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국가 | |
---|---|
사용 지역 | 레니스카 동북부 |
언어 계통 | 자소크어족 자소크어파 자소크어군 와기제 리 자소크어 자소크어 모하지 방언 |
초기형태 | |
언어코드 | ZA-MH |
사전 | [ 자소크어 모하지 방언_사전]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표기문자 | 재민 |
자소크어의 모하지 방언(-方言, 자소크어: Diornaspika die Mohazie, 모하지 방언: Diohrnaszpihcka di Mohrasi)은 모하지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자소크어의 방언이다.
모하지 방언은 자소크 철학단에서 사용되는 자소크어와 일부의 단어나 발음, 그리고 표기법만 다르다. 따라서 모하지 방언은 와기제 리 자소크어의 방언으로 통하며, 자소크 철학단의 자소크어를 구사하는 사람과 무리없이 소통할 수 있다.
변환 방법
모하지 방언은 자소크어를 음소적으로 변환하여 얻어진다.
g | g | n | n | m | m | s | sz | ||
---|---|---|---|---|---|---|---|---|---|
d | d | v | v | z | s | ||||
/l/ | l | /ɬ/ | hl | x | scz | /ʔ/ | gh | ||
k | ck | t | t | p | p | c | tscz | /χ/ | hr |
f | f | /ɾ/ | r | /ʁ/ | gr | ç | tsz | /ç/ | c |
a | a | y | y | o | o | u | u | ||
i | i | e | e | ø | oe |
또한, 장음으로 발음되는 모음 뒤에는 h를 붙인다.
예문
모하지 방언 | 자소크어 | 의미 |
---|---|---|
Ahniszckahätih[11] | Aniska | 안녕하세요 |
Ahniszckahätihsz! | Aniskas | 안녕하세요들 |
Sczain | Exain | 좋아요 |
Sczainémohg | Exainémog | 좋은 아침 |
Sczainéniht | Exainénit | 잘 자요 |
Las niaszcàhr | Laz niaxàh | 아주 나쁘지 않아요 |
Ät? | Ät? | 뭐라고요? |
Taickohrszinatiho di Mohrasi | Taiquorsinatio die Mohazie | 모하지 공화국 |
J Renihszcka | J Reniska | 레니스카 |
Jsczetszitscz | Jxeçic | 일요일 |
tsczodic | codih | 쉬운 |
각주
- ↑ 2025년 2월 21일 23시 49분 37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7개 회사 전원
- ↑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크리상치아 내전으로 멸망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종교 및 외교 분야에서 사용하며,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다.
- ↑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갑인 자소크어이다.
- ↑ 인사말로 Ahniszckah 대신에 Ahniszckahätih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