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국가 | |
---|---|
사용 지역 | 탄티샤 동부 및 운론이 퍼진 지역 |
초기형태 | 운론/역사 |
언어코드 | LI-BQ[11] |
사전 | 베르쿠암_사전 |
베르쿠암(Berqvam)은 포터스 영창에 사용되는 언어이다. 베르쿠암은 리브렌스카에서 사용되기 시작한 언어이지만 마법 영창이라는 특별한 이유로 인해 몇 천년간 음운론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
베르쿠암은 사트 메타계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모방해서 만큰 메타계의 인공언어라는 것이 운론학자들의 믿음이다. 마인크래프트로 치면 커맨드에 해당하는 격이다.
메타적으로는 스치, 리키, 이메노스가 베르쿠암을 인공어로 제작하고 있다. 베르쿠암의 단어 목록은 자소크어와 같이 이곳에서 볼 수 있다.
언어 | 명칭+ |
---|---|
Berqvam | |
Berqûam | |
la Berquame | |
![]() |
베르쿠암 |
qpfmzndka | |
;cyg0bjfz |
역사
발생
실제로 언제부터 베르쿠암이 구사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자료는 없으나, 베르쿠암을 글로서 표현하려고 했던 것은 자소크력 500년경에 작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리브렌스카의 사료가 최초인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고, 현대적인 연구가 시작된 것은 20세기 즈음으로 본다.
운론에 따르면 사트는 메타계의 개발자에 의해 만들어진 메타계 상 프로그램인데, 이 프로그램의 프로그램 내 디버깅을 위한 백도어의 역할을 수행한 시스템 명령어가 베르쿠암이라는 식의 이야기가 정설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포터스의 초보적인 형태는 모두 베르쿠암을 숙지하고 그 뜻을 이해하여 영창하는 것으로 실현되고, 잘못 말하거나 음소 몇 개가 틀려도 포터스를 구사할 수 없는 등 음소를 정확히 알고 발음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베르쿠암은 처음 알려진 때부터 음성학적으로 전혀 변화하지 않아왔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이 너무 신화에 기반하였기 때문에, 틀렸다고 주장하는 학자도 당연히 있다. 일례로 23세기에 발견된 사료에서 자스호카의 사람들이 리브렌스카를 발견했을 때 리브렌스카에서는 기상천외한 일이 많이 일어나고 마법을 일상처럼 받아들인다고 기록한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를 토대로 당시 리브렌스카에서 베르쿠암 또는 베르쿠암의 방언에 해당하는 언어를 일상어로 사용했고, 자신들이 잘 사용하는 베르쿠암이라는 언어에 마법을 걸어 마법을 구사하도록 한 것이 아니겠느냐 하는 주장도 있다.
실제로 리브렌스카에서는 베르쿠암을 제외한 어떤 언어적 기록도 발견되지 않아서, 자스호카 민족이 리브렌스카를 발견하기 전까지는 리브렌스카에서 베르쿠암을 일상어로 사용했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스호카–리브렌스카 동화
900년 경 자스호카와 리브렌스카가 동화될 당시까지 리브렌스카에서는 베르쿠암에 기반한 언어를 일상어로 사용했지만 현대에는 리브렌스카의 모든 지역에서 자소크어를 사용하고 베르쿠암은 포터스 영창을 위해서만 사용되는데, 이것은 베르쿠암으로의 발화가 포터스 영창으로 이어져 일상에서 사용하기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 마침 새로운 민족과의 교류와 시너지를 일으켜 자소크어를 일상어로 사용하도록 되었다는 가설로 설명된다.
하지만 정확한 음소를 사용해야 하는 베르쿠암의 경우 단어의 음소만 변경하면 이러한 특징이 모두 사라지기 때문에, 언어의 경제성 상 리브렌스카 전역에서 자소크어를 사용하게 되는 것보다 베르쿠암을 기반으로 한 방언으로 변화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일각에서는 자소크의 문화적 영향력이 국제사회에서 리브렌스카보다 강한 탓에 사회 전반적으로 자소크어 사용을 하게 수렴했다는 등의 가설도 제시된다.
이 부분은 아직 사학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vnpov mernel의 발견
20세기 즈음 발견된 포터스 주문 “Ivnpov mernel”는 갑자기 아주 많은 포터스 주문을 떠오르게 한다. 이 주문은 비용이 아주 많이 들지만 영창자가 모르는 주문도 알게 하므로, 이 주문이 최초로 공개적으로 영창된 후부터 자주 사용되었다. 이 때를 기점으로 포터스의 문법이나 단어를 성문화하려는 움직임이 생겨났다.
문법
베르쿠암은 SVO 어순의 전치수식 고립어이다. 상기한 주문 "Ivnpov mernel"은 "ivnpov(생각하다)", "mernel(영창)"으로 이루어져있다.
음운론
문자 | ||||||
---|---|---|---|---|---|---|
A | B | C | D | E | F | G |
a | b | ʃ | d | e | f | g |
I | K | L | M | N | O | P |
i, j | k | l | m | n | o | p |
R | S | T | V | W | X | Z |
ɾ | s | t | u, w | v | ʒ | z |
예문
- Aat kesna 빛이 있으라
도보게
각주
- ↑ 2025년 2월 21일 15시 39분 2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7개 회사 전원
- ↑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크리상치아 내전으로 멸망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종교 및 외교 분야에서 사용하며,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다.
- ↑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갑인 자소크어이다.
- ↑ 베르쿠암이 리브렌스카에서 기원했다는 운론의 믿음에 따라서 LI라는 지역 코드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