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인식 사투리: 두 판 사이의 차이

(되는대로 추가 예정)
 
편집 요약 없음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상위 문서|앙둔 제국/어문}}
{{사트}}
{{사트}}
{{앙둔 문화}}
{{갑인 문화}}
{{앙둔 외교}}


== 개요 ==
== 개요 ==
{{국기|앙둔 제국}}의 [[갑인]]들이 세계 각국으로 진출하고 현지의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특이한 사투리들을 일컫는다. [[갑인]] 정착 초기에 만들어진 피진 혹은 그 크레올어와는 분명히 구분되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은 크게 상관하지 않는 편이다.
[[갑인]]들이 세계 각국으로 진출하고 현지의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특이한 사투리들을 일컫는다. 최초의 갑인식 사투리는 [[앙둔 제국]] 시기에 발생하였다. [[갑인]] 정착 초기에 만들어진 피진 혹은 그 크레올어와는 분명히 구분되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은 크게 상관하지 않는 편이다.


워낙에 특징 잡기가 쉽다보니, 각종 대중매체에서는 [[갑인]]이 아닌 인물까지도 말투를 따라하는 모습을 숱하게 볼 수 있다. 다만 종차별적인 코미디에서 자주 등장하므로 [[앙둔 제국]]을 비롯한 [[갑인]] 공동체의 시선은 당연히 좋지 않으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시민운동도 자주 진행한다.
워낙에 특징 잡기가 쉽다보니, 각종 대중매체에서는 [[갑인]]이 아닌 인물까지도 말투를 따라하는 모습을 숱하게 볼 수 있다. 다만 종차별적인 코미디에서 자주 등장하므로 [[앙둔 제국]]을 비롯한 [[갑인]] 공동체의 시선은 당연히 좋지 않으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시민운동도 자주 진행한다.
16번째 줄: 14번째 줄:
[[갑인]]은 인간과는 판이하게 다른 구강구조를 지니며, 그 때문에 3쌍의 턱다리와 물방울의 출입을 이용하여 조음한다. 또한 그들의 대표적인 언어인 [[헤이어]]는 권설음과 양순 연구개음이 다양하며, 중설 모음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곌룩셸룩 혹은 곌룽셸룽 등의 멸칭이 생겼으며, 이를 보통 "보글쟁이" 정도로 의역한다.
[[갑인]]은 인간과는 판이하게 다른 구강구조를 지니며, 그 때문에 3쌍의 턱다리와 물방울의 출입을 이용하여 조음한다. 또한 그들의 대표적인 언어인 [[헤이어]]는 권설음과 양순 연구개음이 다양하며, 중설 모음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곌룩셸룩 혹은 곌룽셸룽 등의 멸칭이 생겼으며, 이를 보통 "보글쟁이" 정도로 의역한다.


== 문법 ==
갑인식 사투리의 음성학적 특징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헤이어]]의 기본 어순인 SOV의 형태와, [[헤이어/문법|접사]]를 붙여 말하는 습관이 흔하게 나타난다. 또한 [[갑인]]들이 즐겨쓰는 [[헤이어/문법#감탄사|감탄사]]도 자주 혼용된다.
* 순음의 마찰음화
* 순 비음의 접근음화
* 치경음의 권설음화
* 구개 접근음의 유성 권설 마찰음화
* 연구개음의 경구개음화
* 성문음의 후두개음화
* 음절말 비음의 비모음화
* 모음의 중설 모음화


* Jaixam (안녕하세요)
또한 특정 조건에서 아래의 변화가 나타난다.
* Gruy (좋아요)
* 음절말 비음의 이중조음화
* Demaq (대단해요)
* 음절말 파열음의 이중조음화
* Owa / Wa (와)
* Og (오호)
* Gempas (맙소사)


== 회화 ==
== 문법 ==
각 언어 별로 [[갑인]]식 인삿말 혹은 기초 표현을 소개한다.
[[헤이어]]의 기본 어순인 SOV의 형태와, [[헤이어/문법|접사]]를 붙여 말하는 습관이 흔하게 나타난다. 다만, 주격 조사(이/가)와 보조격 조사(은/는)는 생략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이 있거나 원과거를 표현할 때는 첩어로 말하는 습관이 있으며, [[갑인]]들이 즐겨쓰는 [[헤이어/문법#감탄사|감탄사]]도 자주 혼용된다.


=== [[뤼미에르어]] 사투리 ===
* 안녕. : Jaixam. / Dzaikham.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 center"
* 좋아. : Gruy. / Guth.
|-
* 대박! : Demaq! / Devack!
! style="width:35%" | 갑인식
* 오호! : Og. / Ong.
! style="width:30%" | 의미
* 젠장! : Gempas! / Jempash!
! style="width:35%" | 원형
* 닥쳐! : Fvtu! / Pheotu!
|-
! Fasha.
| 안녕하세요.
| fasia。
|-
! Jaikan.
| 안녕.
| Jaixam.
|-
! Cevir<br>nurnet.
| 좋은 아침.
| Ciemi nunaite。
|-
! Thecici.
| 고마워.
| Thaici。
|-
! Valala.
| 미안해.
| Bliza。
|-
! Sha?
| 괜찮아?
| Siha?
|-
! Ze.
| 어.
| Yep。
|-
! Nifi.
| 아니.
| Nipi。
|-
! Cerara.
| rowspan="2" | 좋아.
| Ciera。
|-
! Guk.
| Gruy.
|-
! Namna.
| 싫어.
| Nap。
|-
! Devak!
| 대박!
| Demaq!
|-
! Va!
| 으악!
| Mua!
|-
|}


=== [[무디두기]] 사투리 ===
아래의 어미들은 말 끝에 붙어 어조를 표현해준다. 공통적으로 자음+a의 형태이며, 더 강하게 말하고 싶을 때는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거나 강세를 준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 center"
* 자기중심 표현 어미
|-
** ha: 좋은 상황에 놓여있을 때
! style="width:35%" | 갑인식
** ra: 나쁜 상황에 놓여있을 때
! style="width:30%" | 의미
** wa: 놀랍거나 기분이 좋을 때
! style="width:35%" | 원형
** xa: 심각하거나 화가 났을 때
|-
** la: 자신이나 감흥이 없을 때
! uiua.
* 상대중심 표현 어미
| rowspan="2" | 안녕.
** ya: 상대가 집중하길 바랄 때
| uima.
** na: 상대에게 질문하려 할 때
|-
** ma: 상대에게 되묻고 싶을 때
! saikan.
| Jaixam.
|-
! una siu<br>siun tin.
| 좋은 아침.
| muna siu<br>sun tin.
|-
! una<br>siun tin.
| 좋은 점심.
| muna<br>sun tin.
|-
! una aua<br>siun tin.
| 좋은 저녁.
| muna ama<br>sun tin.
|-
! una<br>un tin.
| 좋은 밤.
| muna<br>mun tin.
|-
! mi sia<br>sina uiua.
| 만나서<br>반갑습니다.
| mi sa<br>sina uima.
|-
! ui sia<br>sina utin uiua.
| 만나서<br>대단히 반갑습니다.
| mi sa<br>sina mutin uima.
|-
! una.
| 감사합니다.
| muna.
|-
! utin una.
| 대단히<br>감사합니다.
| mutin muna.
|-
! sikia ui.
| 죄송합니다.
| ika mi.
|-
|}


=== [[아양와챠어]] 사투리 ===
== 회화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 center"
아래에 예시로 쓰인 것은 대표적인 갑인식 사투리인 타소스피카<small>([[갑인|'''Ta'''quin]]+[[자소크어|Za'''sospika''']])</small>로, [[자소크 철학단]]에서 쓰인다.
|-
! style="width:35%" | 갑인식
! style="width:30%" | 의미
! style="width:35%" | 원형
|-
! Scag ŷ?
| rowspan="2" | 안녕?
| Sâg u?
|-
! Jyghag.
| Jaixam.
|-
! Scag ŵag ŷ?
| 안녕하세요?
| Sâg ŵâg u?
|-
! Jŷ ŵag!
| 어이!
| Sju ŵâg!
|-
! Jŷca ŵag?
| 별일 없어?
| Sjucâ ŵâg?
|-
! Jŷ scy ŵag?
| rowspan="2" | 어떻게<br>지내세요?
| Sju scij ŵâg?
|-
! Aŝ scag ŷ?
| Aĵ sâg u?
|-
! Aŝ coŝ scag ŷ?
| 잘 지내시죠?
| Aĵ côŝ sâg u?
|-
! Ugge<br>ŵayĉa ŵag.
| 반가워요.
| Ûggheĥ<br>ŵayĉâ ŵâg.
|-
! Jascag scohig<br>ghug ŵe?
| 오랜만이네요.
| Sjasag sohig<br>ghûg ŵe?
|-
! Ugge uŝag<br>ujag ŵag scu.
| 오랫동안<br>못 뵈었네요.
| Ûggheĥ uĵaĝw<br>ujag ŵâg scû.
|-
! Uŝagja<br>caca ŵag.
| 처음<br>뵙겠습니다.
| Uŝagja<br>cacâ ŵâg.
|-
! Cagca uŝagja ŵajca ŵag.
| rowspan="2" | 만나 뵈어서<br>반갑습니다.
| Cagcâ uŝagja ŵayĉâ ŵâg.
|-
! Cagca uŝagja caca ŵag.
| Cagcâ uŝagja cacâ ŵâg.
|-
|}


=== [[자소크어]] 사투리 ===
* A: Zy, Rizu! Dish doticaë na?<br>A: 새꺄! 이게 몇 년 만이고?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 center"
* B: Zaiquam! Niro nonè ra~ Disish do na?<br>B: 어이! 그새 또 삭아삤네~ 요즘 어떻노?
|-
* A: Gut ha~ Niro orudè?<br>A: 좋제~ 니 밥 뭇나?
! style="width:35%" | 갑인식
* B: Ec ry. Niro va?<br>B: 아직. 니는?
! style="width:30%" | 의미
* A: Dego. Zat orudàd?<br>A: 내도. 뭐 먹고 싶노?
! style="width:35%" | 원형
* B: Hmm, tajùn. Zatòve.<br>B: 흠, 생각해야지. 기다리바라.
|-
* A: Ezit'ajòve~ Hanurunash.<br>A: 빨리 골라라~ 배고프다.
! Anishca.
* B: Qua, Fytu! Shfacòve.<br>B: 아, 닥치고 조용히 해라.
| 안녕하세요.
* A: Za, Shorishé voquè voquè tavoravruva na?<br>A: 야, 전에 자주 갔던 생선집 어떻노?
| Aniska.
* B: Uy, Devaque! Ecosi na? Za, Voque voque!<br>B: , 대박! 거기 아직도 하나? 야, 가자가자!
|-
! Anishcas.
| 안녕하세요들.
| Aniskas.
|-
! Cannä.
| 안녕.
| Jaixam ä.
|-
! Shernévog.
| 좋은 아침.
| Shainémog.
|-
! Shernérnit.
| 잘 자.
| Shainénit.
|-
! Felosh<br>çovizashpo<br>çom.
| 반가워.
| Felosh<br>quovizash spo<br>kom.
|-
! Varnisha.
| 잘 가.
| Vanisha.
|-
! Zupazupa.
| 고마워.
| Üpa.
|-
! Lavelave.
| 미안해.
| Lazverdie.
|-
! Za.
| .
| Ä.
|-
! Na.
| 아니.
| Nah.
|-
! Lashen.
| rowspan="3" | 좋아.
| La' shain.
|-
! Shenshen.
| Shain shain.
|-
! Lagut.
| La' gruy.
|}


=== [[크리상테스어]] 사투리 ===
== 도보게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 center"
{{김현제 인공어/사트}}
|-
! style="width:35%" | 갑인식
! style="width:30%" | 의미
! style="width:35%" | 원형
|-
! Scialu.
| rowspan="2" | 안녕.
| Salv'.
|-
! Zairam.
| Jaixam.
|-
! Sciaf.
| rowspan="3" | 안녕하세요.
| Salve.
|-
! Sciaft.
| Salvete
|-
! Sciato.
| Salutau.
|-
! Valu.
| 안녕히.
| Val'
|-
! Vale.
| rowspan="2" | 안녕히<br>계세요.
|
|-
! Valt.
| Valete.
|-
! Grace.
| 고마워.
| Gratíe.
|-
! Fernito.
| 미안해.
| Péniteau.
|-
|}
 
=== [[트라벨레메]] 사투리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35%" | 갑인식
! style="width:30%" | 의미
! style="width:35%" | 원형
|-
! Tarang.
| rowspan="2" | 안녕.
| Thrang.
|-
! Jaahang.
| Jaixam.
|-
! Taraveleve.
| 안녕하세요.
| Thravelemeh.
|-
! Gyara.
| 잘 가.
| Ghna.
|-
! Gyararta.
| 안녕히<br>계세요.
| Ghnarhth.
|-
! Zirosh.
| 미안해.
| Irosh.
|-
! Za shi<br>zirosh.
| 미안합니다.
| Ya si<br>irosh.
|-
! Shishi.
| 어.
| Sei sei.
|-
! Torton.
| 아니.
| Ton ton.
|-
! Jong.
| 알아.
| Juonk.
|-
! Za vo jong.
| 난 알아요.
| Ya vod juonk.
|-
! Ton jong.
| 몰라.
| Ton juonk.
|-
! Za ton<br>vo jong.
| 저는<br>모르겠어요.
| Ya ton<br>vod juonk.
|-
! Nak fodang.
| 할 수 있어.
| Nak vodhm.
|-
! Za nak<br>vo fodang.
| 할 수 있어요.
| Ya nak<br>vod vodhm.
|-
! Za ton nak<br>vo fodang.
| 할 수 없어요.
| Ya ton nak<br>vod vodhm.
|-
|}
 
=== [[퍈프소븜]] 사투리 ===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 center"
|-
! style="width:35%" | 갑인식
! style="width:30%" | 의미
! style="width:35%" | 원형
|-
|}


== 도보게 ==
== 각주 ==
== 각주 ==
[[분류:갑인]]

2023년 7월 17일 (월) 00:02 기준 최신판

+ 갑인 문화
절기 어문 음식
관광 스포츠 음악

개요

갑인들이 세계 각국으로 진출하고 현지의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특이한 사투리들을 일컫는다. 최초의 갑인식 사투리는 앙둔 제국 시기에 발생하였다. 갑인 정착 초기에 만들어진 피진 혹은 그 크레올어와는 분명히 구분되지만, 일반적인 사람들은 크게 상관하지 않는 편이다.

워낙에 특징 잡기가 쉽다보니, 각종 대중매체에서는 갑인이 아닌 인물까지도 말투를 따라하는 모습을 숱하게 볼 수 있다. 다만 종차별적인 코미디에서 자주 등장하므로 앙둔 제국을 비롯한 갑인 공동체의 시선은 당연히 좋지 않으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시민운동도 자주 진행한다.

발음

만약, 갑인이 한국어를 구사한다면 대강 이런 식일 것이다.

알녕아셰요? 졔 이어웡 쳘슁위다.
안녕하세요? 제 이름은 철수입니다.

갑인은 인간과는 판이하게 다른 구강구조를 지니며, 그 때문에 3쌍의 턱다리와 물방울의 출입을 이용하여 조음한다. 또한 그들의 대표적인 언어인 헤이어는 권설음과 양순 연구개음이 다양하며, 중설 모음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곌룩셸룩 혹은 곌룽셸룽 등의 멸칭이 생겼으며, 이를 보통 "보글쟁이" 정도로 의역한다.

갑인식 사투리의 음성학적 특징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 순음의 마찰음화
  • 순 비음의 접근음화
  • 치경음의 권설음화
  • 구개 접근음의 유성 권설 마찰음화
  • 연구개음의 경구개음화
  • 성문음의 후두개음화
  • 음절말 비음의 비모음화
  • 모음의 중설 모음화

또한 특정 조건에서 아래의 변화가 나타난다.

  • 음절말 비음의 이중조음화
  • 음절말 파열음의 이중조음화

문법

헤이어의 기본 어순인 SOV의 형태와, 접사를 붙여 말하는 습관이 흔하게 나타난다. 다만, 주격 조사(이/가)와 보조격 조사(은/는)는 생략하는 경향이 강하다. 또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이 있거나 원과거를 표현할 때는 첩어로 말하는 습관이 있으며, 갑인들이 즐겨쓰는 감탄사도 자주 혼용된다.

  • 안녕. : Jaixam. / Dzaikham.
  • 좋아. : Gruy. / Guth.
  • 대박! : Demaq! / Devack!
  • 오호! : Og. / Ong.
  • 젠장! : Gempas! / Jempash!
  • 닥쳐! : Fvtu! / Pheotu!

아래의 어미들은 말 끝에 붙어 어조를 표현해준다. 공통적으로 자음+a의 형태이며, 더 강하게 말하고 싶을 때는 다른 모음으로 대체하거나 강세를 준다.

  • 자기중심 표현 어미
    • ha: 좋은 상황에 놓여있을 때
    • ra: 나쁜 상황에 놓여있을 때
    • wa: 놀랍거나 기분이 좋을 때
    • xa: 심각하거나 화가 났을 때
    • la: 자신이나 감흥이 없을 때
  • 상대중심 표현 어미
    • ya: 상대가 집중하길 바랄 때
    • na: 상대에게 질문하려 할 때
    • ma: 상대에게 되묻고 싶을 때

회화

아래에 예시로 쓰인 것은 대표적인 갑인식 사투리인 타소스피카(Taquin+Zasospika)로, 자소크 철학단에서 쓰인다.

  • A: Zy, Rizu! Dish doticaë na?
    A: 새꺄! 이게 몇 년 만이고?
  • B: Zaiquam! Niro nonè ra~ Disish do na?
    B: 어이! 그새 또 삭아삤네~ 요즘 어떻노?
  • A: Gut ha~ Niro orudè?
    A: 좋제~ 니 밥 뭇나?
  • B: Ec ry. Niro va?
    B: 아직. 니는?
  • A: Dego. Zat orudàd?
    A: 내도. 뭐 먹고 싶노?
  • B: Hmm, tajùn. Zatòve.
    B: 흠, 생각해야지. 기다리바라.
  • A: Ezit'ajòve~ Hanurunash.
    A: 빨리 골라라~ 배고프다.
  • B: Qua, Fytu! Shfacòve.
    B: 아, 닥치고 조용히 해라.
  • A: Za, Shorishé voquè voquè tavoravruva na?
    A: 야, 전에 자주 갔던 생선집 어떻노?
  • B: Uy, Devaque! Ecosi na? Za, Voque voque!
    B: 어, 대박! 거기 아직도 하나? 야, 가자가자!

도보게

각주

  1. 2024년 6월 26일 13시 25분 55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