현해야 할 때 사용한다.
단어
자세한 내용은 괘선/단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회화
예문
세계인권선언
│─●┼┤ │■─●│ │■┼┌┤ └──┴◇ "세계인권선언" |
┤●●││ │├●┬┤ ├┼┐●├ └┴┴┼□ "세계인권선언 1조" |
도보게
각주
- ↑ 2025년 5월 15일 07시 46분 40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