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화폐 정보 | {{화폐 정보 | ||
| 이름 = 자소크 테로 | | 이름 = 자소크 테로 | ||
| 원어 = | | 원어 = | ||
| 사진 = | | 사진 = | ||
| 코드 = ZST | | 코드 = ZST | ||
| 중앙은행 = 관리청 금부 | | 중앙은행 = 관리청 금부 [[자소크은행]] | ||
| 사용국 = {{국호|자소크 철학단}}<br>{{국호|아마야스 주}}<br>{{국호|모하지 공화국}} | | 사용국 = {{국호|자소크 철학단}}<br>{{국호|아마야스 주 정부}}<br>{{국호|모하지 공화국}} | ||
| 기호 = Ŧ | | 기호 = Ŧ, | ||
| 단위 = | | 단위 = Ŧ1⁄64, Ŧ1⁄16, Ŧ1⁄4<br>Ŧ1, Ŧ2, Ŧ5, Ŧ10, Ŧ50, Ŧ100 | ||
| 인쇄처 = | | 인쇄처 = | ||
| 조폐국 = | | 조폐국 = | ||
}} | }} | ||
[[자소크 테로]]<small>( | [[자소크 테로]]<small>(Ŧerèzasoque, Zasoŧero)</small>는 [[자소크 철학단]]과 [[아마야스 주]], [[모하지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화폐이다. 기호는 Ŧ이다. | ||
[[테로]]라는 이름은 자소크어에서 모임<ref>community</ref>을 뜻하는 단어 Extelo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 |||
테로는 발행 초기부터 수량을 분수로 표기했는데, 따라서 1테로 이하의 단위는 4의 거듭제곱의 역수 형태로 액면가가 정해진다. 따라서 표현할 때에는 Ŧ1.75가 아니라 Ŧ1 3⁄4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 |||
테로를 나타내는 자소크어는 Ŧero인데, 이 단어는 자소크어에서 Ŧ의 유일한 사용례이다. | |||
메타적으로 1테로는 1유로나 1달러 정도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ref>5200년</ref> | |||
== 권종 == | |||
=== 동전 === | |||
{| class="wikitable" | |||
! 액면가 | |||
! style="width: 200px;" | 도안 (앞) | |||
! style="width: 200px;" | 도안 (뒤) | |||
|- | |||
| Ŧ1⁄64 | |||
| [[파일:64분테로앞면.png]] | |||
| [[파일:64분테로뒷면.png]] | |||
|- | |||
| Ŧ1⁄16 | |||
| [[파일:16분테로앞면.png]] | |||
| [[파일:16분테로뒷면.png]] | |||
|- | |||
| Ŧ1⁄4 | |||
| [[파일:4분테로앞면.png]] | |||
| [[파일:4분테로뒷면.png]] | |||
|} | |||
=== 지폐 === | |||
{| class="wikitable" | |||
! 액면가 | |||
! style="width: 400px;" | 도안 | |||
! 크기 | |||
|- | |||
! Ŧ1 | |||
| [[파일:1 테로 앞면.png]][[파일:1 테로 뒷면.png]] | |||
| 129 mm × 64 mm | |||
|- | |||
! Ŧ2 | |||
| [[파일:2 테로 앞면.png]][[파일:2 테로 뒷면.png]] | |||
| 134 mm × 64 mm | |||
|- | |||
! Ŧ5 | |||
| [[파일:5 테로 앞면.png]][[파일:5 테로 뒷면.png]] | |||
| 138 mm × 64 mm | |||
|- | |||
! Ŧ10 | |||
| [[파일:10 테로 앞면.png]][[파일:10 테로 뒷면.png]] | |||
| 143 mm × 64 mm | |||
|- | |||
! Ŧ50 | |||
| [[파일:50 테로 앞면.png]][[파일:50 테로 뒷면.png]] | |||
| 147 mm × 64 mm | |||
|- | |||
! Ŧ100 | |||
| [[파일:100 테로 앞면.png]][[파일:100 테로 뒷면.png]] | |||
| 152 mm × 64 mm | |||
|} | |||
== 위세 == | |||
4971년 체결된 [[에볼 계약]]으로 [[자소크 철학단]]은 대량의 [[엘리트]]를 유통하는 재력을 가지게 되었고, 이때 엘리트를 [[테로]]로 결제하도록 한 이유로 50세기 후반부터 [[자소크 테로]]의 국제적 힘이 강력해지기 시작했다. | |||
== 도보게 == | == 도보게 == | ||
24번째 줄: | 87번째 줄: | ||
== 각주 == | == 각주 == | ||
[[분류:화폐]] |
2024년 7월 17일 (수) 14:19 기준 최신판
+ | ||||||||||||||||||||||||||||||||||||||||||||||||||||||||||||||||||||||||||||||||||||||||||||||||||||||||||||||||||||||||||||||||||||||||||||||||||||||||||||||||||||||||||||||||||||||||||||||||||||
---|---|---|---|---|---|---|---|---|---|---|---|---|---|---|---|---|---|---|---|---|---|---|---|---|---|---|---|---|---|---|---|---|---|---|---|---|---|---|---|---|---|---|---|---|---|---|---|---|---|---|---|---|---|---|---|---|---|---|---|---|---|---|---|---|---|---|---|---|---|---|---|---|---|---|---|---|---|---|---|---|---|---|---|---|---|---|---|---|---|---|---|---|---|---|---|---|---|---|---|---|---|---|---|---|---|---|---|---|---|---|---|---|---|---|---|---|---|---|---|---|---|---|---|---|---|---|---|---|---|---|---|---|---|---|---|---|---|---|---|---|---|---|---|---|---|---|---|---|---|---|---|---|---|---|---|---|---|---|---|---|---|---|---|---|---|---|---|---|---|---|---|---|---|---|---|---|---|---|---|---|---|---|---|---|---|---|---|---|---|---|---|---|---|---|---|---|
자소크 철학단 · 자소크어와 베르쿠암 · 재민 · 운론과 포터스 · 에빈카바스 | ||||||||||||||||||||||||||||||||||||||||||||||||||||||||||||||||||||||||||||||||||||||||||||||||||||||||||||||||||||||||||||||||||||||||||||||||||||||||||||||||||||||||||||||||||||||||||||||||||||
지리 · 국기 · 전쟁 · 교육 · 국제관계 | ||||||||||||||||||||||||||||||||||||||||||||||||||||||||||||||||||||||||||||||||||||||||||||||||||||||||||||||||||||||||||||||||||||||||||||||||||||||||||||||||||||||||||||||||||||||||||||||||||||
[ 역사 ]
|
자소크 테로 + | |
---|---|
| |
코드 | ZST |
중앙은행 | 관리청 금부 자소크은행 |
사용국 | 자소크 철학단 아마야스 주 정부 모하지 공화국 |
기호 | Ŧ, |
단위 | Ŧ1⁄64, Ŧ1⁄16, Ŧ1⁄4 Ŧ1, Ŧ2, Ŧ5, Ŧ10, Ŧ50, Ŧ100 |
자소크 테로(Ŧerèzasoque, Zasoŧero)는 자소크 철학단과 아마야스 주, 모하지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화폐이다. 기호는 Ŧ이다. 테로라는 이름은 자소크어에서 모임[9]을 뜻하는 단어 Extelo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테로는 발행 초기부터 수량을 분수로 표기했는데, 따라서 1테로 이하의 단위는 4의 거듭제곱의 역수 형태로 액면가가 정해진다. 따라서 표현할 때에는 Ŧ1.75가 아니라 Ŧ1 3⁄4와 같은 식으로 표현된다.
테로를 나타내는 자소크어는 Ŧero인데, 이 단어는 자소크어에서 Ŧ의 유일한 사용례이다.
메타적으로 1테로는 1유로나 1달러 정도의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10]
권종
동전
액면가 | 도안 (앞) | 도안 (뒤) |
---|---|---|
Ŧ1⁄64 | ||
Ŧ1⁄16 | ||
Ŧ1⁄4 |
지폐
액면가 | 도안 | 크기 |
---|---|---|
Ŧ1 | 129 mm × 64 mm | |
Ŧ2 | 134 mm × 64 mm | |
Ŧ5 | 138 mm × 64 mm | |
Ŧ10 | 143 mm × 64 mm | |
Ŧ50 | 147 mm × 64 mm | |
Ŧ100 | 152 mm × 64 mm |
위세
4971년 체결된 에볼 계약으로 자소크 철학단은 대량의 엘리트를 유통하는 재력을 가지게 되었고, 이때 엘리트를 테로로 결제하도록 한 이유로 50세기 후반부터 자소크 테로의 국제적 힘이 강력해지기 시작했다.
도보게
각주
- ↑ 2024년 12월 26일 19시 37분 27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7개 회사 전원
- ↑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라크렐데사를 위시한 서북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사용
- ↑ community
- ↑ 520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