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 메티샤 전쟁 | * 메티샤 전쟁 | ||
== | == 크리상치아 내전 == | ||
{{본문|크리상치아 내전}} | |||
[[5509년 대격변|두 차례의]] [[자소크 극해 전쟁|대전쟁]] 이후 [[슈테이드]]가 창시한 [[엘루드 신앙]]은 {{국기|자소크 철학단}} 내에서 [[어스몬 신앙]]과 더불어 빠르게 교세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엘루드 신앙]]은 [[운론]]과 극심한 갈등을 빚었고, 이에 {{국기|자소크 철학단}} 정부는 [[엘루드 신앙]]을 금지하였다. 5543년 [[슈테이드]]의 순교 이후 [[엘루드 신앙|엘루드 교인]]들은 집단으로 {{국기|크리상치아 왕국}}으로 이주(사실상 침략)하였고, 이에 [[크리상치아 내전]]이 발발하였다. | |||
===크러이세치스 혁명전쟁=== | ===크러이세치스 혁명전쟁=== | ||
{{국기|대크러이세치스 엘루드 인민 에데}} 인민들은 모두 사상 차이가 있었지만, 새로운 왕국, 새로운 신권 정치를 세우겠다는 집념 하에 뭉쳤다. 혁명 이후, 크러이세치스 당국은 정치적, 종교적 혼란과 갈등을 처리하는 데 대부분의 힘을 쓰고 있었다. {{국기|메티샤의 자유와 미래}}, {{국기|자소크 철학단}} 등의 타국은 혁명이 일어난 직후만 크러이세치스 혁명을 제압하고 다시 크리상치아 왕국을 되돌릴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 {{국기|대크러이세치스 엘루드 인민 에데}} 인민들은 모두 사상 차이가 있었지만, 새로운 왕국, 새로운 신권 정치를 세우겠다는 집념 하에 뭉쳤다. 혁명 이후, 크러이세치스 당국은 정치적, 종교적 혼란과 갈등을 처리하는 데 대부분의 힘을 쓰고 있었다. {{국기|메티샤의 자유와 미래}}, {{국기|자소크 철학단}} 등의 타국은 혁명이 일어난 직후만 크러이세치스 혁명을 제압하고 다시 크리상치아 왕국을 되돌릴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
2025년 2월 9일 (일) 13:14 판
이 문서는 현재 작성중입니다.
"기다려봐, 아직 쓰고있어."
"기다려봐, 아직 쓰고있어."
+ Emilo Z. Sqûid의 기여 목록 | ||||
---|---|---|---|---|
[ 펼치기 · 접기 ] |
개요
본 문서는 ????년대에 탄티샤와 메티샤 전역에 발생한 혁명과 전쟁을 서술한다.
TIMELINE
- 크리상치아 내 종교갈등으로 인한 크러이세치스 혁명
- 크러이세치스 혁명전쟁
- 미자래 몰락 및 양분화
- 아틀란티스 건국 및 해저 자원 퀴오륨 발견
- 메티샤 전쟁
크리상치아 내전
자세한 내용은 크리상치아 내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두 차례의 대전쟁 이후 슈테이드가 창시한 엘루드 신앙은 자소크 철학단 내에서 어스몬 신앙과 더불어 빠르게 교세를 확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엘루드 신앙은 운론과 극심한 갈등을 빚었고, 이에
자소크 철학단 정부는 엘루드 신앙을 금지하였다. 5543년 슈테이드의 순교 이후 엘루드 교인들은 집단으로
크리상치아 왕국으로 이주(사실상 침략)하였고, 이에 크리상치아 내전이 발발하였다.
크러이세치스 혁명전쟁
대크러이세치스 엘루드 인민 에데 인민들은 모두 사상 차이가 있었지만, 새로운 왕국, 새로운 신권 정치를 세우겠다는 집념 하에 뭉쳤다. 혁명 이후, 크러이세치스 당국은 정치적, 종교적 혼란과 갈등을 처리하는 데 대부분의 힘을 쓰고 있었다.
메티샤의 자유와 미래,
자소크 철학단 등의 타국은 혁명이 일어난 직후만 크러이세치스 혁명을 제압하고 다시 크리상치아 왕국을 되돌릴 기회라고 생각하였다.
+ 크러이세치스 혁명전쟁 - | ||
---|---|---|
[[파일:]]
| ||
날짜 | ||
????년 ?월 ??일 ~ ????년 ?월 ??일 | ||
장소 | ||
메티샤 전역 및 크리상치아 섬 | ||
원인 | ||
종교 및 사상 갈등으로 인한 크러이세치스 혁명에 대한 메티샤, 탄티샤 국가의 대응 | ||
교전국 | 혁명군 | 대응군 |
![]() ![]() ㄴ 메티샤 알루드 최고회의 ㄴ 알루드 서입헥당 ㄴ 파나히락 규캬나르 |
![]() ㄴ 크리상치아 인민저항기구 ㄴ 크리상치아 저항국민회의 | |
지원 세력 | ![]() ㄴ ![]() ㄴ ![]()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지휘관 | ![]() ![]() ![]() ![]() |
![]() |
---|---|---|
병력 | ![]() ![]() ![]() ![]() |
![]() |
피해 규모 | ![]() ![]() ![]() ![]() |
![]() |
민간인 사상자 |
![]() ![]() ![]() ![]() |
![]() |
결과 | ||
대응군의 완패 | ||
영향 | ||
![]() |
+ 메티샤 전쟁 Datiofiud dé ä Betixa | ||
---|---|---|
[[파일:]]
| ||
날짜 | ||
????년 ?월 ??일 ~ ????년 ?월 ??일 | ||
장소 | ||
메티샤 전역 및 크리상치아 섬 | ||
원인 | ||
크러이세치스 혁명전쟁으로 인한 갈등, 아틀란티스의 해저 자원 쟁탈 및 반자소크 세력과 친자소크 세력 간의 갈등 심화 | ||
교전국 | 방어군 | 쟁탈군 |
![]() ![]() ㄴ ![]() ㄴ ![]() |
![]() ㄴ ![]() ㄴ ![]() ㄴ | |
지원 세력 | ㄴ |
![]() ㄴ ㄴ ![]() ㄴ ㄴ ㄴ ![]()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