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gdun Exurop | ||||
---|---|---|---|---|
역사 | 지리와 행정구역 | 문화 | ||
경제 | 정치와 군사 | 외교 |
개요
자소크력 5276년 1월 10일 주남산단과 주배산단의 무장반란에서 촉발된 혁명으로, 3천년 역사를 자랑하는 앙둔 제국을 무참히 무너뜨린 역사적인 사건이다.
발단
앙둔의 쇠퇴
사실 앙둔 제국은 아주 오래 전부터 망국의 길을 걷고 있었다. 그 시작점에 대해서는 수많은 주장이 난립하는데, 대체로는 아르토이트 징벌전쟁 패전을 꼽는다. 학자에 따라서는 그보다 뒤에 있었던 신산구 농단 사건이나 공포의 새천년을 말하기도 하고, 심한 경우에는 앙둔 제국이 육상으로 진출한 것 자체가 망국의 징조였다 보기도 한다. 다만 그 어떤 학자를 불문하고, 남극해 전쟁 패전이 결정적인 이유라는데에는 이견이 없다.
혁명의 불씨
상술한 사건들로 하여금, 앙둔 제국의 국민들은 현실을 깨닫고 정부에 불만을 가지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앙둔 제국에 살면서 속시원하게 불만을 토로할 방법이라곤 존재하지 않았으며, 들끓는 마음을 억지로 눌러가며 알맞는 때를 기다려야만 했다.
- 육상 진출의 여파: 자국의 기술력에 자부심을 가졌던 갑인들은 자소크 철학단, 한카 교회국, 아르토이트 제국 등을 통해 신기술을 접함으로써 한 차례 기세가 꺾이고야 말았다. 또한 문화적 차이가 너무나도 컸던 탓에 앙둔산 제품들은 소비자층을 공략하는데 실패하였으며, 이는 곧 기업제국으로서의 정체성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했다는 비참한 결과로 이어졌다. 만학단 운동 이전까지 대부분의 국민은 국가가 배정해주는대로 마치 일개 부품처럼 살아야 했으므로, 원망의 화살이 정부에게 향하게 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이었다.
- 아르토이트 징벌전쟁: 미세자리아 연합을 도우려 호기롭게 참전한 것까지는 좋았으나, 갑인의 자랑스러운 마장병기 껴제모걀이 세운 공이 마땅찮았던데다 종전도 자못 찜찜하게 이루어지자 관련 종사자들은 허무함을 토설하였다. 거기다, 기껏 완공한 미세자리아로가 순식간에 십자로로 개칭되고 전후 배상을 위한 교통로로 쓰이게 되자 패배감은 더욱 커졌다.
작성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