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크리상테스" 문자열을 "크리상치아" 문자열로)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트}}
{{사트}}
{{나라 정보
{{란카헤 정보
| 기여자 = [[미르도프 크론]]
| 기여자 = [[미르도프 크론]]
| 현지이름 = 란베데라시니 눈 란가헤
| 현지이름 = 란베데라시니 눈 란카헤
| 다른표기 = Karonatio die Lankahe
| 다른표기 = Karonatio die Lankahe
| 나라이름 = 란카헤 연방(가헤 연방)
| 나라이름 = 란카헤 연방
| 국기_그림 = 란카헤 국기.svg
| 국기_그림 = 란카헤 국기.svg
| 문장_그림 = 란카헤 국장.svg
| 문장_그림 = 란카헤 국장.svg
| 나라_표어 = ''(미정)''
| 나라_표어 = ''(미정)''
| 나라_표어_설명 = ''(미정)''
| 나라_표어_설명 = ''(미정)''
| 국가 = ''(미정)''
| 국가 =  
| 국수 =
| 국수 =
| 국조 =
| 국조 =
| 국화 =
| 국화 =
| 상징색1 = #d4c49b
| 상징색1 = #F4E4BB
| 상징색1_이름 = 란카헤 골드
| 상징색1_이름 = 란카헤 골드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1d7a1d
| 상징색2 = #3D9A3D
| 상징색2_이름 = 란카헤 그린
| 상징색2_이름 = 란카헤 그린
| 상징색2_글씨색 = white
| 상징색2_글씨색 = white
| 이전_형태 =
| 역사 = '''230년경''' 라바힌 문명의 발상<br>'''1157년 8월 18일''' 카오 왕국 건국<br>'''1785년 7월 22일''' 신시비히 란부세 연맹 건국<br>'''3653년 3월 14일''' 크랖토스 공화국 건국<br>'''4638년 7월 5일''' 비라게라 조약 체결
| 주권 = 란카헤
| 주권_설명 = 4638년 7월 5일
| 정부수립1 =
| 정부수립일1 =
| 정부수립2 =
| 정부수립일2 =
| 정부수립3 =
| 정부수립일3 =
| 정부수립4 =
| 정부수립일4 =
| 정부수립5 =
| 정부수립일5 =
| 정부수립6 =
| 정부수립일6 =
| 멸망 =
| 이후_형태 =
| 지도_그림 = 란카헤 지도.svg
| 지도_그림 = 란카헤 지도.svg
| 지도_그림_설명 =
| 지도_그림_설명 =
| 수도 = ''(미정)''
| 행정수도 = [[노바 비라게라]]
| 수도위치 = ''(미정)''
<!--| 수도위치 = 카오 왕국-->
| 최대도시 = ''(미정)''
| 입법수도 = [[인테라비라]]
| 면적 = 207,329
| 최대도시 = [[비라게라]]
| 접경국 =
| 면적 = 498,229
| 문화권 =
| 접경국 = {{국호|피페레 제국}}, {{국호|한카 교회국}}
| 문화 =
| 문화권 = [[아트리아|동아트리아]] 문화권
| 행정구역1 =
| 문화 = {{국기그림|란카헤 연방}} [[란카헤_연방/문화|란카헤 문화]]
| 행정구역1_내용 =
| 행정구역1 = 구성국
| 행정구역2 =
| 행정구역1_내용 = 5개국
| 행정구역2_내용 =
| 행정구역2 = 비라(시)/ 바레슬레(군)
| 행정구역3 =
| 행정구역2_내용 = 25시 19군
| 행정구역3 =  
| 행정구역3_내용 =
| 행정구역3_내용 =
| 행정구역4 =
| 행정구역4 =
59번째 줄: 44번째 줄:
| 미수복지역 =
| 미수복지역 =
| 조사인구수 = 19,352,390
| 조사인구수 = 19,352,390
| 인구조사년도 = 4638
| 인구조사년도 = 5021
| 민족_분포 =
| 민족_분포 = {{국기그림|란카헤 연방}} [[란카헤_연방/사회|란카헤인]] 75%, [[콰미드]] 11%, [[한카인]] 8%, 기타 6%
| 인구밀도 =
| 인구밀도 = 38.84
| 밀도계산년도 =
| 밀도계산년도 = 5021
| 출생아_수 =
| 출생아_수 =
| 출생조사년도 =
| 출생조사년도 =
| 합계출산율 =
| 합계출산율 =
| 출산율계산년도 =
| 출산율계산년도 =
| 기대_수명 =
| 기대_수명 = 75.44
| 수명조사년도 =
| 수명조사년도 = 5021
| 공용어 = [[과학어]]
| 공용어 = [[크랖토스젠]]
| 공용문자 = (자체문자)
| 공용문자 = (자체문자)
| 지역어 =
| 지역어 = 피페레어, 한카어
| 국교 =
| 종교_분포 = 무교 79%, 시띵교 7%, 십사처교 7%, 란시케교 4%, 기타 3%
| 종교_분포 = 무교 79%
| 최대종교 =
| 군대 =
| 군대 =
| 주둔군 =
| 정치체제 = 연방제 이원집정부제 공화국
| 정치체제 = 연방제 이원집정부제 공화국
| 지도자_칭호 = 대통령
| 민주주의_지수 = 7.95
| 지도자_성명 =
| 국가원수_직위 = 연방대통령
| 입법부_수장 = 연방의장
| 국가원수 =
| 입법부_수장_성명 =
| 입법부_수반_직위 = 연방의회 의장
| 행정부_수장 = 연방총리
| 입법부_수반 =
| 행정부_수장_성명 =
| 행정부_수반_직위 = 연방총리
| 사법부_수장 = 대법원장
| 행정부_수반 =
| 사법부_수장_성명 =
| 사법부_수반_직위 = 대법원장
| 여당 =
| 사법부_수반 =
| 당명 =
| 경제부_수반_직위 = 국무원장
| 당색글씨 =
| 경제부_수반 =
| 당색배경 =
| 군부_수반_직함 = 방위사령국장
| 경제체제 =
| 군부_수반 =
| 통화 = 메운코소소모
| 정당제 = 금지 <!--틀에 추가하기-->
| 경제체제 = 국가자본주의
| GDP = 6710억 ₭
| PPP = 5611억 ₭
| 국부 = 3조 4144억 ₭
| 통화 = [[메운코소소모]]
| 통화기호 = ₭
| 통화기호 = ₭
| 지니_계수 = 28.2
| 세입 = 1058억 ₭
| 세출 = 1578억 ₭
| GINI = 28.2
| 기년법 = [[자소크력]]
| 기년법 = [[자소크력]]
| 시간대 = ASN+14
| 시간대 = ASN+14
| 날짜형식 =
| 날짜형식 = DD.MM.YYYY
| 통행방향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수교국 =
| 수교국 = 10
| 외교문서 =
| 외교문서 = 란카헤_연방/외교
| 숫자코드 =
| 숫자코드 =
| 2자코드 = LK
| 2자코드 = LK
| 3자코드 = LKH
| 3자코드 = LKH
| 한자약칭 = 蘭
| 한자약칭 = 蘭
| 한자음 = 난/란
| 한자음 = 난·란
| 최상위_도메인 = .lk
| 최상위_도메인 = .lk
}}
}}
'''란카헤 연방''' 또는 '''란가헤(란카헤)'''는 [[아트리아]] 북동쪽에 위치한 연방국이다. 본토의 남쪽으로 [[피페레 제국]] 그리고 [[한카 교회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경제체제로는 국가자본주의를 채택하고 있다.
'''란카헤 연방''' 또는 '''란카헤'''는 [[아트리아]] 동북쪽에 위치한 연방제 공화국이다. 본토의 서쪽으로 [[피페레 제국]], 남쪽으로 [[한카 교회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국명은 과거 라바힌 문명의 자연과학어로 부르던 현 코메바 반도 북부에서 유래하였다.


{{사트 언어|2
{{사트 언어|2
| 주제 =  
| 주제 =  
| 처음언어 = {{국기그림|란카헤 연방}} [[과학어]]
| 처음언어 = {{국기그림|란카헤 연방}} [[크랖토스젠]]
| 처음언어_내용 = 란베데라시니 눈 란가헤
| 처음언어_내용 = 란베데라시니 눈 란가헤
| 러냐어 =  
| 러냐어 =  
| 레프레누어 =
| 레프레누어 =
| 무디두기 = nankai kumu kuku
| 미코로스 아케뒤 =  
| 미코로스 아케뒤 =  
| 바샨니어 = Lankillueviy Vanirhteva
| 바샨니어 = Lankillueviy Vanirhteva
| 베르쿠암 =  
| 베르쿠암 =  
| 빠깐어 = Kafaksomudhaelankahhe
| 사삼오일 = 61996 40, 61996
| 사삼오일 = 61996 40, 61996
| 시메타시스어 =
| 시메타시스어 =
124번째 줄: 113번째 줄:
| 이렘나어 = es'Friy ke'Rancheshiy
| 이렘나어 = es'Friy ke'Rancheshiy
| 자소크어 = Karonatio die Lankahe
| 자소크어 = Karonatio die Lankahe
| 크리상테스어 = Fédération Láncahas, la Láncahé
| 크리상치아어 = Fédération Láncahas, la Láncahé
| 트라벨레메 =  
| 트라벨레메 =  
| 파셀어 =  
| 파셀어 =  
| 펠라인카이아어 =
| 퍈프소븜 = kmu lankaxe
| 피페레어 =  
| 피페레어 = Αρμαλεγυεια φωτηρ λανγαηιε
| 한카어 =
| 한카어 =
| 헤이어 = Lankrahe Ketse<small>(국내표준)</small><br>Lankahe Cetshe<small>(국제표준)</small>
| 헤이어 = Lankrahe Ketse{{표준|국내}}<br>Lankahe Cetshe{{표준|국제}}
| 화칸어 = Kafakspummelankahe
| 한국어 = 란카헤 연방, 란카헤
| 한국어 = 란카헤 연방, 란카헤
| 한국_점자 =
| 한국_점자 =
146번째 줄: 136번째 줄:
== 지리 ==
== 지리 ==


란카헤 연방은 국토가 남북으로 길게 뻗으며 남쪽에는 사막과 산맥이 위치해 다양한 기후대에 걸쳐 있다. 남위 10도에서 40도 사이로 온대와 열대 기후가 있으며, 남쪽 끝으로는 사막과 산맥이 위치해 건조 기후와 고산 기후도 일부 존재한다.
{{본문|란카헤 연방/지리}}
 
란카헤 연방은 다양한 기후대에 걸쳐 있는 국가이다. 국토의 북쪽은 코메바 반도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도 부근의 열대 기후를 보인다. 또한 코메바 반도 서쪽 끝과 라바힌 제도는 화산섬들이 위치한 화산 지대이다. 남쪽에는 한카 산맥이 위치해 고산 기후를 보이는 지역이 있으며, 한카 산맥 서쪽으로는 건조한 부사네데 사막이 위치한다.
 
=== 자연재해 ===
 
{{본문|란카헤 연방/자연재해}}
 
란카헤 연방의 북부는 탄티샤 판이 라시디 판과 아트리아 판 밑으로 섬입하는 지진·화산대이다. 이에 따라 과거부터 잦은 지진과 화산 활동을 보였던 지역이며, 사트에서 알려진 가장 큰 화산 폭발이었던 [[1058년 대폭발]] 등의 전례가 있다. 란카헤 동부 해안의 경우에는 열대성 저기압(한국의 태풍)이 생기는 지역으로 종종 강풍과 폭우에 의한 피해가 있다. 서부의 경우 부사네데 사막에서 모래 폭풍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 환경 ===
 
{{본문|란카헤 연방/환경}}
 
기후대가 대부분 열대우림이나 사막, 화산지대와 같은 곳이었던 만큼 개발이 쉽지 않았던 영향으로 지금까지도 자연환경의 보전이 잘 이루어진 편이다. 또한 크랖토스 공화국의 경우 거의 유일하게 농업이 가능한 만큼 농경지를 보호해야 하기에 개발이 제한되고 있다. 이런 문화를 바탕으로 환경 보호가 제도적으로 강력하게 이루어지는 편이며 전기도 대부분 발전이 아닌 전지를 사용하기에 파괴의 위험도 크지 않다. 다만 이런 문화와 사회 풍조로 인해 대규모 기간시설의 건설이 여론의 반대로 무산되는 어려움도 자주 있다.


== 역사 ==
== 역사 ==


{{본문|란카헤 연방/역사}}
{{본문|란카헤 연방/역사}}
== 역사 ==


란카헤 연방은 북쪽 열대의 ??국, 중부의 ??국, 남쪽 고산지대의 ??국이 합쳐져 생겼다. 각 기후대 별로 해당 환경에 맞추어 존재하던 국가들이기에 상호 간에 갈등이 있더라도 서로 간의 영토 침범이 심하지 않았으며, 서로 자원을 교환하며 우호적인 관계가 유지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후 4638년, 사트 내 주변국들의 발전에 맞추어 3국이 합방으로 연방을 결성했으며, 남쪽의 사막 지대와 북부 해협의 두 섬을 별개 구성국으로 분리시켜 5개 구성국이 생기게 되었다.
란카헤 연방은 크리상치아 혹은 자소크에서 서북쪽의 무르무르 제도와 라바힌 제도를 거쳐 내려온 사람들, 동쪽 레니스카에서 건너온 사람들, 그리고 피페레에서 넘어온 사람들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래 무르무르 제도 쪽 사람들과 레니스카에서 온 사람들의 국가는 각각 서쪽과 동쪽에서 별도로 있었으나, [[1058년 대폭발]] 이후 대부분 동남쪽으로 이동, 현재의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1천년대 초반 이전에는 서북쪽의 라바힌 제도 문명이 상당히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화산 폭발로 대부분 소실되었다.
 
대폭발 이후 기존 라바힌 문명의 사람들은 남쪽의 부사네데 사막으로 대거 이동, 현재의 민히 멘예보 지역에 정착했다.
 
3천년대 중반에 라바힌 문명의 후손들이 부사네데 사막에서 한카 산맥을 넘어 한카족 혼혈들과 함께 크랖토스 지역에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같은 시기 코메바 반도 북쪽과 보시디나 섬들은 카오 왕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재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638년, 카오 왕국, 크랖토스 공화국, 그리고 신시비히 란부세 공화국 사이에 [[비라게라 조약]]이 체결되어, 란카헤 연방이 탄생했다. 코우노 공화국과 신네 란부세 공국은 조약의 결과로 각각 크랖토스 공화국과 카오 왕국에서 분리된 별도의 구성국이 되었다.


== 정치 ==
== 정치 ==
159번째 줄: 168번째 줄:
{{본문|란카헤 연방/정치}}
{{본문|란카헤 연방/정치}}


란카헤 연방은 이름에서 암시되듯이 연방제 국가이다. 란카헤 연방은 연방회의(Federal council)을 필두로 한 행정부와 연방의회(Federal congress)를 필두로 한 입법부, 그리고 연방대법원이 이끄는 사법부의 전통적인 삼권 분립이 이루어져 있다.
란카헤 연방은 이름에서 암시되듯이 연방제 국가이다. 란카헤 연방은 연방회의를 필두로 한 행정부와 연방의회를 필두로 한 입법부, 그리고 대법원이 이끄는 사법부의 전통적인 삼권 분립이 이루어져 있다.


연방 차원의 입법부인 연방의회는 각 구성국의 인구에 비례하여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며, 입법권 등을 가진다. 의장은 국민투표로 선출된 연방총리가 맡는데, 형식적으로는 행정부의 수반을 겸하나 실질적인 권력을 모두 가지지는 못한다. 연방 구성국들에도 각각 의회가 존재하나, 연방의회에 입법권이 일정 부분 위임되어 권한이 강하지 않다.
연방 차원의 입법부인 연방의회는 각 구성국의 인구에 비례하여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며, 입법권 등을 가진다. 실질적인 의장의 권한은 연방총리가 가지는데, 형식적으로는 행정부의 수반도 겸하나 입법부의 실질적인 수반에 더 가깝다. 연방 구성국들에도 각각 의회가 존재하며 그 체계는 구성국 별로 다르다.


연방의 행정부는 최고기관인 연방회의에서 시작된다. 연방회의의 의원은 구성국별로 1인씩 선출되며, 합산투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출된다. 최고행정기관으로 평시에는 연방총리의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회의의 의장은 대통령으로, 연방회의의 의원이 돌아가며 맡는다. 연방회의 산하에는 대통령 직속기관과 장·차관이 있는 일반적은 부처가 존재한다. 구성국 별로도 연방정부 차원의 부처에 대응되는 부처가 존재하며, 연방정부와 구성국 정부가 협력하여 행정을 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연방의 행정부는 최고기관인 연방회의에서 시작된다. 연방회의의 구성원은 구성국별로 1인씩 선출되며, 합산투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출된다. 회의의 의장은 대통령으로, 연방회의의 구성원이 돌아가며 맡는다. 연방회의 산하에는 대통령 직속기관과 장·차관이 있는 일반적인 부처가 존재한다. 구성국 별로도 연방정부 차원의 부처에 대응되는 부처가 존재하며, 구성국 정부는 연방회의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연방회의와 별도로 존재하는 국무원은 경제 체제의 유지가 주목적으로, 경제 관련 정책과 법률에 관여한다.


연방의 사법부는 대법원과 구성국별 고등법원, 그리고 이하의 일반법원 등 하급법원으로 구성된다. 대법관은 의회에서 추천하여 연방회의에서 임명하고, 대법원장은 대법관 중에서 돌아가며 맡는다. 구성국별 고등법원의 판사들은 대법원에서 임명하며, 그 아래의 하급법원들은 구성국 고등법원에서 임명한다.
연방의 사법부는 대법원과 구성국별 고등법원, 그리고 이하의 일반법원 등 하급법원으로 구성된다. 대법관은 의회에서 추천하여 연방회의에서 임명하고, 대법원장은 대법관 중에서 돌아가며 맡는다. 구성국별 고등법원의 판사들은 대법원에서 임명하며, 그 아래의 하급법원들은 구성국 고등법원에서 임명한다.
=== 행정구역 ===
{{본문|란카헤 연방/행정구역}}
란카헤 연방에는 총 5개의 연방 구성국이 존재한다. 각 구성국은 자체적인 수도와 행정구역 구획을 가지고 있으며, 연방 결성 이전의 위치를 바탕으로 각 구성국의 영토가 조정되어 있다. 연방 구성국은 다음과 같다.
* 카오 왕국
* 크랖토스 공화국
* 코우노 공화국
* 신네 란부세 공국
* 신시비히 란부세 공화국


== 경제 ==
== 경제 ==


{{본문|란카헤 연방/}}
{{본문|란카헤 연방/경제}}
 
란카헤 연방은 기본적으로 수정자본주의에서 국가자본주의를 오가며 경제가 이뤄지고 있는데, 연방의회와 연방회의의 정치성향에 따라 경제 정책의 기조가 조금씩 바뀐다. 대부분의 1·2차 산업은 국유화된 공기업으로, 내수 시장에서 한 분야에 여러 공기업이 진출해 경쟁하는 구도이다. 관광·문화 산업 및 금융 산업이 주요 산업인 란카헤의 특성상 3차 산업은 국영화 비율이 매우 낮으며, 대신 높은 세금이 매겨져 공기업의 적자를 채워주고 있다.
 
=== 기술 ===
 
{{본문|란카헤 연방/기술}}


란카헤 연방은 기본적으로 수정자본주의에서 국가자본주의를 오가며 경제가 이뤄지고 있는데, 연방의회와 연방회의의 정치성향에 따라 경제 정책의 기조가 조금씩 바뀔 수는 있다. 대부분의 1·2차 산업은 국유화된 공기업으로, 내수 시장에서 분야에 여러 공기업이 진출해 경쟁하는 구도이다. 관광 및 문화, 스포츠 산업을 주 국고 수입으로 삼고 있는 란카헤의 특성상 3차 산업은 국영화 비율이 매우 낮으며, 대신 높은 세금이 매겨져 공기업의 적자를 채워주고 있다.
라바힌 문명 시절부터 발전되어 온 항공 산업과 전기 공업이 발달해 있다. 특히 전기 공업의 경우 직류 전지를 바탕으로 기술들이 란카헤의 과학기술을 이끌고 있다고 할 정도로 중요한 기반 산업이다.


== 사회 ==
== 사회 ==


{{본문|란카헤 연방/사회}}
 
여러 나라가 합쳐져서 생긴 연방이다 보니 지역별로 인구와 민족의 분포 차이가 상당하다. 정치체제의 차이에 의한 사회제도의 차이도 남아있는 편이다. 대체로 국가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복지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는 편이다.
 
=== 인구와 민족 ===
 
{{본문|란카헤 연방/인구}}
 
란카헤 연방의 인구는 적절한 출산율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의학 기술의 부족으로 고령화되지 않으며 인구의 증가세 또한 급격하지는 않다. 인구의 대부분이 란카헤인(라바힌인·윤게인)이나 피페레, 한카 출신도 어느 정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 교육 ===
 
{{본문|란카헤 연방/교육}}
 
개념적 교육을 중시하기에 어릴 때부터 교육을 시작해 성인이 되어서도 교육을 계속한다. 7세(지구 나이 만 3.5세)에 기본교육원에 입학하여 20세(지구 나이 10세)까지 배우며, 20세부터 34세(지구 나이 17세)까지 고등교육원에서 심화 과정을 배운다. 이후 34세부터는 약 100세(지구 나이 50세)까지 창정원에서 결정적 지능의 사용을 교육받고 연습한다.
 
=== 종교 ===
 
{{본문|란카헤 연방/종교}}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종교의 영향력이 감소한 이후로 무교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대부분의 종교 신자들은 카오 왕국의 왕족·귀족 출신들이거나, 피페레와 한카 출신의 콰미드·한카인들이다.
 
=== 교통 ===
 
{{본문|란카헤 연방/교통}}
 
직류전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매우 많으며, 철도보다는 도로 교통이 활성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1인용 전기비행기의 보급이 활발하다.


== 문화 ==
== 문화 ==


{{본문|란카헤 연방/문화}}
 
란카헤 문화는 한카 산맥을 기준으로 크게 두 개로 나뉜다. 서쪽의 노바 라바힌 문화와 동쪽의 윤게 문화가 그것으로, 과거 서쪽과 북쪽에서 도래해 정착한 라바힌 문명과 동쪽의 레니스카에서 넘어온 윤게 문명이 이어진 것이다. 다만 남쪽의 크랖토스 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새로 생긴 국가의 특성상 두 문화와 한카 문화가 융합된 형태를 보인다.
 
=== 언어 ===
 
{{본문|크랖토스젠}}
 
크랖토스 지역에서 사용하던 크랖토스젠(크랖토스 어)가 공용어로 쓰이고 있다. 과거 라바힌 문명에서 사용하던 자연과학어의 흔적이 남아 있는 단어들이 많이 존재한다.
 
=== 공휴일 ===
 
{{본문|란카헤 연방/공휴일}}
 
무교가 많아 종교 기념일보다는 연방 구성국 차원의 건국일 등을 연방 공휴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공휴일은 다음과 같다.
 
* 1월 17일: 라바힌 상기일(지역에 따라 연휴)
* 3월 14일: 크랖토스 건국기념일
* 3월 15일: 민주주의의 날
* 7월 5일: 연방 성립기념일
* 7월 22일: 신시비히 란부세 건국기념일
* 8월 18일: 카오 건국기념일
 
== 외교 ==
 
{{본문|란카헤 연방/외교}}
 
4916년 [[순기 마 영토 분쟁|순기 마 영토 조약]]의 체결 이후 폐쇄적이었던 외교 기조가 변화하기 시작해 현재는 10개국의 수교국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수교국'''
 
* [[피페레 제국]]
* [[한카 교회국]]
* [[호락존 안도]]
* [[아르토이트 제국]]
* [[디누단마]]
* [[이룰 연방]]
* [[무르무르섬|무르무르 섬]]
* [[자소크 철학단]]
* [[크리상치아 왕국]]
* [[파룸]]
 
== 군사 ==
 
{{본문|란카헤 연방/군사}}
 
상대적으로 군사 부문에 대한 투자가 많은 편은 아니라 군사력이 강하지 않다. 특히 육군과 해군의 경우에는 화약 관련 기술이 거의 전무하기에 냉병기를 사용하고 있다. 드물게 레일건 등을 도입한 경우도 있으나 개인이 휴대하기에는 부피가 커서 개인화기는 아직도 창과 검, 방패 등이다. 공군의 경우 전기비행기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나 역시나 화약 기술이 없어 공격력은 약하다.


== 각주 ==
== 각주 ==
[[분류:일반 국가]]

2024년 6월 25일 (화) 08:56 기준 최신판

란베데라시니 눈 란카헤+
Karonatio die Lankahe
란카헤 국기.svg 파일:란카헤 국장.svg
국기 국장
표어 (미정)
(미정)
상징색 란카헤 골드(#F4E4BB)
란카헤 그린(#3D9A3D)
역사
230년경 라바힌 문명의 발상
1157년 8월 18일 카오 왕국 건국
1785년 7월 22일 신시비히 란부세 연맹 건국
3653년 3월 14일 크랖토스 공화국 건국
4638년 7월 5일 비라게라 조약 체결
지리
[ 펼치기 · 접기 ]
란카헤 지도.svg
행정·사법수도 노바 비라게라
입법수도 인테라비라
최대도시 비라게라
면적 498,229㎢
접경국 피페레 제국 피페레 제국, 한카 교회국 한카 교회국
문화권 동아트리아 문화권
란카헤 연방 란카헤 문화
인문 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 19,352,390명 (5021년)
민족분포 란카헤 연방 란카헤인 75%, 콰미드 11%, 한카인 8%, 기타 6%
인구밀도 38.84명/㎢ (5021년)
기대수명 75.44세 (5021년)
종교분포 무교 79%, 시띵교 7%, 십사처교 7%, 란시케교 4%, 기타 3%
어문
[ 펼치기 · 접기 ]
공용어 크랖토스젠
공용문자 (자체문자)
지역어 피페레어, 한카어
하위 행정 구역
[ 펼치기 · 접기 ]
구성국 5개국
비라(시)/ 바레슬레(군) 25시 19군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 연방제 이원집정부제 공화국
민주주의 지수 7.95
연방대통령
연방의회 의장
연방총리
대법원장
국무원장
방위사령국장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 국가자본주의
GDP 6710억 ₭
PPP 5611억 ₭
국부 3조 4144억 ₭
통화 메운코소소모 (₭)
1년 세입 1058억 ₭
1년 세출 1578억 ₭
지니계수 28.2
단위
[ 펼치기 · 접기 ]
기년법 자소크력
시간대 ASN+14
날짜형식 DD.MM.YYYY
통행방향 우측통행
외교
[ 펼치기 · 접기 ]
수교국 10개국
국가 코드
[ 펼치기 · 접기 ]
2자코드 LK
3자코드 LKH
한자약칭 (난·란)
미르도프 크론

란카헤 연방 또는 란카헤아트리아 동북쪽에 위치한 연방제 공화국이다. 본토의 서쪽으로 피페레 제국, 남쪽으로 한카 교회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다. 국명은 과거 라바힌 문명의 자연과학어로 부르던 현 코메바 반도 북부에서 유래하였다.

언어 명칭+
란카헤 연방 크랖토스젠 란베데라시니 눈 란가헤
디누단마 무디두기 nankai kumu kuku
바샨니 바샨니어 Lankillueviy Vanirhteva
구오 사삼오일 61996 40, 61996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es'Friy ke'Rancheshiy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Karonatio die Lankahe
? 크리상치아어 Fédération Láncahas, la Láncahé
디누단마 퍈프소븜 kmu lankaxe
피페레 제국 피페레어 Αρμαλεγυεια φωτηρ λανγαηιε
앙둔 제국 헤이어 Lankrahe Ketse(국내표준)
Lankahe Cetshe(국제표준)
은 장성연맹 화칸어 Kafakspummelankahe
대한민국 한국어 란카헤 연방, 란카헤
중화민국 한문 蘭加海聯邦 (란가해연방)
안드로 안드로어 fkszkgp dusqkd, fkszkgp
메다 메다어 yfs0fmc jes;fa, yfs0fmc

지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지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연방은 다양한 기후대에 걸쳐 있는 국가이다. 국토의 북쪽은 코메바 반도 상에 위치하고 있으며, 적도 부근의 열대 기후를 보인다. 또한 코메바 반도 서쪽 끝과 라바힌 제도는 화산섬들이 위치한 화산 지대이다. 남쪽에는 한카 산맥이 위치해 고산 기후를 보이는 지역이 있으며, 한카 산맥 서쪽으로는 건조한 부사네데 사막이 위치한다.

자연재해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자연재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연방의 북부는 탄티샤 판이 라시디 판과 아트리아 판 밑으로 섬입하는 지진·화산대이다. 이에 따라 과거부터 잦은 지진과 화산 활동을 보였던 지역이며, 사트에서 알려진 가장 큰 화산 폭발이었던 1058년 대폭발 등의 전례가 있다. 란카헤 동부 해안의 경우에는 열대성 저기압(한국의 태풍)이 생기는 지역으로 종종 강풍과 폭우에 의한 피해가 있다. 서부의 경우 부사네데 사막에서 모래 폭풍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환경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환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후대가 대부분 열대우림이나 사막, 화산지대와 같은 곳이었던 만큼 개발이 쉽지 않았던 영향으로 지금까지도 자연환경의 보전이 잘 이루어진 편이다. 또한 크랖토스 공화국의 경우 거의 유일하게 농업이 가능한 만큼 농경지를 보호해야 하기에 개발이 제한되고 있다. 이런 문화를 바탕으로 환경 보호가 제도적으로 강력하게 이루어지는 편이며 전기도 대부분 발전이 아닌 전지를 사용하기에 파괴의 위험도 크지 않다. 다만 이런 문화와 사회 풍조로 인해 대규모 기간시설의 건설이 여론의 반대로 무산되는 어려움도 자주 있다.

역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연방은 크리상치아 혹은 자소크에서 서북쪽의 무르무르 제도와 라바힌 제도를 거쳐 내려온 사람들, 동쪽 레니스카에서 건너온 사람들, 그리고 피페레에서 넘어온 사람들로 구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래 무르무르 제도 쪽 사람들과 레니스카에서 온 사람들의 국가는 각각 서쪽과 동쪽에서 별도로 있었으나, 1058년 대폭발 이후 대부분 동남쪽으로 이동, 현재의 모양을 갖추게 되었다. 1천년대 초반 이전에는 서북쪽의 라바힌 제도 문명이 상당히 발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화산 폭발로 대부분 소실되었다.

대폭발 이후 기존 라바힌 문명의 사람들은 남쪽의 부사네데 사막으로 대거 이동, 현재의 민히 멘예보 지역에 정착했다.

3천년대 중반에 라바힌 문명의 후손들이 부사네데 사막에서 한카 산맥을 넘어 한카족 혼혈들과 함께 크랖토스 지역에 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같은 시기 코메바 반도 북쪽과 보시디나 섬들은 카오 왕국에서 이주한 사람들이 재정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4638년, 카오 왕국, 크랖토스 공화국, 그리고 신시비히 란부세 공화국 사이에 비라게라 조약이 체결되어, 란카헤 연방이 탄생했다. 코우노 공화국과 신네 란부세 공국은 조약의 결과로 각각 크랖토스 공화국과 카오 왕국에서 분리된 별도의 구성국이 되었다.

정치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정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연방은 이름에서 암시되듯이 연방제 국가이다. 란카헤 연방은 연방회의를 필두로 한 행정부와 연방의회를 필두로 한 입법부, 그리고 대법원이 이끄는 사법부의 전통적인 삼권 분립이 이루어져 있다.

연방 차원의 입법부인 연방의회는 각 구성국의 인구에 비례하여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며, 입법권 등을 가진다. 실질적인 의장의 권한은 연방총리가 가지는데, 형식적으로는 행정부의 수반도 겸하나 입법부의 실질적인 수반에 더 가깝다. 연방 구성국들에도 각각 의회가 존재하며 그 체계는 구성국 별로 다르다.

연방의 행정부는 최고기관인 연방회의에서 시작된다. 연방회의의 구성원은 구성국별로 1인씩 선출되며, 합산투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출된다. 회의의 의장은 대통령으로, 연방회의의 구성원이 돌아가며 맡는다. 연방회의 산하에는 대통령 직속기관과 장·차관이 있는 일반적인 부처가 존재한다. 구성국 별로도 연방정부 차원의 부처에 대응되는 부처가 존재하며, 구성국 정부는 연방회의의 지시에 따라 움직이는 경우가 많다. 연방회의와 별도로 존재하는 국무원은 경제 체제의 유지가 주목적으로, 경제 관련 정책과 법률에 관여한다.

연방의 사법부는 대법원과 구성국별 고등법원, 그리고 이하의 일반법원 등 하급법원으로 구성된다. 대법관은 의회에서 추천하여 연방회의에서 임명하고, 대법원장은 대법관 중에서 돌아가며 맡는다. 구성국별 고등법원의 판사들은 대법원에서 임명하며, 그 아래의 하급법원들은 구성국 고등법원에서 임명한다.

행정구역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행정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연방에는 총 5개의 연방 구성국이 존재한다. 각 구성국은 자체적인 수도와 행정구역 구획을 가지고 있으며, 연방 결성 이전의 위치를 바탕으로 각 구성국의 영토가 조정되어 있다. 연방 구성국은 다음과 같다.

  • 카오 왕국
  • 크랖토스 공화국
  • 코우노 공화국
  • 신네 란부세 공국
  • 신시비히 란부세 공화국

경제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경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연방은 기본적으로 수정자본주의에서 국가자본주의를 오가며 경제가 이뤄지고 있는데, 연방의회와 연방회의의 정치성향에 따라 경제 정책의 기조가 조금씩 바뀐다. 대부분의 1·2차 산업은 국유화된 공기업으로, 내수 시장에서 한 분야에 여러 공기업이 진출해 경쟁하는 구도이다. 관광·문화 산업 및 금융 산업이 주요 산업인 란카헤의 특성상 3차 산업은 국영화 비율이 매우 낮으며, 대신 높은 세금이 매겨져 공기업의 적자를 채워주고 있다.

기술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기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바힌 문명 시절부터 발전되어 온 항공 산업과 전기 공업이 발달해 있다. 특히 전기 공업의 경우 직류 전지를 바탕으로 한 기술들이 란카헤의 과학기술을 이끌고 있다고 할 정도로 중요한 기반 산업이다.

사회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사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여러 나라가 합쳐져서 생긴 연방이다 보니 지역별로 인구와 민족의 분포 차이가 상당하다. 정치체제의 차이에 의한 사회제도의 차이도 남아있는 편이다. 대체로 국가자본주의를 바탕으로 한 복지시스템이 잘 구축되어 있는 편이다.

인구와 민족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인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연방의 인구는 적절한 출산율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의학 기술의 부족으로 고령화되지 않으며 인구의 증가세 또한 급격하지는 않다. 인구의 대부분이 란카헤인(라바힌인·윤게인)이나 피페레, 한카 출신도 어느 정도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교육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교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개념적 교육을 중시하기에 어릴 때부터 교육을 시작해 성인이 되어서도 교육을 계속한다. 7세(지구 나이 만 3.5세)에 기본교육원에 입학하여 20세(지구 나이 10세)까지 배우며, 20세부터 34세(지구 나이 17세)까지 고등교육원에서 심화 과정을 배운다. 이후 34세부터는 약 100세(지구 나이 50세)까지 창정원에서 결정적 지능의 사용을 교육받고 연습한다.

종교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종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과학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종교의 영향력이 감소한 이후로 무교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대부분의 종교 신자들은 카오 왕국의 왕족·귀족 출신들이거나, 피페레와 한카 출신의 콰미드·한카인들이다.

교통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교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직류전기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전기자동차가 매우 많으며, 철도보다는 도로 교통이 활성화되어 있다. 최근에는 1인용 전기비행기의 보급이 활발하다.

문화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란카헤 문화는 한카 산맥을 기준으로 크게 두 개로 나뉜다. 서쪽의 노바 라바힌 문화와 동쪽의 윤게 문화가 그것으로, 과거 서쪽과 북쪽에서 도래해 정착한 라바힌 문명과 동쪽의 레니스카에서 넘어온 윤게 문명이 이어진 것이다. 다만 남쪽의 크랖토스 지역의 경우 상대적으로 새로 생긴 국가의 특성상 두 문화와 한카 문화가 융합된 형태를 보인다.

언어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크랖토스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크랖토스 지역에서 사용하던 크랖토스젠(크랖토스 어)가 공용어로 쓰이고 있다. 과거 라바힌 문명에서 사용하던 자연과학어의 흔적이 남아 있는 단어들이 많이 존재한다.

공휴일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공휴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무교가 많아 종교 기념일보다는 연방 구성국 차원의 건국일 등을 연방 공휴일로 지정해 기념하고 있다. 공휴일은 다음과 같다.

  • 1월 17일: 라바힌 상기일(지역에 따라 연휴)
  • 3월 14일: 크랖토스 건국기념일
  • 3월 15일: 민주주의의 날
  • 7월 5일: 연방 성립기념일
  • 7월 22일: 신시비히 란부세 건국기념일
  • 8월 18일: 카오 건국기념일

외교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916년 순기 마 영토 조약의 체결 이후 폐쇄적이었던 외교 기조가 변화하기 시작해 현재는 10개국의 수교국을 가지고 있으며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수교국

군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란카헤 연방/군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상대적으로 군사 부문에 대한 투자가 많은 편은 아니라 군사력이 강하지 않다. 특히 육군과 해군의 경우에는 화약 관련 기술이 거의 전무하기에 냉병기를 사용하고 있다. 드물게 레일건 등을 도입한 경우도 있으나 개인이 휴대하기에는 부피가 커서 개인화기는 아직도 창과 검, 방패 등이다. 공군의 경우 전기비행기를 바탕으로 어느 정도의 규모를 형성하고 있으나 역시나 화약 기술이 없어 공격력은 약하다.

각주

  1. 2024년 6월 28일 15시 19분 01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