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스카테/문화: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셰스카테 문화}}
{{셰스카테 문화}}
== 개요 ==
== 개요 ==
[[셰스카테]]의 문화를 서술한 문서이다.
[[셰스카테]]의 문화를 서술한 문서이다.


== 이름 ==
== 작명법 ==
 
{{본문|셰스카테/작명법}}
{{본문|셰스카테/문화/이름}}
 
== 죽음 ==
=== 대통령/통치자 ===
 
대통령, 또는 통치자가 사망을 하면 그 사망한 사람의 입 안에 흑구슬을 넣는 문화가 있다.
 
이 문화는 셰스카테가 풀르던 시절, 있던 문화로, 족장이 사망하면 그 입안에 넣은 흑구슬이 부활을 시켜준다고 믿던 문화에서 지금의 셰스카테까지 올라온 것이다.
 
=== 군인 ===
 
{{본문|셰스카테/군인 예우}}
 
== 민속놀이 ==
 
{{본문|겔레아}}
 
== 국가(國歌) ==
 
셰스카테에선 국가를 2절까지 안 부르는 경향이 크다.
 
심지어 셰스카테 국가에 2절이 있는지 모르는 사람도 꽤 많다.
 
 
하지만 2절을 부를 때가 종종<ref>거의 없지만</ref> 있긴 하다.
 
== 메기아스니쉬 ==


{{본문|메기아스니쉬}}
== 풍습 ==
* 낙화례: [[셰스카테]]에는 자신이 평소 아끼던 꽃이나 풀 등의 식물을 꺾거나 자른 다음, 집 지붕에서 떨어뜨려서 행운을 비는 문화가 있다. 기원은 [[플리오센 공화국]]의 투화례로, 이는 낙화례와 정반대로 꽃을 집 지붕 위로 던져 올려 행운을 비는 문화이다.
* 키나포!: Kiinapo. [[풀르어]]로 "잡았다"를 의미하며, 바닷가나 강가에서 누군가 물고기를 잡게 된다면, 옆에 있는 사람들이 다같이 "Kiinapo!"라고 외친다. 심지어 모르는 사이에서도 외친다.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풀르인]]들이 큰 물고기를 잡은 다음 "Kiinapo!"라고 외친 것을 [[플리오센]]의 탐험가들이 따라하면서 확산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 초상화: [[셰스카테]]에선 증명사진 등 중요한 것들 외에는 초상화로 그리려는 풍습이 있다. 화가가 그린 그림은 그 그림속의 대상의 성격 등이 사진보다 더 잘 드러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 민중 ==
=== 민속놀이 ===
[[셰스카테]]의 민속놀이들은 [[셰스카테]]가 [[풀르 자치국]]이던 시절, [[풀르 자치국]]의 5~6급 노동자들이 쉬는 시간이나 휴일에 하던 놀이들에서 유래되었거나, 겔레아인들이 하던 놀이/무술에서 유래했다.


== 기타 ==
* [[겔레아]]
* [[아흐텐닐라임]]
* [[코타트]]
* [[옵서]]
* [[룸서]]


1. [[플리오센 공화국]]의 문화인, 자신이 평소 아끼던 꽃이나 풀 등의 식물을 꺾거나 잘라 집 지붕위로 던져 올려 행운을 비는 문화에 영향을 받아, 반대로 꽃을 집 지붕위에서 떨어뜨려서 행운을 비는 문화가 있다.
=== 민요 ===


{{본문|셰스카테/민요}}


2. 개그와 풍자등에 정말 관대하다.
== 사회상 ==
=== 표현의 자유 ===
[[셰스카테]]는 개그나 풍자 등에 정말 관대하다. 사람들마다 생각과 이념의 자유가 있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풍자 개그를 했을 때, 구태여 사소한 것까지 따져가면서 진지하게 굴면 야유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셰스카테는 사람들의 생각과 이념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생각해서, 개그와 풍자등에 정말 관대하다.
=== 체력과 체구 ===


특히 풍자는 더욱더 그러한데, 그래서 만약 어떠한 사람이 한 풍자개그를 가지고 뭐라한다면 뭐라한 사람이 개그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소리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셰스카테]]엔 사막, 열대 우림 등, 여러 자연환경들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셰스카테]]엔 여러 야생동물들이 존재하고, 기후 등의 문제에 잘 맞닥뜨린다. 이 때문에 겔레아 시대부터 사람들은 야생동물, 여러 문제들에서 생활하기 위해 체력과 체구를 키웠다. 그 때문에 오늘날의 셰스카테인 대부분이 체구가 굉장히 크다. 셰스카테인들은 약하고 체구가 야윈 사람들을 둘캄(dulkam)이라 부른다. 이 둘캄이라는 말은 풀르어 "dulkɑ̯̄m"에서 유래했는데, 이 단어는 "나뭇가지"를 의미한다. 즉, 셰스카테인들은 약하고 체구가 야윈 사람들을 쉽게 잘 부러지는 나뭇가지에 비유할 만큼 그러한 체력과 체구를 가진 사람들을 안 좋게 보는 것이다.


=== 음악 ===


3. 바닷가나 강가에서 누군가 물고기를 잡게 된다면 옆에 있는 사람들이 "Kiinapo!"라고 외치는 문화가 있다. 심지어 모르는 사람도 같이 외친다.
{{본문|셰스카테/음악}}


이 Kiinapo는 풀르어로 "잡았다"를 의미한다.  
=== 갱 문화 ===
[[파일:메기아스니쉬.png|섬네일]]


메기아스니쉬는 [[셰스카테]]의 동부 사막인 [[레체테베카인로스]] 지역 갱 문화를 일컫는 말이다. 크게 3개 집단으로 나뉘는데, 각 집단은 기본적으로 1천 명이 넘어가는 규모를 자랑하며 웬만한 흉악 범죄자도 잘 안하는 범죄를 밥 먹듯이 하여 심각한 사회 문제로 거두되고 있다.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플리오센의 탐험가들이 풀르인과 함께 지내면서 낚시를 가게 되는데, 거기서 풀르인들이 큰 물고기를 잡은 다음 "Kiinapo!"라고 외친 것을 플리오센의 탐험가들이 따라하면서 확산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 class="wikitable"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
| [[파일:Il neleras 상징기.png|width:30%]]
| [[파일:Bipaosum'é Mohazi 상징기.png|width:30%]]
| [[파일:BT상징기.png|width:30%]]
|-
| Il neleras || Bipaosum'é Mohazi || B.T.
|}


* Il neleras: [[셰스카테]]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갱스터 범죄 조직으로, 그 인원만 해도 약 3만 명이다. 불법 마약을 비롯해서 각종 범죄를 일으키며, Biposum'é Mohazi와 같이 국경을 넘으면서 범죄를 일으키는 일도 허다하다.
* Bipaosum'é Mohazi: [[셰스카테]]와 [[모하지 공화국]]의 국경선을 불법으로 휘젓고 다니면서 여러 나라에서 활동하는 거대 갱스터 집단이다. [[모하지 공화국]]에 기원을 두기 때문에, 모하지 출신 이민 1-2세만 가입이 가능하며 출신성분을 속인 것이 적발되면 즉시 "처리" 당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마약 경험이 있으면서 기관단총을 다룰 줄 알아야 하며, 그 외 무기를 다룰 줄 안다면 더 가입하기 쉽다. 추가 우대 사항으로는 수감 생활 당시의 서열 고저 여부가 있다.
* B.T.: 풀네임은 "피의 형제"라는 뜻의 Bipaosum'é Táva. 최근 떠오르고 있는 갱스터 범죄 조직으로, 절도, 손괴는 기본이요, 금전, 또는 자신들의 욕구를 위해 사람들을 납치해 강간, 고문, 살인을 저지른다. 그리고 더 악랄한 점은 그 과정을 영상으로 찍어둔다는 것이다. 그 영상들 중엔 피해자가 잔혹하게 살해되는 영상, 즉 스너프 필름들도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셰스카테 경찰청]]은 이 조직에 대하여 계속해서 조사 중이며, 조직원으로 보이는 사람들은 그 자리에서 불심검문을 한다.
== 도보게 ==
== 각주 ==
== 각주 ==

2025년 3월 3일 (월) 01:39 기준 최신판

+셰스카테 다이아몬드 투명배경.png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
셰스카테 · 셰스카테어풀르어 · 쿠므사테흐줌사테 
지리 · 국기 · 교육 · 군사 · 국제관계 · 문화
[ 관련 틀 ]

개요

셰스카테의 문화를 서술한 문서이다.

작명법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작명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풍습

  • 낙화례: 셰스카테에는 자신이 평소 아끼던 꽃이나 풀 등의 식물을 꺾거나 자른 다음, 집 지붕에서 떨어뜨려서 행운을 비는 문화가 있다. 기원은 플리오센 공화국의 투화례로, 이는 낙화례와 정반대로 꽃을 집 지붕 위로 던져 올려 행운을 비는 문화이다.
  • 키나포!: Kiinapo. 풀르어로 "잡았다"를 의미하며, 바닷가나 강가에서 누군가 물고기를 잡게 된다면, 옆에 있는 사람들이 다같이 "Kiinapo!"라고 외친다. 심지어 모르는 사이에서도 외친다.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풀르인들이 큰 물고기를 잡은 다음 "Kiinapo!"라고 외친 것을 플리오센의 탐험가들이 따라하면서 확산되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 초상화: 셰스카테에선 증명사진 등 중요한 것들 외에는 초상화로 그리려는 풍습이 있다. 화가가 그린 그림은 그 그림속의 대상의 성격 등이 사진보다 더 잘 드러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민중

민속놀이

셰스카테의 민속놀이들은 셰스카테풀르 자치국이던 시절, 풀르 자치국의 5~6급 노동자들이 쉬는 시간이나 휴일에 하던 놀이들에서 유래되었거나, 겔레아인들이 하던 놀이/무술에서 유래했다.

민요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민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회상

표현의 자유

셰스카테는 개그나 풍자 등에 정말 관대하다. 사람들마다 생각과 이념의 자유가 있다 생각하기 때문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풍자 개그를 했을 때, 구태여 사소한 것까지 따져가면서 진지하게 굴면 야유를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

체력과 체구

셰스카테엔 사막, 열대 우림 등, 여러 자연환경들이 존재한다. 그에 따라 셰스카테엔 여러 야생동물들이 존재하고, 기후 등의 문제에 잘 맞닥뜨린다. 이 때문에 겔레아 시대부터 사람들은 야생동물, 여러 문제들에서 생활하기 위해 체력과 체구를 키웠다. 그 때문에 오늘날의 셰스카테인 대부분이 체구가 굉장히 크다. 셰스카테인들은 약하고 체구가 야윈 사람들을 둘캄(dulkam)이라 부른다. 이 둘캄이라는 말은 풀르어 "dulkɑ̯̄m"에서 유래했는데, 이 단어는 "나뭇가지"를 의미한다. 즉, 셰스카테인들은 약하고 체구가 야윈 사람들을 쉽게 잘 부러지는 나뭇가지에 비유할 만큼 그러한 체력과 체구를 가진 사람들을 안 좋게 보는 것이다.

음악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음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갱 문화

메기아스니쉬.png

메기아스니쉬는 셰스카테의 동부 사막인 레체테베카인로스 지역 갱 문화를 일컫는 말이다. 크게 3개 집단으로 나뉘는데, 각 집단은 기본적으로 1천 명이 넘어가는 규모를 자랑하며 웬만한 흉악 범죄자도 잘 안하는 범죄를 밥 먹듯이 하여 심각한 사회 문제로 거두되고 있다.

width:30% width:30% width:30%
Il neleras Bipaosum'é Mohazi B.T.
  • Il neleras: 셰스카테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갱스터 범죄 조직으로, 그 인원만 해도 약 3만 명이다. 불법 마약을 비롯해서 각종 범죄를 일으키며, Biposum'é Mohazi와 같이 국경을 넘으면서 범죄를 일으키는 일도 허다하다.
  • Bipaosum'é Mohazi: 셰스카테모하지 공화국의 국경선을 불법으로 휘젓고 다니면서 여러 나라에서 활동하는 거대 갱스터 집단이다. 모하지 공화국에 기원을 두기 때문에, 모하지 출신 이민 1-2세만 가입이 가능하며 출신성분을 속인 것이 적발되면 즉시 "처리" 당한다. 또한 기본적으로 마약 경험이 있으면서 기관단총을 다룰 줄 알아야 하며, 그 외 무기를 다룰 줄 안다면 더 가입하기 쉽다. 추가 우대 사항으로는 수감 생활 당시의 서열 고저 여부가 있다.
  • B.T.: 풀네임은 "피의 형제"라는 뜻의 Bipaosum'é Táva. 최근 떠오르고 있는 갱스터 범죄 조직으로, 절도, 손괴는 기본이요, 금전, 또는 자신들의 욕구를 위해 사람들을 납치해 강간, 고문, 살인을 저지른다. 그리고 더 악랄한 점은 그 과정을 영상으로 찍어둔다는 것이다. 그 영상들 중엔 피해자가 잔혹하게 살해되는 영상, 즉 스너프 필름들도 있다. 이러한 점 때문에 셰스카테 경찰청은 이 조직에 대하여 계속해서 조사 중이며, 조직원으로 보이는 사람들은 그 자리에서 불심검문을 한다.

도보게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