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크리상테스" 문자열을 "크리상치아" 문자열로)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13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사트}}
{{셰스카테 문화}}
{{나라 정보
{{나라 정보
| 기여자 = [[쿠루쿠]]
| 기여자 = [[쿠루쿠]]
| 현지이름 = Scheskatté
| 현지이름 = Ustantekatténé Scheskatté
| 다른표기 = Exeskate
| 다른표기 = Quaronatio dé Exeskate
| 나라이름 = 셰스카테
| 나라이름 = 셰스카테 연방
| 국기_그림 = 셰스카테-001.png
| 국기_그림 = 셰스카테-001.png
| 문장_그림 = 셰스카테 국장-001-removebg-preview (1).png
| 문장_그림 = 셰스카테 국장-001-removebg-preview (1).png
| 나라_표어 = Atle Meras lo banewhun.
| 나라_표어 =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ref>[[셰스카테어]]</ref><br>'''Miras karopacëntè samie Umxa'd Tralivizax.'''<ref>[[셰스카테 자소크어]]/직역하면 "우리는 자유와 화합으로 동맹했도다"</ref>
| 나라_표어_설명 = 신은 우리를 돕는다.
| 나라_표어_설명 = 자유와 화합으로 뭉친 우리.
| 국가 = Pava Scheskatté
| 국가 = Vansi lo növ tempimerzé
| 국기가 = Maquenfarençikatténé Scheskatté
| 국수 =  
| 국수 =  
| 국조 = 참매
| 국조 = 참매
| 국화 =  
| 국화 =  
| 상징색1 = #3A4CA8
| 상징색1 = #3A4CA8
| 상징색1_이름 = Zenit Flian
| 상징색1_이름 = Inmogen pradon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FFFFFF
| 상징색2 = #FFFFFF
| 상징색2_이름 = Siet
| 상징색2_이름 = Siet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이전_형태 =
| 이전_형태 = {{국기|셰스카테 임시정부}}
| 주권 = 셰스카테
| 주권 = 건국
| 주권_설명 = 5111년 2월 7일
| 주권_설명 = 5111년 2월 7일
| 정부수립1 = 영토확장
| 정부수립1 =
| 정부수립일1 = 5130년
| 정부수립일1 =
| 정부수립2 =
| 정부수립2 =  
| 정부수립일2 =  
| 정부수립일2 =
| 정부수립3 =
| 정부수립3 =
| 정부수립일3 =
| 정부수립일3 =
40번째 줄: 41번째 줄:
| 수도 = [[키에츠로이베]]
| 수도 = [[키에츠로이베]]
| 수도위치 =
| 수도위치 =
| 최대도시 = [[키에츠로이베]]
| 최대도시 = [[리뇌브]]
| 면적 =
| 면적 =
| 접경국 = {{국호|유제이체 공화국}}<br>{{국호|루시코와}}<br>{{국호|플리오센 공화국}}
| 접경국 = {{국호|유제이체 공화국}}<br>{{국호|플리오센 공화국}}<br>{{국호|모하지 공화국}}<br>{{국호|테사시테스 자치령}}<br>{{국호|라졔르베라}}
| 문화권 =  
| 문화권 =  
| 문화 =
| 문화 =
| 행정구역1 =  
| 행정구역1 = 속령
| 행정구역1_내용 =  
| 행정구역1_내용 = 6 속령<ref>[[셰스카테령 모시츠]],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셰스카테령 틀란바이르고고흐]], [[셰스카테령 바스투]]</ref>
| 행정구역2 =  
| 행정구역2 =
| 행정구역2_내용 =  
| 행정구역2_내용 = 7 주
| 행정구역3 =  
| 행정구역3 =
| 행정구역3_내용 =  
| 행정구역3_내용 = 25 도
| 행정구역4 =
| 행정구역4 =
| 행정구역4_내용 =
| 행정구역4_내용 = 317 시
| 행정구역5 =
| 미수복지역 =  
| 행정구역5_내용 =
| 조사인구수 = 98,121,883
| 행정구역6 =
| 인구조사년도 = 5500
| 행정구역6_내용 =
| 민족_분포 = 자소크계 35%<br>플리오센계 21%<br>풀르계 10%<br>라졔르베라계 9%<br>루시코와계 8%<br>모하지계 8%<br>유제이체계 4%<br>앙둔계 3%<br>겔레아계 2%
| 미수복지역 =
| 조사인구수 =
| 인구조사년도 =
| 민족_분포 = 플리오센인 66%, 풀르인 32%, 자소크인 2%  
| 인구밀도 =
| 인구밀도 =
| 밀도계산년도 =
| 밀도계산년도 =
| 출생아_수 =
| 출생아_수 =  
| 출생조사년도 =
| 출생조사년도 =  
| 합계출산율 =
| 합계출산율 =
| 출산율계산년도 =
| 출산율계산년도 =
| 기대_수명 =
| 기대_수명 =
| 수명조사년도 =
| 수명조사년도 =
| 공용어 = {{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카테어]]<br>{{국기그림|플리오센 공화국}} [[파인어]]
| 공용어 = {{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카테어]]<br>{{국기그림|셰스카테}} {{국기그림|자소크 철학단}} [[셰스카테 자소크어]]<br>{{국기그림|플리오센 공화국}} [[파인어]]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 공용문자 = [[라틴 문자]], [[재민]]
| 지역어 = {{국기그림|셰스카테}} [[풀르어]]
| 지역어 = {{국기그림|셰스카테}} [[풀르어]]
| 국교 =  
| 국교 =  
| 종교_분포 = 무종교 82%, [[운론]] 15.5%, [[쿠므사테]] 0.5%
| 종교_분포 = 무종교 46%, [[쿠므사테]] 25%,<br>[[운론]] 25%, [[흐줌사테]] 4%
| 군대 = [[셰스카테 국군]]
| 군대 = [[셰스카테 국군]]
| 주둔군 =
| 주둔군 =
| 정치체제 = 자유민주주의, 공화제, 대통령제, 다당제
| 정치체제 = 자유민주주의<br>민주공화제<br>대통령제<br>다당제<br>연방제<br>문민통제
| 지도자_칭호 = 대통령
| 지도자_칭호 = 대통령
| 지도자_성명 = -
| 지도자_성명 = -
89번째 줄: 86번째 줄:
| 당색글씨 =
| 당색글씨 =
| 당색배경 =
| 당색배경 =
| 경제체제 =
| 경제체제 =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 통화 = [[셰스카테 아비실]]
| 통화 = [[셰스카테 아비실]]
| 통화기호 = Å
| 통화기호 = Å
95번째 줄: 92번째 줄:
| 시간대 = ASN+19
| 시간대 = ASN+19
| 도량형 =  
| 도량형 =  
| 날짜형식 =
| 날짜형식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수교국 =
| 수교국 =
106번째 줄: 103번째 줄:
}}
}}


'''[[셰스카테]]'''<small>([[셰스카테어]]: Scheskatté, [[파인어]]: Szescate, [[자소크어]]: Exeskate)</small>는 레니스카에 위치한 국가이다.
== 개요 ==
'''[[셰스카테]]'''<small>([[셰스카테어]]: Scheskatté, [[파인어]]: De Ŝescate, [[자소크어]]: Exeskate)</small>는 [[레니스카]]에 위치한 국가이다.


 
== 상징 ==
== 지리 ==
=== 국호 ===
 
셰스카테는 적도 근처에 있는 만큼, 더운 기후가 계속되고, 눈이 안내린다.
겨울에도 그리 춥지 않다.
 
== 언어별 명칭 ==
 
셰스카테의 각 언어별 명칭은 다음과 같다.
{{사트 언어|2
{{사트 언어|2
| 펼접 = 예
| 처음언어 = {{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카테어]]
| 처음언어 = {{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카테어]]
| 처음언어_내용 = Scheskatté
| 처음언어_내용 = Scheskatté
| 처음언어2 = {{국기그림|셰스카테}} [[풀르어]]
| 처음언어2 = {{국기그림|셰스카테}} [[셰스카테 자소크어]]
| 처음언어_내용2 = Szeskate
| 처음언어_내용2 = Exeskate
| 처음언어3 = {{국기그림|셰스카테}} [[풀르어]]
| 처음언어_내용3 = Szeskatte
| 모하지 방언 = Sczeszckateh
| 세멘티어 = Átelmora Esheskartõ
| 세멘티어 = Átelmora Esheskartõ
| 이렘나어 = es'Artn k'Hyeshchataa
| 이렘나어 = es'Artn k'Hyeshchataa
| 이렘나 자소크어 = Cheshkot
| 자소크어 = Exeskate
| 자소크어 = Exeskate
| 자수르만어 = سهسكاتييا
| 자텐다어 = Latolin Ádenmir 'Sanáyškávan
| 자텐다어 = Latolin Ádenmir 'Sanáyškávan
| 파인어 = le Szescate
| 파인어 = le Szescate
| 크리상치아어 = la Chescaté
| 한국어 = 셰스카테
| 한국어 = 셰스카테
| 영어 = Shescate
| 영어 = Shescate
| 프랑스어 = Chêcatée
}}
}}


== 언어 ==
{{본문|셰스카테/국호}}


{{본문|셰스카테어}}
=== 국기 ===
{{본문|파인어}}
{{본문|셰스카테의 국기}}
{{본문|풀르어}}


셰스카테에는 공용어가 2개로, 셰스카테어와 파인어가 사용된다.
현재 사용 중인 국기는 피에레 델 템피메스<small>(Fiére del Tempimes)</small>라는 사람이 제작하였으며, 중앙의 삼단 다이아몬드 문양인 소유 겔레아스<small>(Soju geleas)</small>는 민족의 상징이나 마찬가지로 [[풀르 자치국]] 시절 때부터 사용되던 것이다.
보통 셰스카테어를 국어로 사용하고, 파인어는 사법언어로 사용된다.


일부 지방에서는 풀르어라는 토착어가 사용되지만, 따로 공용어로 지정되진 않았다.
=== 국가 ===
{{본문|셰스카테의 국가}}
{{본문|셰스카테 국기가}}


== 문화 ==
셰스카테는 건국 때부터 5267년까지 100년이 넘어가는 기간 동안에 [[셰스카테여 영원하라]]라는 국가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레니스카 대전쟁]] 때 [[승리를 향해 나아가리라]]라는 이름의 새로운 국가를 제정했다. 또한 셰스카테엔 [[셰스카테 국기가]]라는 준국가가 존재하는데 이는 관습상 자주 불리는 노래이다. 당연히 국가 정식 행사에선 [[승리를 향해 나아가리라]]가 불린다.
 
== 역사 ==
{{본문|셰스카테/역사}}
 
== 지리 ==
{{본문|셰스카테/지리}}
 
=== 행정구역 ===
{{셰스카테 주}}


1. [[플리오센 공화국]]의 문화인, 자신이 평소 아끼던 꽃이나 풀 등의 식물을 꺾거나 잘라 집 지붕위로 던져 올려 행운을 비는 문화에 영향을 받아, 반대로 꽃을 집 지붕위에서 떨어뜨려서 행운을 비는 문화가 있다.
* [[틀:서레니스카 구성국|서레니스카]]
** [[레쳇메레 주]]
** [[레쳇코모숨 주]]
** [[비고 주]]
* [[틀:동레니스카 구성국|동레니스카]]
** [[레체테베카인로스 주]]
** [[레쳇파룸 주]]
* [[틀:아와이아나 구성국|아와이아나]]
** [[포투 주]]
----
* 해외 속령 및 자치령
** <s>[[셰스카테령 오모나섬]]</s>
** [[셰스카테령 모시츠]]
**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
** [[셰스카테령 틀란바이르고고흐]]
** [[셰스카테령 바스투]]


=== 기후 ===
셰스카테는 적도 근처에 있는만큼 열대 기후에 속해 더운 날씨가 계속되며 비가 굉장히 많이 내리는 편이다. 겨울에도 눈이라고는 구경조차 못할 정도로 온난하다. [[셰스카테]]의 수도인 [[키에츠로이베]]만 봐도 1년 평균 강수량이 2200㎜이다. 그래서 [[셰스카테]]엔 열대 우림이 굉장히 많다.


2. 개그와 풍자등에 정말 관대하다.
동레니스카 쪽으로 가면 또 달라진다. [[레체테베카인로스 주]]의 경우 의미가 애초에 "사막의 땅"이다. 이말인즉슨 비가 굉장히 적게 온다는 뜻으로, 1년 평균 강수량이 105㎜이다. [[레쳇파룸 주]]는 [[셰스카테]]에 존재하는 유일한 온대기후성 지역으로, 여름엔 선선하며 겨울엔 적당히 춥다. [[셰스카테]]의 최대도시가 수도인 [[키에츠로이베]]가 아닌 [[레쳇파룸 주]] [[리뇌브]]인 이유가 있다.


셰스카테는 사람들의 생각과 이념은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생각해서, 개그와 풍자등에 정말 관대하다.
== 정치 ==
=== 정부 ===
{{셰스카테 정부}}
[[파일:셰스카테 정부기 신버전.png|섬네일|]]


특히 풍자는 더욱더 그러한데, 그래서 만약 어떠한 사람이 한 풍자개그를 가지고 뭐라한다면 뭐라한 사람이 개그를 진지하게 생각하는 사람이라는 소리가 나오게 되는 것이다.
=== 헌법 ===
{{본문|셰스카테/헌법}}


== 외교 ==
{{본문|셰스카테/국제관계}}


3. 바닷가나 강가에서 누군가 물고기를 잡게 된다면 옆에 있는 사람들이 "Kiinapo!"라고 외치는 문화가 있다. 심지어 모르는 사람도 같이 외친다.
셰스카테의 전통적 우호국으로는 [[풀르 자치국]] 시절의 열강이었다 관계가 개선된 [[자소크 철학단]]과 [[플리오센 공화국]]이 있다. 이외에도 [[탄티스카 환경협약체]] 체결이나 [[동레니스카 분배 조약]] 참여, [[자소크-이렘나 전쟁]]·[[레니스카 대전쟁]] 등으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다양한 국제관계를 구축하였다.


이 Kiinapo는 풀르어로 "잡았다"를 의미한다.
== 사회 ==
=== 복지 ===


{{본문|셰스카테/복지}}


유래는 명확하지 않지만, 플리오센의 탐험가들이 풀르족과 함께 지내면서 낚시를 가게 되는데, 거기서 풀르족들이 큰 물고기를 잡은다음 "Kiinapo!"라고 계속 외치면서 뛰어다닌 모습을 플리오센의 탐험가들이 따라하면서 점점 확산된 설이 유력하다.
=== 의료 ===


== 교육 ==
{{본문|셰스카테/의료}}


셰스카테의 교육은 총 3~4단계로, 만 6세에 입학하여, 초등학교 7년, 중학교 3년, 고등학교 2년, 그리고 의무교육이 아닌 대학교 3~4년이다.
=== 치안 ===


제1외국어는 [[자소크어]]다. 셰스카테의 국민들은 보통 자소크어로 간단한 문장을 구사할 수 있고, 조금 더 공부했으면 자소크인과 어느정도 대화는 할 수 있다.
{{본문|셰스카테/치안}}


== 군사 ==
=== 교통 ===


{{본문|셰스카테 국군}}
{{본문|셰스카테/교통}}
셰스카테 국군이 셰스카테의 정규군이다


== 다른 국가와의 관계 ==
== 문화 ==
{{본문|셰스카테/문화}}


{{본문|셰스카테/다른 국가와의 관계}}
=== 언어 ===
셰스카테는 [[셰스카테어]], [[셰스카테 자소크어]], [[파인어]] 등 3개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였다. 그래서 셰스카테인들은 보통 2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 일부 지방에서는 前 공용어였던 토착어인 [[풀르어]]가 사용된다.


== 정부 ==
== 교육 ==
{{본문|셰스카테/교육}}


셰스카테의 정부는 셰스카테의 중앙기관을 관리한다.
셰스카테 학교의 학제는 7·4·4·4로 구성되며, 단선제 체계이다. 취학연령은 만6세이고 의무교육 기간은 6-18세이다. 학년은 2월에 시작하며, 5월 중반에 하계방학, 8월 말에 동계방학을 한다. 셰스카테는 초등교육기관으로 초등학교, 중등교육기관으로 중·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으로 대학교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장애인 학생들은 각급 특수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파일:셰스카테 정부기.png|섬네일|]] [[파일:셰스카테 정부기 신버전.png|섬네일|]]
== 군사 ==
{{본문|셰스카테 국군}}


[[셰스카테 국군]]은 셰스카테 국방부에 소속된 정규군이다. 셰스카테군은 육군·해군·공군·특수군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통수권자는 [[셰스카테 헌법]]에 따라 셰스카테의 대통령이다<ref>셰스카테 헌법 제74조 ①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ref>. 경례 시에는 오른팔을 직각으로 꺾어 쭉 편 손이 왼쪽 가슴에 닿게 하고,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게 자세를 취한다.<ref>메타계의 조그식 경례<small>(Zogist Salute)</small>.</ref>


위: 구버전, 아래: 신버전
[[셰스카테 국군]]은 셰스카테 건국 직후 급조되어 그야말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었다. 병력 충당을 위해서 과도한 징병을 한 것에 비해 군수물자와 식량 등이 언제나 부족했고, 선후임 내의 갈등도 심했다. 하지만 국방 예산을 증강하여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되었다.


=== 각주 ===
== 도보게 ==
== 각주 ==

2024년 6월 25일 (화) 06:01 기준 최신판

+셰스카테 다이아몬드 투명배경.png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
셰스카테 · 셰스카테어풀르어 · 쿠므사테흐줌사테 
지리 · 국기 · 교육 · 군사 · 국제관계 · 문화
[ 관련 틀 ]
Ustantekatténé Scheskatté+
Quaronatio dé Exeskate
셰스카테 연방
셰스카테-001.png
국기
셰스카테 국장-001-removebg-preview (1).png
국장
표어 Ilad comsen gá comkreittropim Meras.[2]
Miras karopacëntè samie Umxa'd Tralivizax.[3]
자유와 화합으로 뭉친 우리.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상징
국가 Vansi lo növ tempimerzé
국조 참매
상징색 Inmogen pradon(#3A4CA8)
Siet(#FFFFFF)
역사
이전 형태 셰스카테 임시정부 셰스카테 임시정부
건국 5111년 2월 7일
지리
수도 키에츠로이베
최대도시 리뇌브
접경국 유제이체 공화국 유제이체 공화국
플리오센 공화국 플리오센 공화국
모하지 공화국 모하지 공화국
테사시테스 자치령 테사시테스 자치령
라졔르베라 라졔르베라
하위 행정 구역
속령 6 속령[4]
7 주
25 도
317 시
인구
인구 98,121,883명 (5500년)
민족 분포 자소크계 35%
플리오센계 21%
풀르계 10%
라졔르베라계 9%
루시코와계 8%
모하지계 8%
유제이체계 4%
앙둔계 3%
겔레아계 2%
어문
공용어 셰스카테 셰스카테어
셰스카테 자소크 철학단 셰스카테 자소크어
플리오센 공화국 파인어
공용문자 라틴 문자, 재민
지역어 셰스카테 풀르어
종교
종교 분포 무종교 46%, 쿠므사테 25%,
운론 25%, 흐줌사테 4%
군대
군대 셰스카테 국군
정치
정치체제 자유민주주의
민주공화제
대통령제
다당제
연방제
문민통제
대통령 -
경제
경제체제 자본주의적 시장경제
통화 셰스카테 아비실 (Å)
단위
기년법 자소크력
시간대 ASN+19
통행방향 우측통행
국가 코드
2자코드 SK
3자코드 셰스카테 SKT
한자약칭 (혜)
쿠루쿠

개요

셰스카테(셰스카테어: Scheskatté, 파인어: De Ŝescate, 자소크어: Exeskate)레니스카에 위치한 국가이다.

상징

국호

언어 명칭+
셰스카테 셰스카테어 Scheskatté
셰스카테 셰스카테 자소크어 Exeskate
셰스카테 풀르어 Szeskatte
세멘티 왕국 세멘티어 Átelmora Esheskartõ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es'Artn k'Hyeshchataa
자소크계 이렘나인 이렘나 자소크어 Cheshkot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Exeskate
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자수르만어 سهسكاتييا
AR 그룹 자텐다어 Latolin Ádenmir 'Sanáyškávan
? 크리상치아어 la Chescaté
플리오센 공화국 파인어 le Szescate
대한민국 한국어 셰스카테
영국 영어 Shescate
프랑스 프랑스어 Chêcatée
안드로 안드로어 tPtmzkxp
메다 메다어 n7ng0f'c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국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국기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의 국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현재 사용 중인 국기는 피에레 델 템피메스(Fiére del Tempimes)라는 사람이 제작하였으며, 중앙의 삼단 다이아몬드 문양인 소유 겔레아스(Soju geleas)는 민족의 상징이나 마찬가지로 풀르 자치국 시절 때부터 사용되던 것이다.

국가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의 국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 국기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셰스카테는 건국 때부터 5267년까지 100년이 넘어가는 기간 동안에 셰스카테여 영원하라라는 국가를 사용하고 있었지만, 레니스카 대전쟁승리를 향해 나아가리라라는 이름의 새로운 국가를 제정했다. 또한 셰스카테엔 셰스카테 국기가라는 준국가가 존재하는데 이는 관습상 자주 불리는 노래이다. 당연히 국가 정식 행사에선 승리를 향해 나아가리라가 불린다.

역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지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행정구역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의 주
레쳇코모숨 주기.png
레쳇코모숨
레쳇메레 주기-풀르인 상징기.png
레쳇메레
비고.png
비고
루츠 주기.png
루츠
포투주 주기.png
포투
레체테페카인로스 주기.png
레체테베카인로스
레쳇파룸 주기.png
레쳇파룸

기후

셰스카테는 적도 근처에 있는만큼 열대 기후에 속해 더운 날씨가 계속되며 비가 굉장히 많이 내리는 편이다. 겨울에도 눈이라고는 구경조차 못할 정도로 온난하다. 셰스카테의 수도인 키에츠로이베만 봐도 1년 평균 강수량이 2200㎜이다. 그래서 셰스카테엔 열대 우림이 굉장히 많다.

동레니스카 쪽으로 가면 또 달라진다. 레체테베카인로스 주의 경우 의미가 애초에 "사막의 땅"이다. 이말인즉슨 비가 굉장히 적게 온다는 뜻으로, 1년 평균 강수량이 105㎜이다. 레쳇파룸 주셰스카테에 존재하는 유일한 온대기후성 지역으로, 여름엔 선선하며 겨울엔 적당히 춥다. 셰스카테의 최대도시가 수도인 키에츠로이베가 아닌 레쳇파룸 주 리뇌브인 이유가 있다.

정치

정부

+셰스카테 정부 틀전용.png
16부 17청
기획재정부
국세청 · 관세청 · 조달통계청
교육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우주청
외교부
재외동포청
국방부
병무청 · 방위사업청
법무부
검찰청
행정안전부
경찰청 · 소방처
국가보훈부
문화부
문화재청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기술청 · 산림청
환경부
기상청
국토교통부
해양수산부
해양경찰청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산업통상자원부
특허청
언어부
셰스카테 정부기 신버전.png

헌법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헌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외교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국제관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셰스카테의 전통적 우호국으로는 풀르 자치국 시절의 열강이었다 관계가 개선된 자소크 철학단플리오센 공화국이 있다. 이외에도 탄티스카 환경협약체 체결이나 동레니스카 분배 조약 참여, 자소크-이렘나 전쟁·레니스카 대전쟁 등으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다양한 국제관계를 구축하였다.

사회

복지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복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의료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의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치안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치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교통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교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문화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언어

셰스카테는 셰스카테어, 셰스카테 자소크어, 파인어 등 3개 언어를 공용어로 지정하였다. 그래서 셰스카테인들은 보통 2개 이상의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 일부 지방에서는 前 공용어였던 토착어인 풀르어가 사용된다.

교육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교육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셰스카테 학교의 학제는 7·4·4·4로 구성되며, 단선제 체계이다. 취학연령은 만6세이고 의무교육 기간은 6-18세이다. 학년은 2월에 시작하며, 5월 중반에 하계방학, 8월 말에 동계방학을 한다. 셰스카테는 초등교육기관으로 초등학교, 중등교육기관으로 중·고등학교, 고등교육기관으로 대학교를 설치하여 운영한다. 장애인 학생들은 각급 특수학교에서 교육을 받는다.

군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 국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셰스카테 국군은 셰스카테 국방부에 소속된 정규군이다. 셰스카테군은 육군·해군·공군·특수군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통수권자는 셰스카테 헌법에 따라 셰스카테의 대통령이다[5]. 경례 시에는 오른팔을 직각으로 꺾어 쭉 편 손이 왼쪽 가슴에 닿게 하고, 손바닥은 아래로 향하게 자세를 취한다.[6]

셰스카테 국군은 셰스카테 건국 직후 급조되어 그야말로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었다. 병력 충당을 위해서 과도한 징병을 한 것에 비해 군수물자와 식량 등이 언제나 부족했고, 선후임 내의 갈등도 심했다. 하지만 국방 예산을 증강하여 어느 정도 문제가 해결되었다.

도보게

각주

  1.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2. 셰스카테어
  3. 셰스카테 자소크어/직역하면 "우리는 자유와 화합으로 동맹했도다"
  4. 셰스카테령 모시츠,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 셰스카테령 아스라발타, 셰스카테령 틀란바이르고고흐, 셰스카테령 바스투
  5. 셰스카테 헌법 제74조 ① 대통령은 헌법과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국군을 통수한다.
  6. 메타계의 조그식 경례(Zogist Sal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