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Rainykaya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2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나라 정보 | {{나라 정보 | ||
| 기여자 = [[ | | 기여자 = [[할라]] → [[김현제]] → 기타 국가화<ref>서력 2023년 1월 9일, [[자소크력]] 5091년 5월 6일</ref> | ||
| 현지이름 = | | 현지이름 = {{Rb|淸安王國|せいあぬすおるきおむ}}<ref>세이아노스 오르키움</ref> | ||
| 다른표기 = Tainatio die Seian | | 다른표기 = Tainatio die Seian | ||
| 나라이름 = 세이안 왕국 | | 나라이름 = 세이안 왕국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국수 = | | 국수 = | ||
| 국화 = | | 국화 = | ||
| 상징색1 = | | 상징색1 = #0487e2 | ||
| 상징색1_이름 = | | 상징색1_이름 = 세이안 아오 | ||
| 상징색1_글씨색 = |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
| 상징색2 = | | 상징색2 = white | ||
| 상징색2_이름 = | | 상징색2_이름 = 세이안 시로 | ||
| 상징색2_글씨색 = |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
| 주권 = | | 주권 = | ||
| 주권_설명 = | | 주권_설명 = | ||
| 정부수립1 = 세이안 | | 정부수립1 = 세이안 제국 | ||
| 정부수립일1 = | | 정부수립일1 = | ||
| 정부수립2 = 세이안 왕국 | | 정부수립2 = 세이안 왕국 | ||
| 정부수립일2 = | | 정부수립일2 = 3212년 2월 8일 | ||
| 정부수립3 = | | 정부수립3 = | ||
| 정부수립일3 = | | 정부수립일3 = | ||
34번째 줄: | 34번째 줄: | ||
| 멸망 = | | 멸망 = | ||
| 이후_형태 = | | 이후_형태 = | ||
| 지도_그림 = | | 지도_그림 = 세이안 지도.png | ||
| 지도_그림_설명 = | | 지도_그림_설명 = 남서쪽의 파란 섬이 [[세이안 왕국]]이다. [[쟈헤나 섬]]은 [[세이안 왕국]]의 속령이다. | ||
| 수도 = [[난세이]] | | 수도 = [[난세이]] | ||
| 수도위치 = | | 수도위치 = | ||
41번째 줄: | 41번째 줄: | ||
| 면적 = | | 면적 = | ||
| 접경국 = | | 접경국 = | ||
| 문화권 = | | 문화권 = 야마타이 문화권 | ||
| 문화 = 세이안 문화 | | 문화 = 세이안 문화 | ||
| 행정구역1 = | | 행정구역1 = | ||
55번째 줄: | 55번째 줄: | ||
| 행정구역6 = | | 행정구역6 = | ||
| 행정구역6_내용 = | | 행정구역6_내용 = | ||
| 미수복지역 = | | 미수복지역 = {{국호|자텐다 황금전단}} 전지역 | ||
| 조사인구수 = | | 조사인구수 = | ||
| 인구조사년도 = | | 인구조사년도 = | ||
68번째 줄: | 68번째 줄: | ||
| 수명조사년도 = | | 수명조사년도 = | ||
| 공용어 = {{국기그림|세이안 왕국}} [[세이안어]] | | 공용어 = {{국기그림|세이안 왕국}} [[세이안어]] | ||
| 공용문자 = [[ | | 공용문자 = [[신성문자]] | ||
| 지역어 = | | 지역어 = | ||
| 국교 = 삼십이처교 | | 국교 = 삼십이처교 | ||
77번째 줄: | 77번째 줄: | ||
| 정치체제 = 군주제 | | 정치체제 = 군주제 | ||
| 지도자_칭호 = 대왕 | | 지도자_칭호 = 대왕 | ||
| 지도자_성명 = | | 지도자_성명 = 소토키우 오오키미오스 | ||
| 입법부_수장 = | | 입법부_수장 = | ||
| 입법부_수장_성명 = | | 입법부_수장_성명 = | ||
99번째 줄: | 99번째 줄: | ||
| 외교문서 = | | 외교문서 = | ||
| 숫자코드 = | | 숫자코드 = | ||
| 2자코드 = | | 2자코드 = SA | ||
| 3자코드 = SAN | | 3자코드 = SAN | ||
| 한자약칭 = 安 | | 한자약칭 = 安 | ||
105번째 줄: | 105번째 줄: | ||
}} | }} | ||
세이안 왕국( | {{사트 언어|2 | ||
| 처음언어 = {{국기그림|세이안 왕국}} [[세이안어]] | |||
| 처음언어_내용 = {{Rb|淸安王國|せいあぬすおるきおむ}}<ref>세이아노스 오르키움</ref> | |||
| 가베어 = | |||
| 라루단어 = | |||
| 로네어 = | |||
| 모르냐크어 = | |||
| 무르무르어 = | |||
| 바샨니어 = | |||
| 사삼오일 = | |||
| 상 프레니처 솔니어 = | |||
| 세멘티어 = | |||
| 소노르어 = Sælsburn ed Saynarn | |||
| 솔니어 = | |||
| 스트러세이어 = | |||
| 시메타시스어 = | |||
| 이렘나어 = | |||
| 자소크어 = Tainatio die Seian | |||
| 자수르만어 = | |||
| 자텐다어 = Vánalkan Nuhamir 'Sáyánin | |||
| 크리상치아어 = | |||
| 퍈프소븜 = | |||
| 헤이어 = | |||
| 화칸어 = | |||
| 한국어 = 세이안왕국 | |||
| 일본어 = 淸安王國 | |||
| 영어 = Kingdom of Seian | |||
| 한문 = | |||
}} | |||
== 개요 == | |||
[[세이안 왕국]]<small>([[세이안어]]: 淸安王國)</small>은 [[북메디아]] 남서부에 위치한 섬나라로, 수도는 난세이시<small>(南淸市)</small>이다. | |||
속령으로는 [[쟈헤나 섬]]을 두고있다. [[쟈헤나 섬]]은 [[세이안 왕국]]과 문화가 많이 다르다. | |||
== 역사 == | == 역사 == | ||
[[북메디아]]에는 기원전부터 엘프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널리 퍼져 살고 있었다. 비록 [[대파랑]] 때 완전히 절멸당했지만, 이들은 특유의 문자인 [[신성문자]]를 사용하며 다른 국가들의 문화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세이안 왕국 역시도 이 엘프 문명권 즉 [[한카야마타이 문화권]]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 |||
원래 세이안시<small>(淸安市)</small>는 세이요진<small>(淸容仁)</small> 평야에 있는 라쿠텐보츠<small>(樂天没)</small> 자유도시연합을 구성하는 6도시 중 하나였다. 세이안 시는 해안도시였기 때문에 어업과 항해술이 발달하였다. 그 덕분에 [[대파랑]] 때 [[파랑 기병대]]의 공격에 다른 도시들이 파괴당할 때 세이안 사람들은 운좋게도 배를 타고 남쪽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하였고, 선단은 [[북메디아]] 서부의 망망대해를 떠돌다 간신히 어느 섬에 도달할 수 있었는데 그곳이 바로 현재 세이안 왕국의 영토인 보우넨<small>(放念)</small> 섬이다. 참고로 섬 이름은 이곳에 도달해서야 겨우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 |||
== 지리 == | |||
[[세이안 왕국]]은 [[북메디아]] 서부 아와이아나의 보우넨<small>(放念)</small> 섬과 몇개의 부속 도서를 가지고 있다. | |||
== 외교 == | == 외교 == | ||
[[대파랑]] 때 학살을 피해 도망친 이들이 세운 국가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동족들을 학살한 [[파랑 기병대]]의 후예인 파랑계 국가들과는 사이가 좋지 않다. 특히 [[자텐다 황금전단]]은 지도자가 [[사데나]]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랑 기병대]]의 직계 국가로 간주하고 있으며, 옛 세이안인들의 영토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사이가 좋지 않다. 대표적인 예로 현재 옛날 세이안 시였던 곳에는 [[자텐다]]의 주요도시 중 하나인 [[니커시체하르자 시]]가 세워져 있으니 말 다했다. | |||
대파랑 때 | * '''우호적''' | ||
** [[다이와]]: 마찬가지로 [[대파랑]] 때 피난을 와 정착한 동병상련의 처지인 같은 문화권 국가이기 때문에 사이가 매우 좋으며, 주요 교역국이다. | |||
**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대파랑]] 때 함께 저항한 이들의 후예이며, 세이안의 주요 교역국이다. | |||
** [[한카 교회국]]: [[자텐다]]에 맞설 수 있도록 산업화를 지원해주기로 한 대신 [[한카]]에서 영토 일부를 조차했다. | |||
** [[쟈헤나 섬]]: 충성적인 속령이다. [[북메디아]] 서부에 얼마 남지 않은 [[한카-야마타이계]] 문명이라는 공통점도 있다. | |||
* | * '''중립적''' | ||
* | ** [[가베 제국]]: 데면데면한 사이. 주요 교역국 중 하나이다. | ||
* | ** [[구오]]: [[자텐다]]에 항전하기 위해 [[구오]]의 초월적인 기술력을 빌리고 싶어하지만 쉽지 않다. 주요 교역국 중 하나이다. | ||
* | ** [[레프레누제 연합]]: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시니노 제도]]가 개척되면서 새로운 무역 상대로 떠올랐으며, 주요 교역국 중 하나가 되었다. | ||
* | ** [[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가린다리]]의 항구에서 무역하는 관계이다. | ||
** [[에카넥 왕국]]: 주요 교역국 중 하나이다. | |||
* '''적대적''' | |||
** [[가린다리 헌국]]: [[어스몬 신앙|교리 상 비슷한 종교]]를 믿고 있지만 서로 이단을 선포하기도 하는 등 썩 사이가 좋지는 않다. 심하면 [[자텐다]]의 속국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경제적으로는 세이안의 중요한 교역국 중 하나이다. | |||
** [[이렘나 철랑대]]: 역시 파랑계 국가이기 때문에 적대적이다. | |||
** [[자텐다 황금전단]]: 원수이자 세이안 왕국의 주적이지만 [[자텐다]]보다 국력이 한참 약해 옛 영토 수복 같은 것은 엄두도 못 내고 있다. | |||
=== 진실 === | |||
[[자텐다]]가 온건 노선으로 방침을 바꾼 지 한참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세이안 왕국에서는 [[자텐다]] 적대 정책으로만 일관하고 있다. 이렇게 된 근본 원인은 현 세이안 왕가의 막대한 부패를 가리기 위해 외부의 적을 설정하고 민족주의를 부추겼기 때문이다. 진실을 아는 일부 세이안인들은 그들의 원래 고향이 위치했던 [[자텐다]]의 [[니커시체하르자 시]]로 몰래 떠나기도 한다. | |||
그러나 [[자텐다 황금전단]]이 마냥 선량한 피해자라고 보기 어려운데, [[자텐다 황금전단]]은 [[대파랑]]을 일으킨<ref>[[자텐다 황금전단]]의 모체는 [[세이안인]]을 학살한 서부의 기병단이었다.</ref> 장본인이다. 또한, [[니커시체하르자 시]] 및 [[자텐다 황금전단]] 정부는 지속적으로 [[세요짐 평원]]에서의 [[세이안인]] 흔적과 영향을 축소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자텐다 황금전단]]으로 돌아간 [[세이안인]]들이 고유 문화를 잃고 [[자텐다 황금전단]]에 동화되는 것도 이러한 방침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 |||
== 산업 == | == 산업 == | ||
세이안의 주요 산업은 어업이다. 보우넨 섬에 질 좋은 철광이 없어 철을 대부분 수입하기 때문에 기술수준은 아직 산업혁명 이전의 단계이다. [[한카 교회국]]에서는 보우넨 섬 북동쪽 끝의 일부 영토를 조차하는 대가로 산업화를 지원하는 중이다. | |||
== 도보게 == | |||
{{아와이아나 구성국}} | |||
== 각주 == | == 각주 == | ||
[[분류:기타 국가]] |
2024년 8월 10일 (토) 16:24 기준 최신판
Tainatio die Seian | ||
---|---|---|
세이안 왕국 | ||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색 | 세이안 아오(#0487e2) 세이안 시로(white) |
---|---|
역사 | |
세이안 제국 | |
세이안 왕국 | 3212년 2월 8일 |
지리 | |
![]() | |
수도 | 난세이 |
최대도시 | 난세이 |
문화권 | 야마타이 문화권 ⟩ 세이안 문화 |
하위 행정 구역 | |
미수복지역 | ![]() |
인구 | |
민족 분포 | 세이안인 100% |
어문 | |
공용어 | ![]() |
공용문자 | 신성문자 |
종교 | |
국교 | 삼십이처교 |
종교 분포 | 삼십이처교 100% |
정치 | |
정치체제 | 군주제 |
대왕 | 소토키우 오오키미오스 |
단위 | |
시간대 | ASN+3 |
국가 코드 | |
2자코드 | SA |
3자코드 | SAN |
한자약칭 | 安(안) |
할라 → 김현제 → 기타 국가화[4] |
언어 | 명칭+ |
---|---|
![]() |
|
![]() |
Sælsburn ed Saynarn |
Tainatio die Seian | |
![]() |
Vánalkan Nuhamir 'Sáyánin |
![]() |
세이안왕국 |
![]() |
Kingdom of Seian |
![]() |
淸安王國 |
tpdldksdhkdrnr | |
ncjdjfsj/fakbx |
개요
세이안 왕국(세이안어: 淸安王國)은 북메디아 남서부에 위치한 섬나라로, 수도는 난세이시(南淸市)이다.
속령으로는 쟈헤나 섬을 두고있다. 쟈헤나 섬은 세이안 왕국과 문화가 많이 다르다.
역사
북메디아에는 기원전부터 엘프의 혈통을 가진 사람들이 널리 퍼져 살고 있었다. 비록 대파랑 때 완전히 절멸당했지만, 이들은 특유의 문자인 신성문자를 사용하며 다른 국가들의 문화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세이안 왕국 역시도 이 엘프 문명권 즉 한카야마타이 문화권에서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원래 세이안시(淸安市)는 세이요진(淸容仁) 평야에 있는 라쿠텐보츠(樂天没) 자유도시연합을 구성하는 6도시 중 하나였다. 세이안 시는 해안도시였기 때문에 어업과 항해술이 발달하였다. 그 덕분에 대파랑 때 파랑 기병대의 공격에 다른 도시들이 파괴당할 때 세이안 사람들은 운좋게도 배를 타고 남쪽으로 탈출하는 데 성공하였고, 선단은 북메디아 서부의 망망대해를 떠돌다 간신히 어느 섬에 도달할 수 있었는데 그곳이 바로 현재 세이안 왕국의 영토인 보우넨(放念) 섬이다. 참고로 섬 이름은 이곳에 도달해서야 겨우 마음을 놓을 수 있었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지리
세이안 왕국은 북메디아 서부 아와이아나의 보우넨(放念) 섬과 몇개의 부속 도서를 가지고 있다.
외교
대파랑 때 학살을 피해 도망친 이들이 세운 국가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동족들을 학살한 파랑 기병대의 후예인 파랑계 국가들과는 사이가 좋지 않다. 특히 자텐다 황금전단은 지도자가 사데나라는 칭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랑 기병대의 직계 국가로 간주하고 있으며, 옛 세이안인들의 영토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가장 사이가 좋지 않다. 대표적인 예로 현재 옛날 세이안 시였던 곳에는 자텐다의 주요도시 중 하나인 니커시체하르자 시가 세워져 있으니 말 다했다.
- 우호적
- 중립적
- 적대적
진실
자텐다가 온건 노선으로 방침을 바꾼 지 한참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세이안 왕국에서는 자텐다 적대 정책으로만 일관하고 있다. 이렇게 된 근본 원인은 현 세이안 왕가의 막대한 부패를 가리기 위해 외부의 적을 설정하고 민족주의를 부추겼기 때문이다. 진실을 아는 일부 세이안인들은 그들의 원래 고향이 위치했던 자텐다의 니커시체하르자 시로 몰래 떠나기도 한다.
그러나 자텐다 황금전단이 마냥 선량한 피해자라고 보기 어려운데, 자텐다 황금전단은 대파랑을 일으킨[6] 장본인이다. 또한, 니커시체하르자 시 및 자텐다 황금전단 정부는 지속적으로 세요짐 평원에서의 세이안인 흔적과 영향을 축소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자텐다 황금전단으로 돌아간 세이안인들이 고유 문화를 잃고 자텐다 황금전단에 동화되는 것도 이러한 방침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산업
세이안의 주요 산업은 어업이다. 보우넨 섬에 질 좋은 철광이 없어 철을 대부분 수입하기 때문에 기술수준은 아직 산업혁명 이전의 단계이다. 한카 교회국에서는 보우넨 섬 북동쪽 끝의 일부 영토를 조차하는 대가로 산업화를 지원하는 중이다.
도보게
+ 아와이아나의 국가와 지역 | |||
---|---|---|---|
![]() AR 일몰 제도 지사 ![]() ![]() |
![]() 포투 ![]() |
아인스 플레아흐피런 | |
![]() AR 헤브녀트 ![]() |
![]() 쟈헤나 섬 ![]() | ||
퀘니 세인마누스 |
그셰고시 브졘치스트게비치 |
![]() 세이안 |
포투(0000. ~)
AR 그룹(5263. 7. 19 ~)
세이안 왕국(3171. 2. 8 ~)[7]
아인스플레아흐피런(Einsfleachpieren)
퀘니 세인마누스(QVENI-SEINMANVS)
그셰고시-브졘치스트게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