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동레니스카어족]]
[[분류:동레니스카제어]]
{{상위 문서|사스투아 회의}}
{{상위 문서|사스투아 회의}}
{{사트}}
{{사트}}
5번째 줄: 5번째 줄:
{{언어 정보
{{언어 정보
| 이름 = 아양와챠어
| 이름 = 아양와챠어
| 자기이름 = Ajagŵaĉag Ĝĥ
| 자기이름 = Ayagŵaĉa ĝ
| IPA = ɑjɑŋwɑc͡çɑŋ ʟ̝
| IPA = ɑjɑŋwɑt͡ɬɑ ʟ̝
| 그림 =
| 그림 설명 =
| 그림 크기 =
| 나라 = 없음
| 지역 = [[레니스카]] 동북부
| 민족 = [[아양와챠인]]
| 민족 = [[아양와챠인]]
| 문자 = [[레프레누 문자]]
| 인구 =
| 계통1 = [[동레니스카어족]]
| 어순 =
| 유형 = 교착어
| 사멸 =
| 계통색 = 동레니스카제어
| 계통1 = [[동레니스카제어]]
| 초기 =
| 언어코드 = AY-AY
| 사전 = https://dict.naver.com/mnkodict/#/main
| 하위분류 =
| 공용나라 = 없음
| 표준 =
| 방언 =
| 표기문자 = [[레프레누 문자]]
}}
}}
== 개요 ==
== 개요 ==
'''아양와챠어'''<small>(아양와챠어: Ajagŵaĉag Ĝĥ)</small>는 [[레프레누제 연합]] 소속국인 [[사스투아 회의]]의 원주민 [[아양와챠인]]이 사용하는 언어로, 현재 아양와챠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대표되고 있다.
'''아양와챠어'''<small>(아양와챠어: Ayagŵaĉa ĝ)</small>는 [[레프레누제 연합]] 소속국인 [[사스투아 회의]]의 원주민 [[아양와챠인]]이 사용하는 언어로, 현재 아양와챠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대표되고 있다.


메타적으로는 몽골어 기반의 후험어로써, 약간의 변형만을 거치기 때문에 사실 상 몽골어와 같다.
메타적으로는 몽골어 기반의 후험어로써, 약간의 변형만을 거치기 때문에 사실 상 몽골어와 같다.
20번째 줄: 38번째 줄:
| 주제 = 명칭
| 주제 = 명칭
| 처음언어 = {{국기그림|아양와챠}}<br>[[아양와챠어|{{글씨 색|#000|아양와챠어}}]]
| 처음언어 = {{국기그림|아양와챠}}<br>[[아양와챠어|{{글씨 색|#000|아양와챠어}}]]
| 처음언어_내용 = Ajagŵaĉag Ĝĥ
| 처음언어_내용 = Ayagŵaĉa ĝ
| 무르무르어 = Aghángmhacathpihca
| 무르무르어 = Aghángmhacathpihca
| 바샨니어 =
| 바샨니어 =
29번째 줄: 47번째 줄:
| 자소크어 = Ajannuacaspika
| 자소크어 = Ajannuacaspika
| 크리상테스어 =
| 크리상테스어 =
| 헤이어 = Azagwaqabuju<small>(국내표준)</small><br>Ayangwachabudzu<small>(국제표준)</small>
| 퍈프소븜 = fjan ajanwatsja
| 헤이어 = Azagwaqabuju{{표준|국내}}<br>Ayangwachabudzu{{표준|국제}}
| 한국어 = 아양와챠어
| 한국어 = 아양와챠어
| 영어 = Ajanachan
| 영어 = Ayanachan
| 일본어 =
| 일본어 =
| 한문 =
| 한문 =
37번째 줄: 56번째 줄:


==역사==
==역사==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margin: auto; text-align: center;" ,
{{동레니스카제어}}
|}


==음운==
==음운==
44번째 줄: 62번째 줄:
| a7 = .
| a7 = .
| a8 = .
| a8 = .
| a15 = .
| a16 = .
| a17 = .
| ŋ = -g
| ŋ = -g
| a21 = .
| a22 = .
| b7 = .
| b8 = .
| c = c
| ɟ = j
| b17 = .
| ɡ = g
| b21 = .
| b22 = .
| t͡s = c
| t͡s = c
| d͡z = j
| d͡z = j
| c͡ç = ĉ
| c18 = .
| ɟ͡ʝ = ĵ
| c17 = .
| ɡ͡ɣ = ĝ
| c21 = .
| c22 = .
| t͡ɬ = ĉ
| t͡ɬ = ĉ
| d͡ɮ = ĵ
| d͡ɮ = ĵ
| d15 = .
| d18 = .
| d16 = .
| d17 = .
| ɡ͡ʟ̝ = ĝ
| d21 = .
| d22 = .
| s = s
| s = s
| e8 = .
| e8 = .
| ç = sc
| ɣ = g
| ʝ = sj
| e17 = .
| ɣ = gh
| e21 = .
| ʕ = h
| ɬ = ŝ
| ɬ = ŝ
| f8 = .
| f8 = .
| ʎ̝̊ = ŝĉ
| ʟ̝ = ĝ
| ʎ̝ = ŝĵ
| f17 = .
| ʟ̝ = ĝĥ
| f21 = .
| f22 = .
| g7 = .
| ɹ = ĥ
| g15 = .
| j = j
| g17 = .
| ɰ = w
| g21 = .
| ʕ̞ = h
| q1 = .
| w = ŵ
| q3 = .
| ɥ = ĵ
}}
}}


{{모음표
{{모음표
| i = i
| i = i/y
| y = î
| y = î/ŷ
| ɨ = y
| ɯ = u/w
| ʉ = ŷ
| u = û
| ɯ = u
| e̞ = e/y
| u = û
| ø̞ = ê
| e̞ = e
| ɤ̞ = o/w
| ø̞ = ê
| o̞ = ô
| ə = â
| ɤ̞ = o
| o̞ = ô
| g1 = .
| g1 = .
| g2 = .
| g2 = .
| g5 = .
| ɑ = a/h
| g6 = .
| ɒ = â/ĥ
| ɑ = a
| g10 = .
}}
}}


127번째 줄: 95번째 줄:
{{본문|레프레누 문자}}
{{본문|레프레누 문자}}


== 문법 ==
== 한글 표기법 ==
{| class="wikitable"  style="width: 100%; margin: auto;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 10%;" |
! style="width: 10%;" | 자모
! style="width: 20%;" | 모음 앞
! style="width: 20%;" | 자음 앞,<br>어말
! style="width: 40%;" | 보기
|-
! rowspan="15" | 자음
|-
| c || ㅊ || ㅅ ||
|-
| ĉ || (ㄹ)치 || ㄽ ||
|-
| g || ㄱ || ㅇ ||
|-
| ĝ || colspan="2" | ㄺ ||
|-
| h || colspan="2" rowspan="2" | 아 ||
|-
| ĥ ||
|-
| j || colspan="2" | ㅈ ||
|-
| ĵ || (ㄹ)지 || ㄽ ||
|-
| s || colspan="2" | ㅅ ||
|-
| ŝ || colspan="2" | ㄽ ||
|-
| w || colspan="2" | 어, 으 ||
|-
| ŵ || colspan="2" | 오, 우 ||
|-
| y || colspan="2" | 에, 이 ||
|-
| ŷ || colspan="2" | 외, 위 ||
|-
! rowspan="10" | 모음
| a || colspan="2" rowspan="2" | 아 ||
|-
| â ||
|-
| e || colspan="2" | 에 ||
|-
| ê || colspan="2" | 외 ||
|-
| i || colspan="2" | 이 ||
|-
| î || colspan="2" | 위 ||
|-
| o || colspan="2" | 어 ||
|-
| ô || colspan="2" | 오 ||
|-
| u || colspan="2" | 으 ||
|-
| û || colspan="2" | 우 ||
|-
|}
 
== 회화 ==
== 회화 ==
=== 인삿말 ===
=== 인삿말 ===
136번째 줄: 165번째 줄:
! style="width:30%" | 의미
! style="width:30%" | 의미
|-
|-
! Sâg u?
! Sayg wu?
| 으?
| 으?
| 안녕?
| 안녕?
|-
|-
! Sâg ŵâg u?
! Sayg ŵayg wu?
| 성 웡 으?
| 생 왱 으?
| 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
|-
! Sju ŵâg!
! Yu ŵayg?
| 유 웡!
| 유 왱?
| 어이!
| 어이!
|-
|-
! Sjucâ ŵâg?
! Yucay ŵayg?
| 유처 웡?
| 유채 왱?
| 별일 없어?
| 별일 없어?
|-
|-
! Sju scij ŵâg?
! Yu giyĵ ŵayg?
| 유 히즈 ?
| 유 히즈 ?
| rowspan="2" | 어떻게 지내세요?
| rowspan="2" | 어떻게 지내세요?
|-
|-
! Aĵ sâg u?
! Aĵ sayg wu?
| 앑 성 으?
| 아즔 생 으?
|-
|-
! Aĵ côŝ sâg u?
! Aĵ ĉoŷoŝ<br>sayg wu?
| 앑 촔 성 으?
| 아즔 초욠 생 으?
| 잘 지내시죠?
| 잘 지내시죠?
|-
|-
! Ûggheĥ<br>ŵayĉâ ŵâg.
! Ŵuggyey<br>ŵayŝcay ŵayg.
| 웅헤르 와이쳐 웡.
| 웅헤이 왨채 왱.
| 반가워요.
| 반가워요.
|-
|-
! Sjasag sohig<br>ghûg ŵe?
! Yasag ŝeg<br>gŵug ŵe?
| 야상 서잉 훙 웨?
| 야상 훙 웨?
| 오랜만이네요.
| 오랜만이네요.
|-
|-
! Ûggheĥ uĵaĝw<br>ujag ŵâg scû.
! Ŵuggyey wuĵaĝŷ<br>ujag ŵayg ŝŵu.
| 웅헤를쟐그장<br>슈.
| 웅헤이 을쟐귀<br>우장 왱 슈.
| 오랫동안<br>못 뵈었네요.
| 오랫동안<br>못 뵈었네요.
|-
|-
! Uŝagja<br>cacâ ŵâg.
! Wuĵsagjha<br>chacay ŵayg.
| 을상자 차처 웡.
| 읋상자 차채 왱.
| 처음 뵙겠습니다.
| 처음 뵙겠습니다.
|-
|-
! Cagcâ uŝagja<br>ŵayĉâ ŵâg.
! Cagcay wuĵsagjha<br>ŵayŝcay ŵayg.
| 창처 을상자<br>와이쳐 웡.
| 창채 읋상자<br>왨채 왱.
| rowspan="2" | 만나 뵈어서<br>반갑습니다.
| rowspan="2" | 만나 뵈어서<br>반갑습니다.
|-
|-
! Cagcâ uŝagja<br>cacâ ŵâg.
! Cagcay wuĵsagjha<br>chacay ŵayg.
| 창처 을상자<br>차처 웡.
| 창채 읋상자<br>차채 왱.
|-
|-
|}
|}


== 여담 ==
== 도보게 ==
== 도보게 ==
{{김현제 인공어/사트}}
{{김현제 인공어/사트}}


== 각주 ==
== 각주 ==

2024년 3월 9일 (토) 19:50 기준 최신판

사트.svg 상위 문서 : 사스투아 회의

+ 아양와챠어
Ayagŵaĉa ĝ (IPA: ɑjɑŋwɑt͡ɬɑ ʟ̝)
사용 국가 없음
사용 지역 레니스카 동북부
사용 민족 아양와챠인
유형 교착어
언어 계통 동레니스카제어
 아양와챠어
언어코드 AY-AY
사전 아양와챠어_사전
공용어 및 표준
공용어로
쓰는 나라
없음
표기문자 레프레누 문자

개요

아양와챠어(아양와챠어: Ayagŵaĉa ĝ)레프레누제 연합 소속국인 사스투아 회의의 원주민 아양와챠인이 사용하는 언어로, 현재 아양와챠 독립운동의 상징으로 대표되고 있다.

메타적으로는 몽골어 기반의 후험어로써, 약간의 변형만을 거치기 때문에 사실 상 몽골어와 같다.

명칭

명칭
아양와챠
아양와챠어
Ayagŵaĉa ĝ
무르무르섬
무르무르어
Aghángmhacathpihca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어
Ayanuachaspika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Ajannuacaspika
디누단마
퍈프소븜
fjan ajanwatsja
앙둔 제국
헤이어
Azagwaqabuju(국내표준)
Ayangwachabudzu(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아양와챠어
영국
영어
Ayanachan
안드로
안드로어
dkdiddhkcidj
메다
메다어
jfj6aj/fo6jt

역사

+

음운

자음 +

치경
연구개






ŋ
⟨-g⟩


t͡s
⟨c⟩
d͡z
⟨j⟩
설측


t͡ɬ
⟨ĉ⟩
d͡ɮ
⟨ĵ⟩


s
⟨s⟩

ɣ
⟨g⟩
설측


ɬ
⟨ŝ⟩

ʟ̝
⟨ĝ⟩
+ 모음


전설
후설






i
⟨i/y⟩
y
⟨î/ŷ⟩
ɯ
⟨u/w⟩
u
⟨û/ŵ⟩


⟨e/y⟩
ø̞
⟨ê/ŷ⟩
ɤ̞
⟨o/w⟩

⟨ô/ŵ⟩



ɑ
⟨a/h⟩
ɒ
⟨â/ĥ⟩

문자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레프레누 문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한글 표기법

자모 모음 앞 자음 앞,
어말
보기
자음
c
ĉ (ㄹ)치
g
ĝ
h
ĥ
j
ĵ (ㄹ)지
s
ŝ
w 어, 으
ŵ 오, 우
y 에, 이
ŷ 외, 위
모음 a
â
e
ê
i
î
o
ô
u
û

회화

인삿말

표현 발음 의미
Sayg wu? 생 으? 안녕?
Sayg ŵayg wu? 생 왱 으? 안녕하세요?
Yu ŵayg? 유 왱? 어이!
Yucay ŵayg? 유채 왱? 별일 없어?
Yu giyĵ ŵayg? 유 히즈 왱? 어떻게 지내세요?
Aĵ sayg wu? 아즔 생 으?
Aĵ ĉoŷoŝ
sayg wu?
아즔 초욠 생 으? 잘 지내시죠?
Ŵuggyey
ŵayŝcay ŵayg.
웅헤이 왨채 왱. 반가워요.
Yasag ŝeg
gŵug ŵe?
야상 쇵 훙 웨? 오랜만이네요.
Ŵuggyey wuĵaĝŷ
ujag ŵayg ŝŵu.
웅헤이 을쟐귀
우장 왱 슈.
오랫동안
못 뵈었네요.
Wuĵsagjha
chacay ŵayg.
읋상자 차채 왱. 처음 뵙겠습니다.
Cagcay wuĵsagjha
ŵayŝcay ŵayg.
창채 읋상자
왨채 왱.
만나 뵈어서
반갑습니다.
Cagcay wuĵsagjha
chacay ŵayg.
창채 읋상자
차채 왱.

도보게

각주

  1. 2024년 6월 1일 19시 56분 04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