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렘나인

Junhg0211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8일 (수) 19:10 판 (새 문서: {{사트}} {{이렘나 철랑대}} 프레임|[[이렘나인의 상징 문양]] 이렘나인<small>(이렘나어: s'Iremna)</small>은 이렘나 철랑대의 주 종족으로, 파랑 기병대를 이후는 수생정령 계통인 파랑인의 후예이다. 전래어로는 파랑제어계통의 이렘나어를 사용한다.<ref>다른 파랑제어로는 자텐나어와 세멘티어가 있다.</ref> == 각종 언어 표기...)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렘나국기.svg
이렘나 철랑대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경제 | 외교 | 종족 | 언어 | 생태와 생물군계 | 마법 | 전쟁
이렘나 3차 내전 | 셰헤카사 제도 | 네라다 공민공화국
엘레르디 왕국


이렘나인의 상징 문양

이렘나인(이렘나어: s'Iremna)이렘나 철랑대의 주 종족으로, 파랑 기병대를 이후는 수생정령 계통인 파랑인의 후예이다. 전래어로는 파랑제어계통의 이렘나어를 사용한다.[3]

각종 언어 표기

언어 명칭+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Iremna
바샨니 바샨니어 Irnikiche
앙둔 제국 헤이어 Iremnatax
영국 영어 Iremnan
일본 일본어 イレムナー人

특징

이렘나인이 현재와 같은 이렘나 반도 지역에 정착한 3300년도로, 당시에는 수생정령인 파랑인의 신체적 특징[4]을 잘 갖추고 있었으나, 현재 1300년에 가까운 바샨니인과의 혼혈로 종족적인 특징은 대부분 바샨니인과 같다. 현재의 이렘나인이렘나 철랑대의 문화적인 특성상 고대 파랑인 출신의 혈통적인 구분보다, 철랑대의 지배계층이라는 지위와 신분에 따른 구분에 가깝다.

이렘나인의 구분은 거의 이렘나어의 구사 유무와[5], 이렘나 철랑대의 기사단 계급 소속 유무로 나뉜다. 다시 말해, 혈통적 특징으로 나눌 수 없는 상태와도 같다.[6] 이렘나인은 이렘나 철랑대 전체 인구[7]중 30%가량인 1,444,594명을 차지한다. 그러나, 혈통적 순수 이렘나인[8]은 전체 인구의 1%가 채 못된다. 그러나, 이렘나인의 구분은 혈통이 아니다.

이렘나인의 평균 수명은 80세 정도이며, 다른 종족이나 인간의 평균 수명인 120세[9]보다 한참 못 미친다. 이것은 단명종족인 바샨니인들과의 혼혈이 이유이기도 하나, 이렘나 사회의 잔학성에 의한 것이기도 하다. 이렘나인은 다른 종족에 비해 자연사율이 극도로 낮은데, 이것 또한 평균 수명에 영향을 끼친다.

역사

문화

분포

각주

  1. 2024년 6월 26일 03시 23분 5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다른 파랑제어로는 자텐나어와 세멘티어가 있다.
  4. 푸르고 반투명한 손과 발, 등 뒤에 나있는 U자 마법문양
  5. 이것도 조금의 논란이 있다. 바샨니인들중에서도 이렘나어를 쉽게 구사하는 인구가 많다.
  6. 오히려, 이것이 종족차별을 조금 더 심하게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문화에 따라 이렘나인과 비이렘나인을 구분하는 형태는 타 문화권과 타 문화권의 사람의 접근을 힘들게 한다.
  7. 4,810,282명
  8. 파랑인
  9. 사트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