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큰바란문양.png
V-b-b.png
왕조 · 연표 · 왕실 칙령 · 지역권
역사 · 종교 · 경제 · 사회 · 소수민족 · 군사 · 외교
바라리온 계획 · 2차 바라리온 계획 · 사상

개요

해당 문서는 사트에 존재하는 국가[3]바란의 사회 전반을 다루는 종합문서이다.

행정체계

다음 문서는 모바일 호환성이 낮습니다.


틀:바란/행정


바란에서는 형식적으로 왕정이 가장 높은 행정 서열에 있으며, 실질적인 업무는 총관부에서 이루어진다. 그 산하에 대표적인 4창으로 이루어져 있고, 다시 법무부, 외무부, 왕정국방군, 국경방첩군, 산업부, 사회부, 탐구부, 교육부로 총 6부 2군(8부라고도 함)으로 구성된다. 문화에 대한 부분이 전무하고 굉장히 편향적인 행정구조로 이루어져 다른 국가보다 행정 효율이 뒤떨어지는 편이다.

부토니에의 후예

바란부토니에의 멸망 이후 건국된 나라로, 부토니에의 전반적인 사회, 문화, 정치를 계승[4]했다. 기술적인 수준도 대숙청이후로 그다지 발전되지 못했으며, 페시란 칙령 외에는 그렇다 할 변화도 없었으므로, 부토니에 시절의 관례들을 없애겠다고 했음에도 큰 차이가 없는 편이다. 그나마 세스라인드 제철소를 통해서 국가 산업에 필요한 자원들을 얻긴 했지만 교육여건이 좋지 않다보니 자소크의 기술수준에는 머나멀다. 그나마도 헤멜바르트보다는 발전되었다는 것이 정평이지만, 산재한 문제들을 고려할 때 평균적 후진국이라는 것이 아이타쿠테 시니소의 정평이다.

부토니에어

Varango.png

이는 바란의 표준어이자 바란 연방의 표준지향어로, 부토니에 시절부터 사용한 바란 문자이다. 트라벨레메랑은 그 성향이 많이 다른데, 남메디아 중부의 소수민족들로부터 유례되었다는 설이 있다. 이것은 극한의 우연으로 한국어와 거의 흡사한 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고, 발음기호는 더 많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편이다.

바란의 성씨

바란은 독특하게도 중간 성씨가 없고, 이름과 성 두 가지로만 나뉜다. 거기에 귀족의 성씨인데 가문과 관계없는 명칭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주 많다. 사실 어차피 이름보다도 관직명으로 부르는 바란의 특징상 이름을 그렇게 신경쓰지 않는 부분도 있다. 예로 테반시온 바라니에는 전자가 이름이고 후자가 성이며, 왕족임에도 바라니에라는 성씨 외에는 더 쓰지 않는다. 이런 간결함의 문화는 바란 전체를 꿰뚫는 핵심이기도 하다. 현재까지 잘 알려진 바란의 귀족 성씨는 약 30개 정도이고 그 중에서도 유명한 성씨는 다음과 같다.

  • 귀족성씨
  • 바라니에(위대한)
  • 시베니움(예리한)
  • 포지온(명석한)
  • 바우니온(단단한)[5]
  • 토니에신(성스러운)[6]
  • 리온(좋은 · 뛰어난)[7][8]

반면 민간의 경우, 행정적 절차를 위해 지역을 잘 구분해야하므로 오히려 귀족보다 긴 이름을 가진다. 말하자면 귀족은 쉽게 말해도 알아들을 만큼 자신의 명성을 이야기하는 것이므로 간결한 것이고, 민간인은 자신의 신분을 확인하는 절차 즉 일종의 주민등록자로 외우는 부분도 있다. 예를 들어 시리온 부세린 타세니라는 이름은 시리온이란 이름을 가진 부세린타세니 성, 이런 구성이다. 물론 당연히 굳이 긴 이름을 다 정독하는 사람은 없으므로 생활에서는 시리온 타세니라고 부른다. 여기서 타세니란 남쪽 해안가의라는 뜻이다.

  • 민간성씨
이 부분에서 미(북쪽)와 타(남쪽)이 섞인다.
  • 세니(해안가의)
  • 사야(산간의)
  • 자리마(강가의)
  • 가온(하늘아래의)
  1. 2024년 6월 1일 22시 23분 0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가상의)
  4. 예를 들어 부토니에의 중앙집권화의 장애는 지역 유지들의 호족화가 있었는데, 이를 바란 건국 이후에도 완전히 없애지 못했다.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5. 바움의 뜻이 바로 단단하다는 뜻이다.
  6. -니에라는 접미어 자체가 신성하다는 의미를 포함
  7. -리오드, -리오브론트처럼 성씨 중에서도 가장 많이 사용됨
  8. 너무 자주 사용되서 권세가 있는 귀족가는 리온을 붙이는 것이 너무 평상적이라고 여겨 사용하지 아니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