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부위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5년 3월 9일 (일) 23:3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내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에스라스타 내전은 국내외로 혼란했던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 직격타를 가한 사건인 긴 밤의 시대로 촉발된 내전이다. 이 내전으로 에스라스타는 일명 사성의 몰락을 맞이하며 일시적 해체, 사실상의 멸망 수순을 밟게 된다. 에스라스타 내전은 5880년 6월 2일 발발했으며 전쟁은 현재 진행형이다. {{인용문|'''에스...)
- 2025년 3월 5일 (수) 17:18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북베하니아 독립 전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전쟁 정보 | 상징색 = #26c1db | 폰트색 = #231f1f | 전쟁_명칭 = 북베하니아 독립 전쟁 | 전쟁_원어명칭 = kue-vehanian indipindorpurtision | 전쟁_일시 = 5772년 2월 4일 - 5773년 6월 9일 | 전쟁_장소 = 베하니아, 에스라스타-베하니아 교통로 | 전쟁_원인 = 에스라스타 왕권 투쟁으로 인한 북베하니아 내 민족적 통일성 약화 | 제1_세력 = 에스라스타연방...)
- 2025년 3월 5일 (수) 17:1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베하니아 국민 공화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Vehannet misanet mistritsout tiemprit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베하니아 국민 공화국 | 국기_그림 = 베하니아국민공화국.png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FF4D70 | 상징색1_이름 = 베하니아 핑크 | 상징색1_글씨색 = black | 상징색2 = #AEC8FF | 상징색2_이름 = 베하니...)
- 2025년 3월 5일 (수) 17:1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하니아국민공화국.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3월 5일 (수) 17:1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하니아국민공화국.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3월 5일 (수) 00:2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사성의 몰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왕국으로는 4122년 6월 11일부터, 공국으로는 약 1100년 경부터 존속해오던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멸망 과정과 그 이후에 대해 서술한 문서이다. == 배경 == 긴 밤의 시대가 시작된 5867년 이전인 5700년경부터 에스라스타는 크고 작은 사회 문제들을 겪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가 하르나야 미토베시토의 전시 내각 선언과 함...)
- 2025년 2월 20일 (목) 01:2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신세이 대학 총평의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神聖大學総評議会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신세이 대학 총평의회 | 국기_그림 = 신세이대학총평의회.PNG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990000 | 상징색1_이름 = 아카노이로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000099 | 상징색2_이름 = 아오노이로 | 상징색2_...)
- 2025년 2월 20일 (목) 00:3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대학총평의회.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2월 20일 (목) 00:3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대학총평의회.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5년 2월 13일 (목) 09:3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도쿠메이 39년 대기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개요 == 도쿠메이 39년 (5842년), 신세이 왕국의 중남부 곡창지대를 비롯한 극동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의 가뭄과 잦은 풍수해, 식량 저장 의식 부족으로 인해 촉발된 식량 위기를 비롯한 신세이 왕국의 1차 산업 기반이었던 중남부 농업이 한 순간에 무너져 내린 사건으로 신세이 왕국 내에서 히츠노주의와 같은 극단주의, 탈군주주의적 정치 세력이...)
- 2025년 2월 12일 (수) 02:5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히츠노주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종교정보 | 외곽선_색 = #990000 | 상징 = 히츠노주의.png | 상징_크기 = 100px | 국어_제목 = 히츠노주의 | 원어_제목 = 環輪主義 | 지위 = 신세이 왕국의 불법단체 | 국가 = | 창시자 = 기타노메이 히츠노 | 시작시기 = 5856년 | 규모 = | 경전 = | 유형 = 군주탈피론, 탈사회론 | 지도자 = 훈쇼(分張) }} == 배경 == 카이레이 개혁...)
- 2025년 2월 12일 (수) 02:3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히츠노주의.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5년 2월 12일 (수) 02:3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히츠노주의.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4년 7월 25일 (목) 01:33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카이레이 개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개요 == 대정탈환, 칸-테이전쟁을 통해 신세이 내의 기득권과 지방 세력들을 청산한 하야다테 아카하나노가쿠는 에이사쿠 사이카의 신진당을 전폭 지지, 카이레이 9대 황국 내각지명에서 에이사쿠의 내각이 선택되며 신진당과 아카하나노가쿠의 개혁이 단행된다. == 척외흥신 == 외국의 언어나 부정한 문물을 배척하고 신세이의 문화를 융성...)
- 2024년 5월 21일 (화) 23:3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하토야마 민정협회 관민 학살사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칸-테이전쟁#하토야마 민정협회 관민 학살사건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4년 5월 21일 (화) 23:3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아사히카와 대화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칸-테이전쟁#아사히카와 대화재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4년 5월 21일 (화) 23:3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시라카와정 무단재판사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칸-테이전쟁#시라카와정 무단재판사건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4년 5월 21일 (화) 23:3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신오쿠보정 학살사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칸-테이전쟁#신오쿠보정 학살사건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4년 5월 21일 (화) 23:3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칸-테이전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전쟁 정보 | 상징색 = #ffca18 | 폰트색 = #231f1f | 전쟁_명칭 = 관-정 전쟁 (파관 전쟁) | 전쟁_원어명칭 = 官-政 戰爭 (破官 戰爭) | 전쟁_일시 = 5521년 2월 18일 ~ 5522년 1월 2일 | 전쟁_장소 = 신세이 왕국 | 전쟁_원인 = 대정탈환으로 인한 정규군의 위세 약화 | 제1_세력 = 신세이 왕국 | 제2_세력 = 신부관협회<ref>국가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관들끼리 맺은 연맹...)
- 2024년 5월 19일 (일) 19:3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신세이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언어 정보 | 이름 = 신세이어 | 자기이름 = 神聖語 | IPA = ɕinseigo | 그림 = | 그림 설명 = | 그림 크기 = | 나라 = {{국기|신세이 왕국}} | 지역 = 레니스카 서부 | 민족 = | 인구 = | 어순 = SOV | 유형 = | 사멸 = | 계통색 = | 계통1 = 한카엔지어족 | 계통2 = 엔지어파 | 계통3 = 고대 신세이어 | 계통4 = 중세 신세이어 | 초기 = | 언어코드 = HE-SS | 사전 = | 하위분류 =...)
- 2024년 5월 18일 (토) 23:5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행정2.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4년 5월 18일 (토) 23:5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행정2.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4년 5월 2일 (목) 21:3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대정탈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전쟁 정보 | 상징색 = #ffca18 | 폰트색 = #231f1f | 전쟁_명칭 = 대정탈환 (시슈반란) | 전쟁_원어명칭 = 大政奪還 (地水叛亂) | 전쟁_일시 = 5413년 2월 14일 ~ 5413년 8월 2일 | 전쟁_장소 = 신세이 왕국 | 전쟁_원인 = 아카하나노가쿠(오오나리)측의 개혁정책에 대한 기득권(시슈)의 불만 | 제1_세력 = 오오나리(大震) | 제2_세력 = 강경 시슈(地水) | 제1_세력_국가와국기 =...)
- 2024년 3월 11일 (월) 00:3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행정.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4년 3월 11일 (월) 00:3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행정.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4년 3월 11일 (월) 00:3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신세이 왕국/왕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개요 == 현재 신세이 왕국에서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는 왕조는 총 3개로 류우지마 황국의 이츠카에家, 미야테츠家, 하야다테家가 있다. == 류우지마 황계 이츠카에家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 100%; margin: -2px 0; text-align: center;" | 이름 || 연호 || 즉위년 || 사망 |- | 이츠카에 오오노타케 || 겐엔(健元) || 4721년 || 미상 |- | 이츠카에 시로이로...)
- 2023년 7월 29일 (토) 01:3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페이시아 세토이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인물 정보 | 이름 = 페이시아 세토이시 | 원어이름 = Peisia setoisi | 그림 = | 그림설명 = | 본명 = | 출생명 = | 출생일 = 5111년 7월 1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가흐텐 별아궁 | 사망일 = | 사망지 = | 사인 = | 발견지 = | 매장지 = | 거주지 = | 국적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민족 = 에스라스타...)
- 2023년 7월 21일 (금) 13:13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2차 정치적 내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서 왕정파가 패배하고 민주파가 올라선 후, 왕정의회의 의석은 고스란히 민주파에게 분배되었다. 이 중 양대산맥으로 올라선 두 정당은 에스라스타 국민당과 에스라스타 공산당(임시사회주의위원회)이다. 에스라스타 국민당은 직후 국회인 86대 국회에서 반공법을 제정하며 공산당을 견제하였다....)
- 2023년 7월 17일 (월) 16:4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1차 정치적 내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1차 팔라디 내전,2차 팔라디 내전 후 에스라스타 내부에서는 남메디아의 안보와 국가의 존속에 대한 의구심이 몰아쳤다. 그와 동시에 당시 당적 정지던 에스라스타 공산당이 불법적으로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에 경제적 지원을 하며 정치적으로 큰 혼란이 찾아왔다. 에스라스타 곳곳에서는 불법 지원을 저지른 에스라스...)
- 2023년 6월 13일 (화) 00:1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5200년대 신세이 왕국 군벌시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개요 == 신세이 왕국의 왕가인 미야테츠가가 민생을 돌보지 않고 그 측근만 편애하자 각 방위군이 각 지역에서 봉기했다. 5240년에 시작해 5---에 끝이 났다. 이 여파로 신세이 왕국은 재기불능 상태에 빠졌고 다시금 거의 무정부 상태에 빠져들었다. == 북부의 안애군벌,남부의 중경군벌 == 북부의 야타와 지역의 방위군의 원수던 이노스야 난바쿠가 주변...)
- 2023년 3월 17일 (금) 18:3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테사시테스 자치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Adesperitan Nuit Tesasites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테사시테스 자치령 | 국기_그림 = 테사시테스 자치령.png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26c1db | 상징색1_이름 = 에스라스타 블루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fff300 | 상징색2_이름 = 에...)
- 2023년 3월 17일 (금) 18:2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테사시테스 자치령.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3년 3월 17일 (금) 18:2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테사시테스 자치령.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3년 2월 10일 (금) 00:3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페이시아 하에세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인물 정보 | 이름 = 페이시아 하에세타 | 원어이름 = Peisia haeseta | 그림 = | 그림설명 = | 본명 = | 출생명 = | 출생일 = 5004년 3월 13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가흐텐 별아궁 | 사망일 = | 사망지 = | 사인 = | 발견지 = | 매장지 = | 거주지 = | 국적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민족 = 에스라스타...)
- 2023년 1월 8일 (일) 18:0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대연방기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나라 정보 | 기여자 = | 현지이름 = Taezitas Nuit Esrastien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에스라스타 대연방기구 | 국기_그림 =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26c1db | 상징색1_이름 = 에스라스타 블루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fff300 | 상징색2_이름 = 에스라스타 옐로 | 상징색2_글씨...)
- 2022년 11월 24일 (목) 00:4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페이시아 아세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인물 정보 | 이름 = 페이시아 아세카나이 | 원어이름 = Peisia asete | 그림 = | 그림설명 = | 본명 = | 출생명 = | 출생일 = 4901년 8월 8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가흐텐 별아궁 | 사망일 = | 사망지 = | 사인 = | 발견지 = | 매장지 = | 거주지 = | 국적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민족 = 에스라스타...)
- 2022년 11월 24일 (목) 00:18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페이시아 아세카나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인물 정보 | 이름 = 페이시아 아세카나이 | 원어이름 = Peisia asekanai | 그림 = | 그림설명 = | 본명 = | 출생명 = | 출생일 = 4797년 6월 8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탄 에스티헤 카타에구 | 사망일 = 4998년 7월 7일 | 사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가흐텐 가주궁 | 사인 = 뇌경색 | 발견지 = | 매장지 =...)
- 2022년 11월 23일 (수) 23:3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페이시아 테르노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인물 정보 | 이름 = 페이시아 테르노스 | 원어이름 = Peisia ternos | 그림 = | 그림설명 = | 본명 = | 출생명 = | 출생일 = 4708년 1월 5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사망일 = 4919년 4월 11일 | 사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가흐텐 가주궁 | 사인 = 폐렴 | 발견지 = {{국기|a}} | 매장지 = {{국기|a}} | 거주지 = {...)
- 2022년 11월 7일 (월) 01:0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헤르시테스 자치령.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11월 7일 (월) 01:0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헤르시테스 자치령.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11월 7일 (월) 00:58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헤르시테스 자치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Adesperitan Nuit Hersitesien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에스라스타령 헤르시테스 자치령 | 국기_그림 =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26c1db | 상징색1_이름 = 에스라스타 블루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fff300 | 상징색2_이름 = 에스라스...)
- 2022년 10월 27일 (목) 01:1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신세이 왕국/행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개요 == 신세이 왕국의 행정을 서술하는 문서다. == 현(縣)급 == 야타와현(岸涯) 헤세시테현(煥河) 미야시테현(雪河) 쿠에즈라현(失屋) 에츠가야현(幸街) == 부(府)급 == 야타와현:이시가츠부(柳寒) 사이테와부(凉涯) 아야이레부(北林) 아야카토부(北京) 헤세시테현:노이카시부(雷際) 아타타가부(泉雨) 에노우카토부(南京) 미야...)
- 2022년 10월 18일 (화) 23:0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의 북메디아 탐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4982년 8월 4일,에스라스타의 북부탐험대가 재결성되어 기항지 없이 북메디아로의 항해를 시작했다. == 남메디아 북부 만 발견 == {{인용문|'''북부 탐험대로부터의 전보…''' ---- 4984년 1월 4일,북부탐험대로부터 깊숙한 만을 발견하였다고 전보가 들려왔다.이에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해양청은 베하니아에서 유래된 세계...)
- 2022년 10월 16일 (일) 17:06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베하니아 워프게이트 폭발사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개요 == 5003년 3월 3일,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내 워프게이트가 아르토이트의 철거 작업 중 폭발했다.)
- 2022년 10월 11일 (화) 23:1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외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에스라스타의 외교는 에스라스타 외무청이 맡고 있으며 제 5차 아코아 4자협정으로 외무청이 세부적으로 구분되며 외교활동이 더욱 활발해졌다.)
- 2022년 10월 9일 (일) 16:1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페이시아 왕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5차 아코아 4자협정에 따라 민족왕 체제가 폐지되고 과거 잠시 존속했던 에스라스타 페이시아 왕조가 신 왕조로 옹립되었다. == 계보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 100%; margin: -2px 0; text-align: center;" | 이름 || 연호 || 즉위년 || 사망/이년 |- | 페이시아 테르노스 || 테르노스 || 4919년 || 4921년 |- | 페이시아 아세카나이 || 아세카나...)
- 2022년 9월 30일 (금) 00:1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미카크대학.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미카크대학의 로고)
- 2022년 9월 30일 (금) 00:1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미카크대학.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미카크대학의 로고)
- 2022년 9월 30일 (금) 00:1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미카크국립대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학교 정보 | 이름 = 미카크 국립대학 | 영문표기 = Mikak Tempranien Erdienche | 로고 = | 로고크기 = | 교훈 = ehrenu abaskas idertakus heit aidontma(우리의 신념은 절대 변하지 않으리) | 개교 = 4712년 | 설립형태 = 국립 | 국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상징 = | 학교법인 = 에스라스타 국립 재단 }})
- 2022년 9월 30일 (금) 00:0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교육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에스라스타는 기초교육 6년, 본교육 3년, 고등교육 4년, 전문교육 3-4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 기초교육 == 기초교육학교/기초교육학원으로 나눠지며 기초교육학교는 의무교육과정이고 기초교육학원은 만학도들을 위한 기초교육학원이다. == 본교육 == 본교육학교/본교육학원으로 나눠지며 기초교육학교와 기초교육학원이랑 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