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정 전쟁 (파관 전쟁)
官-政 戰爭 (破官 戰爭)
[[파일:{{{전쟁_그림}}}]]
{{{전쟁_그림_설명}}}
날짜
5521년 2월 18일 ~ 5522년 1월 2일
장소
신세이 왕국
원인
대정탈환으로 인한 정규군의 위세 약화
교전국 신세이 왕국 신부관협회[3]
신세이 왕국 신세이 왕국
지원 세력 민정협회 스이레이파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지휘관 신세이 왕국 하야다테 아카하나노가쿠 하이나이 쇼토쿠[4]
병력 신세이 왕국 12,700명 신세이 왕국 5,600명
피해 규모 신세이 왕국 893명 신세이 왕국[5] 1,002명
민간인
사상자
신오쿠보정 학살사건
시라카와정 무단재판사건
아사히카와 대화재
하토야마 민정협회 관민 학살사건
결과
정부군측의 승리
영향
아카하나노가쿠의 카이레이 개혁 완료, 문벌정치 개시

개요

5521년 2월 18일, 하야다테 아카하나노가쿠의 카이레이 개혁으로 큰 압박을 받던 관국들이 신부관협회를 창설한 후 사병을 축적하였고 대정탈환으로 약해져있던 정부군의 중추인 군정청을 대규모로 공격한 후 발발한 전쟁으로 각 지역에 산발적인 전투가 일어나 군인,민간인할 것 없이 큰 피해를 입혔다. 이후 신부관협회의 항복으로 신세이의 오랜 관국체제를 종말을 맞이하고 문벌정치가 시작된다.

배경

5515년 7월 1일,대정탈환이 시슈측의 패배로 끝나면서 관국들의 큰 지원군이었던 시슈를 잃은 관국들은 아카하나노가쿠의 카이레이 개혁에 무차별적으로 노출될 수 밖에 없었고 이에 위협을 느낀 몇몇 관국들이 신부관협회를 창설하였다. 이후 작은 규모의 관국부터 큰 규모의 관국까지 신부관협회에 가입했다. 신부관협회는 정부군에 대항해야 한다는 명목 하에 사병을 대규모로 증설하였고 이에 위협을 느낀 정부군도 군확을 하려하였으나 여러 재정적 요인에 가로막히며 신부관협회의 성장을 바라만 보게 된다.

1차 군정청 습격 계획

5521년 1월 20일, 신부관협회는 히가시케이부의 군정청을 공격하기 위해 주변 관국인 미야자와관과 획책해 군정청을 습격한 후 점거하려 했으나 당일은 군정청에 각 지방군이 모두 집결해 대회의를 개최하는 날이었기에 이 계획은 수포로 돌아간다.

2차 군정청 습격

5521년 2월 18일, 신부관협회는 다시금 미야자와관과 연합해 군정청을 습격했고 신속히 점거해 군정청장 하츠야마 유키노를 신부관협회의 본거지인 야나기사무하치렌몬관에 압송되었고 이 사실이 정부에 전해지며 정부는 오랫동안 미뤄왔던 관국과의 전쟁을 선포한다.

개황

북부 4관 멸망

서부 히요케관 승전 기념 행진 사건

미야자와관 포위전

서부 2관 멸망

중부 사카탄현 반관적 농민혁명

중부 5관 멸망

남부 1관 멸망

하치렌몬 분할

하치렌몬 2관 멸망

구니노미야관 배신

하치렌몬 4관 멸망

마지막 미야시로관 항전

미야시로관 멸망

관-정 협약

민간 피해

신오쿠보정 학살사건

시라카와정 무단재판사건

아사히카와 대화재

하토야마 민정협회 관민 학살사건

각주

  1. 2024년 6월 26일 00시 02분 4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국가의 위협에 대항하기 위해 관들끼리 맺은 연맹체제
  4. 하이나이(海內)관 관주,신부관협회 협회장
  5. 관국 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