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렘나 철랑대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경제 | 외교 | 종족 | 언어 | 생태와 생물군계 | 마법 | 전쟁 | |
---|---|
이렘나 3차 내전 | 셰헤카사 제도 | 네라다 공민공화국 | |
엘레르디 왕국 |
개요
셰헤카사 제도의 외교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우호적 관계
동맹국
셰헤카사 제도가 동맹을 맺은 국가들이다. 셰헤카사 제도는 무역적-문화적으로 동질감이 있는 국가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였다.
AR 그룹
AR 그룹은 이렘나-인터내셔널 전쟁에서 함께 싸운 아군이자, 메티샤의 자유와 미래로부터 해방시켜준 구원자이다. AR 그룹은 자텐다 문명으로, 이렘나 문명인 셰헤카사와 같은 파랑 계통 문명인 것도 서로의 호감향상에 기여하였다.
셰헤카사 제도는 AR 그룹의 보호를 통해 제 3차 이렘나 내전에 안전하게 참여할 방어수단을 갖추었으며, 외부 세력의 칩입으로부터 국가의 안전을 보장받는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AR 그룹의 AR 레나 사용으로 국가의 경제적 안정역시 보장받을 수 있었다.
셰헤카사 제도는 이렘나 문명에 해당하는 국가로, 파랑 기병대의 수속마법을 대다수 소실하였다. 그러나, AR 그룹과 교류하며 잊혀진 마법의 이렘나식 로컬라이징을 도모하고 있다.
AR 그룹은 셰헤카사 제도 덕분에 안전한 프로테샤 무역로를 확보받을 수 있었으며, AR의 시장을 위협하는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프로테샤 ㅣㅈㄴ출을 가로막을 수 있었다.
AR 오닉서커트
AR 헤브녀트
크리상치아 왕국
전략적 우호관계 국가
에비타겐-밀리아 왕국
에비타겐-밀리아 왕국은 셰헤카사 제도와 역사적으로 우호관계에 있었던 시메타시스의 직접후계세력이다. 에비타겐-밀리아 왕국과 셰헤카사 제도는 지정학적 요소로 인해 서로를 중요시하고 있다.
에비타겐-밀리아 왕국은 셰헤카사 제도의 군사력을 필요로 하고, 셰헤카사 제도는 에비타겐-밀리아 왕국의 공업력을 필요로 한다. 양국은 마법과 기술에서 서로를 보완하는 관계이다.
앙둔 망명정부
동병상련인 처지이다. 셰헤카사 제도는 자신들의 어랜 동지였던 앙둔의 용황파를 우호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양국의 수복을 위해 그 어떤 희생이라도 감내할 준비가 되어있다.
셰헤카사 제도는 메티샤의 자유와 미래라는 공동의 적을 두고 앙둔 망명정부와 협력하려 하는 사이이다.
앙둔 혁명 이후 이렘나 측에 갑인 철혈 중갑함대라는 세력이 복속을 요청해왔지만 셰헤카사는 지리적으로 떨어져있던 탓에 이들과 접점이 없었다. 대신 자신들과 지속적으로 교류해오던 앙둔의 용황파를 조근 더 신뢰하는 편이다. 이것도 이렘나-인터내셔널 전쟁으로 인해 갑인 철혈 중갑함대가 사실상 해산되면서 선택지가 없어졌다.
무역적 우호관계 국가
다이와
프로테샤의 얼마 없는 무역 대상 국가이다. 양국이 무역적으로 협력한 것은 역사가 깊다.
적대적 관계
군사적 적대관계 국가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은 이렘나 문명의 적이다. 셰헤카사 제도는 자소크와 전면적인 적대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우려하였으나, 자소크가 그들의 문명을 멸망시키는 단초를 제공하였음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셰헤카사 제도는 자소크에 대해 외부적으로 강경한 태도를 지니지만, 다른 적성국들을 견제하기 위해서는 자소크와 간접적으로 협력할 의향이 있다.
단적으로 요약하자면, 이렘나 철랑대 시절만큼 혐오하지 않는다.
적성국
셰헤카사 제도가 생각하는 적대국이다. 이 국가들과는 1회 이상 전쟁을 치른 적이 있으며, 이후의 충돌이 예견되는 국가이다.
아나키스트 코뮌 연방
메티샤의 자유와 미래
이외의 관계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셰헤카사 제도는 의외로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과 일반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야마토와의 무역적인 교류가 셰헤카사 제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걱도 한 몫하지만, 셰헤카사 제도가 과거로부터 텐메이-야마토 문명과의 접점이 많았던 이유가 주를 차지한다.
셰헤카사 제도 인구의 27%는 텐메이교를 신봉하는 텐메이인이며, 이들의 교세는 셰헤카사 제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셰헤카사 제도는 야마토와의 관계개선을 통해 야마토 내부에 있는 텐메이교 유적에 방문할 권리를 얻어내려고 하고 있다.[2]
셰헤카사 제도는 야마토와 이렘나의 적대적 공생관계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렘나-인터내셔널 전쟁의 원인을 야마토에게 돌리지 않았다. 오히려, 네라다 공민공화국과의 접촉을 위해 우호적인 스탠스를 취하기도 한다.[3]
멸망한 국가
이렘나 철랑대
셰헤카사 제도는 이렘나 철랑대의 한 지역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본토와 입장 치이로 인해 관계가 좋지 못한 적이 많았다. 공포의 새천년, 자소크-이렘나 전쟁, 카르몬바리의 습격과 같은 시기 셰헤카사 제도는 이렘나 철랑대와 마찰을 겪었다.
셰헤카사 제도는 이렘나 철랑대에서 인구가 많고 강한 선단을 지니고 있어 이렘나 철랑대와 군사적으로 충돌할 때가 종종 있어왔다. 이렘나 역사상 철랑대장이 셰헤카사 제도에 의해 암살당한 적은 4번 있었다.
이렘나-인터내셔널 전쟁은 이렘나와 셰헤카사의 갈등을 해결시켰지만, 이렘나 철랑대가 멸망하면서 평화는 오래가지 못하고 막을 내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