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5번째 줄: | 45번째 줄: | ||
=== 5104년 2월 5일 === | === 5104년 2월 5일 === | ||
[[자소크 철학단]] [[방위청]] 산하 해군 부대 | [[자소크 철학단]] [[방위청]] 산하 해군 부대 레닌 함대의 제독 [[발레디스 키녹사르]]가 2월 5일, [[디 주]]와 [[토니겔로트]] 사이의 스카니아 함대가 소실되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 ||
정확한 침공 시점은 알 수 없었고, [[발레디스 키녹사르|발레디스]]는 키미아 앞바다에 흘러온 함정의 잔해를 보고서야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 | |||
잔해의 양과 구성 부품, 그리고 앞 뒤 맥락을 파악해 보았을 때에 스카니아 함대에는 통신이 가능한 함정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정확한 피해 상황은 미상인 채로 연락되었다. | |||
적대 병력은 [[에청]], [[바토르스카딘]], [[미노아]], [[아피용]]의 4개 섬을 점거하고 접근하는 모든 물체와 [[투타여르 데 자소크]]의 동북 해안을 공격하고 있고, 근 시일 내에 본토로 습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적대 병력은 [[자소크]]의 무기 및 [[포터스|마법]]을 사용하지 않는 외래 세력으로 보인다고 한다. | |||
이러한 소식을 들은 [[철사]] [[베시 오마]]는 [[북메티샤 조약기구]]에게 공격자 정보 확정 협조 및 확정 시의 경제 제제와 군사 협력을 요청하였으며, [[방어청장]] [[바르테미스 크라우치]]는 이동 가능한 인·물적 자원의 반 이상을 [[토니겔로트 주]]와 [[디 주]]에 배치했다. 또한 [[방어청장]]은 공개적으로 “실재하는 인·물적 피해가 발생한 바,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상황으로 생각해야 한다.”라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 |||
[[철사]]는 [[UMG]]에 [[시메타시스]]가 일반인을 이주시키고 있다는 것과 이번 타시스 침공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북메티샤 조약기구]]에 이것을 알리지는 않았다. | |||
[[자소크 철학단]]의 내부, 특히 동부 주들에서는 전쟁으로 발생할 피해를 대비하여 육로를 통해 다른 주로 이동하거나 비상식량을 챙겨두는 등 혼란이 야기되었다. | |||
== 도보게 == | == 도보게 == |
2023년 1월 22일 (일) 15:27 판
상위 문서 : UMG
카야 UMG 시리즈 또는 자소크-이렘나 전쟁은 5100년에 시작된 카야의 사트 연재 시리즈이다.
뉴스
5101년 1월 6일
서부 기사단 지역, 세셸브 지방의 카나 요원 RN-CQ41이 이렘나의 재정 상태에 대해 보고했다. 보고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렘나 세수의 17%를 차지하던 네라다 지방의 인구 감소율은 45%로, 혼란으로 인해 지방 세수가 71% 감소하였다.
- 이렘나 세수의 32%를 차지하던 세셸브 지방은 남극해 전쟁에서 앙둔 제국 이 패배한 여파로 주북메디아 산업단지가 위축되어 지방 세수가 55% 감소하였다.
- 이렘나 세수의 15%를 차지하던 셰헤카사 제도는 흉내이리 반란 이후 이렘나 철랑대 본국과의 마찰로 인해 현재까지 징수를 거부하고 있다.
- 이외의 피해를 도합하여 계산하였을 때, 이렘나의 전체 세수는 65%가량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5202년 초에 국경을 개방하려고 한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고 예상된다.
당시 이렘나 철랑대의 경제 규모는 아마야스 자치주의 절반 미만인 것으로 예상된다고 하지만, 이렘나 본토에서는 경제적 위기가 실감되지 않을 정도로 평온한 상태를 이어간다고 한다.
5103년 8월 19일
UMG에서 시메타시스 주도 하에 열린 UMG 극지연구포럼이 사상 최대 규모로 개최되었다. 이 포럼에서 시메타시스는 제약없는 극지연구를 주장하며 UMG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발표했다. 시메타시스 의 발표에 따르면, 전년대비 연구 인원과 투자액은 각각 300%, 450% 늘어난 것으로 드러났다. 이외에도, 시메타시스 UMG 지역의 기반시설 충원 및 연구자와 가족들의 자유로운 이주계획을 발표했다.
5104년 1월 13일
자소크 철학단 방위청 산하 육군 부대 소속의 펠레마 헤르네디아가 시메타시스의 동향을 파악한 결과, 시메타시스의 UMG 지원이 발표된 이후 수많은 거주지구와 기반시설이 들어서고 있다고 한다. 또한 많은 시메타시스인이 UMG로 이주하고 있다.
하지만 친적, 지인 중 군인이 있는 과학자들을 우선적으로 이주시키고 있다는 소문이 자소크 철학단의 군대에서 돌았다고 한다. 또한, 시메타시스가 출입 금지구역을 늘리고 있다는 점도 수상하게 느껴진다.[3]
한가지 더 이상한 점으로, 시메타시스의 조원들 중 일부는 소름끼칠 정도로 창백한 피부를 가지고 있거나 이질적인 날개 모양을 가지기도 하고, 그 중에 몇몇은 또 일부로 날개를 뜯어버린 듯한 자국이 있는 사람도 있었다. 이것을 수상하게 여겨 펠레마는 더욱 자료를 조사하여 자소크 철학단 군대에 첨부한다.
5104년 2월 5일
자소크 철학단 방위청 산하 해군 부대 소속의 발레디스 키녹사르가 2월 5일, 디 주와 토니겔로트 사이의 타시스 지역 함대가 소실되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정확한 침공 시점을 알 수 없으나, 키미아 앞바다에 흘러온 함정 잔해를 보고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잔해의 양과 종류, 구성 부품으로 보아하건대 동북 방면 함대에 통신을 위한 함정은 하나도 남아있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적대 병력은 에청, 바토르스카딘, 미노아, 아피용의 4개 섬을 점거하고, 접근하는 모든 물체와 동북지역 해안 자체를 공격하고 있어, 근시일 내 적대 병력이 본토를 습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적대 병력은 자소크의 무기 및 마법을 사용하지 않는 외래 세력으로 확인되었으며, 철사에게는 핫라인을 통한 긴급 연락을 요청했다.
5104년 2월 5일
자소크 철학단 방위청 산하 해군 부대 레닌 함대의 제독 발레디스 키녹사르가 2월 5일, 디 주와 토니겔로트 사이의 스카니아 함대가 소실되었음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정확한 침공 시점은 알 수 없었고, 발레디스는 키미아 앞바다에 흘러온 함정의 잔해를 보고서야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 잔해의 양과 구성 부품, 그리고 앞 뒤 맥락을 파악해 보았을 때에 스카니아 함대에는 통신이 가능한 함정이 하나도 남아있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며, 정확한 피해 상황은 미상인 채로 연락되었다.
적대 병력은 에청, 바토르스카딘, 미노아, 아피용의 4개 섬을 점거하고 접근하는 모든 물체와 투타여르 데 자소크의 동북 해안을 공격하고 있고, 근 시일 내에 본토로 습격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적대 병력은 자소크의 무기 및 마법을 사용하지 않는 외래 세력으로 보인다고 한다.
이러한 소식을 들은 철사 베시 오마는 북메티샤 조약기구에게 공격자 정보 확정 협조 및 확정 시의 경제 제제와 군사 협력을 요청하였으며, 방어청장 바르테미스 크라우치는 이동 가능한 인·물적 자원의 반 이상을 토니겔로트 주와 디 주에 배치했다. 또한 방어청장은 공개적으로 “실재하는 인·물적 피해가 발생한 바, 국가비상사태에 준하는 상황으로 생각해야 한다.”라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철사는 UMG에 시메타시스가 일반인을 이주시키고 있다는 것과 이번 타시스 침공에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북메티샤 조약기구에 이것을 알리지는 않았다.
자소크 철학단의 내부, 특히 동부 주들에서는 전쟁으로 발생할 피해를 대비하여 육로를 통해 다른 주로 이동하거나 비상식량을 챙겨두는 등 혼란이 야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