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지역 | 사뭇우미티투카마타타삼포닷티타페구피투누시마 |
---|---|
사용 민족 | 삼파시마인 |
어순 | SOV |
유형 | 교착어 |
언어 계통 | 한카엔지어족 엔지어파 삼파시마어 |
초기형태 | 엔지어 |
언어코드 | HE-SM |
사전 | [ 삼파시마어_사전] |
개요
삼파시마어(삼파시마어: 鯖島語)는 아트레니스카의 작은 섬인 사뭇우미티투카마타타삼포닷티타페구피투누시마의 원주민 삼파시마인들의 언어이다.
명칭
명칭 | |
---|---|
삼파시마어 | 鯖島語 |
자소크어 |
J Sampasimaspika |
![]() 한국어 |
삼파시마어 |
![]() 영어 |
Sampasiman |
![]() 일본어 |
鯖島語 |
![]() 한문 |
鯖島語 |
안드로어 |
tkavktlakdj |
메다어 |
nfzpfndifjt |
역사
음운
양순 |
치경 |
연구개 |
성문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
비 |
m ⟨m⟩ |
n ⟨n⟩ |
ŋ ⟨n⟩ |
|||||
파 열 |
p ⟨p⟩ |
b ⟨b⟩ |
t ⟨t⟩ |
d ⟨d⟩ |
k ⟨k⟩ |
ɡ ⟨g⟩ |
ʔ ⟨-⟩ | |
마 찰 |
s ⟨s⟩ |
z ⟨z⟩ |
|
전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 |
u ⟨u⟩ | ||
저 |
a ⟨a⟩ |
한글 표기법
대응 | 영문 | 발음 | 한글 |
---|---|---|---|
ア イ ウ | a i u | ʔa ʔi ʔu | 아 이 우 |
カ キ ク | ka ki ku | 카 키 쿠 | |
サ シ ス | sa si su | sa sz sz | 사 시 수 |
タ チ ツ | ta ti tu | ta tz tz | 타 티 투 |
ナ ニ ヌ | na ni nu | 나 니 누 | |
ハ ヒ フ | pa pi pu | 파 피 푸 | |
マ ミ ム | ma mi mu | 마 미 무 | |
ヤ イ ユ | da di du (-t) |
da dz dz (-t) |
다 디 두 (-ㅅ) |
ラ リ ル | ga gi gu (-k) |
가 기 구 (-ㄱ) | |
ワ ヰ ウ | ba bi bu (-p) |
바 비 부 (-ㅂ) | |
ン | m n | m n ŋ | ㅁ ㄴ ㅇ |
ガ ギ グ | nka nki nku | ŋka ŋki ŋku | (-ㅇ) 카 키 쿠 |
ザ ジ ズ | nsa nsi nsu | nsa nsz nsz | (-ㄴ) 사 시 수 |
ダ ヂ ヅ | nta nti ntu | nta ntz ntz | (-ㄴ) 타 티 투 |
バ ビ ブ | mpa mpi mpu | (-ㅁ) 파 피 푸 |
조어 방법
삼파시마어는 일본어의 단순 변형이다.
- 기본적으로 상기 대응표를 따라 자모음을 변형한다.
- 조사의 탁음은 선비음이 없이 단순 청음으로 변형한다.
- /w/는 모음 앞에서 b, 자음 앞·어말에서 p로 옮긴다.
- /j/는 모음 앞에서 d, 자음 앞·어말에서 t로 옮긴다.
- /r/는 모음 앞에서 g, 자음 앞·어말에서 k로 옮긴다.
- /Q/는 선행하는 모음을 첨가한다. (matta → matata)
도보게
각주
- ↑ 2025년 2월 22일 23시 58분 2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북메디아 해협 사이에서 사용되는 야마타이 계통의 언어
- ↑ 자텐다 황금전단 국경 남부에 거주하던 야마타이계 언어 화자들이 썼을 것이라고 추측되는 야마타이 계통의 언어
- ↑ 이렘나 철랑대 셰헤카사 제도에서 사용했다고 알려지는 다이와계 언어
- ↑ 현 이렘나 반도에 정착했던 텐메이계 종족인 아스메인들의 언어
- ↑ 이렘나 철랑대 셰헤카사 제도에서 현재 사용하는 텐메이계 방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