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聖大學総評議会+ | ||
---|---|---|
신세이 대학 총평의회 | ||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색 | 아카노이로(#990000) 아오노이로(#000099) |
---|---|
역사 | |
이전 형태 | 신세이 사회주의-무정부주의 연정회 |
신세이 대학 총평의회 | 5856년 4월 14일 |
멸망 | 5882년 1월 9일 |
이후 형태 | 신성 환륜주의-사회주의 연합 |
하위 행정 구역 | |
미수복지역 | 신세이 본도와 그 부속 도서 |
어문 | |
공용어 | 신세이어 |
정치 | |
훈쇼(分張) | 기타노메이 히츠노 |
다이아 |
개요
신세이 왕국의 3대 대학이라 불리는 신세이 동경 왕립 대학, 신세이 중경 왕립 대학, 츠키야마 대학을 필두로 신세이 관내의 34개 대학의 학생 중 강성 히츠노주의자와 사회주의자들이 주로 가입되어 있다.
역사
5850년, 당시 신세이 동경 왕립 대학의 총학생회장이었던 기타노메이 히츠노를 중심으로 시위하던 일명 칸륜 학생연합은 신세이 대정의 반국가적 단체 제재령의 통과와 국왕측의 존왕파의 지지 선언에 맞물려 일보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5852년, 세력 보강을 위해 다른 대학 측의 반군주주의 단체들과 연합하여 신세이 대학연합을 창설한다.
하지만, 같은 시기 서부 철대연맹에 대한 완전한 진압과 사후 강경한 처벌이 이어지며 온건측 세력이 대거 탈퇴하게 된다. 강경 세력만 남은 신세이 대학연합은 5854년 비주류인 신세이 대학생 사회주의 연합과 이미 불법 단체로 낙인 찍혀 억압 받던 신세이 무정부주의자 연맹과 연합하여 신세이 사회주의-무정부주의 연정회를 탄생시킨다.
5855년에 이르러 무정부주의자와 사회주의-칸륜 학생연합측과의 시위 방식과 세력 확장 방법에 대한 갈등이 심화되자 무정부주의측이 대거 탈퇴한다. 이런 해체 위기 속 기타노메이 히츠노의 칸륜 학생연합측이 강경 사회주의를 누르고 주도권을 잡으며 흩어져 있던 대학 내 반군주주의 세력을 받아들인다.
이로부터 1년 후인 5856년, 강경 사회주의측의 지분율 감소에 따른 대거 탈퇴와 온건 사회주의측의 주도권 양도로 칸륜 학생연합을 중심으로 히츠노주의를 발전시키며 4월 14일, 동경 왕립대 중앙 광장에서 개회식을 치르며 공식적으로 현 신세이 정부와 왕족측에게 선전포고를 하게 된다.
강령
“ 하나, 신세이 대학 총평의회는 신세이 본도와 그 부속도서의 영원한 번영과 평화를 위해 구 제도를 철폐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한다.
둘, 신세이 대학 총평의회의 훈쇼(分張)를 비롯한 각 부처의 후훈쇼(副分張), 쿄훈쇼(校分張) 등 총책임자들은 각자 책임을 통감하며 전인을 위해 활동한다.
셋, 히츠노주의의 기본 전제인 전인교육과 전인평등을 실천하며 이를 토대로 기본 정책을 제정하여 기본 생활 수칙으로써 따른다.”
역대 훈쇼(分張)
대 | 이름 | 출신 대학 | 취임 | 퇴임 |
1대 | 기타노메이 히츠노 | 동경 왕립대 | 5856년 | 5874년 |
2대 | 하츠아메 우에바시 | 동경 왕립대 | 5874년 | 5876년 |
3대 | 미나와 시게히토 | 중경 왕립대 | 5876년 | 5877년 |
4대 | 히로츠지 아리토시 | 츠키야마대 | 5877년 | 5877년[3] |
5대 | 스에츠나 아키노부 | 동경 왕립대 | 5877년 | 5878년 |
6대[4] | 하츠아메 우에바시 | 동경 왕립대 | 5878년 | 5880년 |
7대 | 야스모토 아츠스케 | 나리야마대 | 5880년 | 5881년 |
권한대행 | 스에츠나 아키노부 | 동경 왕립대 | 5881년 | 5882년 |
임시 훈쇼 | 아메소코 레이지 | 츠키야마대 | 5882년 | 5882년[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