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iquorsinatio die Mohazie+ Mohazie | ||
---|---|---|
모하지 공화국 | ||
| ||
표어 | Satésinavistasin[12] Vłvoé Çżóŕézmül[13] ________[14] 세계의 전달자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색 | MOHAZIÉPRADOL(#2996cc) MOHAZIÁLIVAISUÇES(#fdde59) |
---|---|
역사 | |
이전 형태 | |
모하지 공화국 | 4958년 8월 22일 |
지리 | |
수도 | 모하카 |
최대도시 | 모지, 모더라 |
접경국 | ![]() |
하위 행정 구역 | |
모하지 공화국 | 4958년 8월 22일 |
어문 | |
공용어 | 파셀어, 자소크어, 파인어 |
경제 | |
통화 | 테로 (Ŧ) |
단위 | |
기년법 | 자소크력 |
시간대 | ASN+20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국가 코드 | |
2자코드 | MH |
3자코드 | |
한자약칭 | 謨(모) |
IMENOS · 스치 · LIKI |
모하지 공화국은 레니스카 북부의 공화국이다. 플리오센 공화국, 앙둔 제국의 주레니스카 산업단지와 접경하고 있다.
모하지 공화국은 법적으로 자소크 철학단과 플리오센 공화국의 영토에 동시에 포함하는 영역이지만, 독자적인 입법·사법·행정부가 존재한다.
언어 | 명칭+ |
---|---|
Taiquorsinatio die Mohazie | |
![]() |
모하지 공화국 |
![]() |
Republic of Mohazie |
ahgkwl rhdghkrnr | |
ivmfld kvam/fkbx |
역사
4946년까지 모하지 공화국은 제리드발로 공화국의 제3차 영토확장을 통해 제리드발로 공화국의 영토로 편입되었다. 하지만 제리드발로 공화국의 무리한 영토 개발 끝에 제리드발로 공화국에 외환위기가 발생했고, 새로 얻은 땅인 모하지 공화국의 영토를 매각하기에 이른다. 이에 자소크 철학단과 플리오센 공화국은 4958년 8월 22일, 현재 모하지 공화국의 영토를 구매하여 공동소유하게 되었다.
도보게
각주
- ↑ 1.0 1.1 2025년 5월 29일 22시 37분 51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7개 회사 전원
- ↑ 4.0 4.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크리상치아 내전으로 멸망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종교 및 외교 분야에서 사용하며,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다.
- ↑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갑인 자소크어이다.
- ↑ 자소크어
- ↑ 파셀어
- ↑ 파인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