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앙둔시대) |
||
87번째 줄: | 87번째 줄: | ||
| 4630년 <br>5월 4일 || 19대 [[켸피투]] [[곈할라 앙둔]] 즉위 | | 4630년 <br>5월 4일 || 19대 [[켸피투]] [[곈할라 앙둔]] 즉위 | ||
|- | |- | ||
| 4632년 <br>1월 7일 || {{국기|이렘나 철랑대}}와 [[이렘나-앙둔 산업무역협정]] 체결 | | 4632년 <br>1월 7일 || {{국기|이렘나 철랑대}}와 [[이렘나-앙둔 산업무역협정|산업무역협정]] 체결 | ||
|- | |- | ||
| 4632년 <br>6월 18일 || | | 4632년 <br>6월 18일 || [[메티샤]] 대양을 종단하여 [[아트리아]] 도달 | ||
|- | |- | ||
| 4633년 <br>5월 5일 || | | 4633년 <br>5월 5일 || [[메티샤]] 종단사건, 발생 7개월 만에 첫 외신 보도 | ||
|- | |- | ||
| 4633년 <br>6월 18일 || | | 4633년 <br>6월 18일 || {{국기|주아트리아 산업단지}} 구축 | ||
|- | |- | ||
|} | |} |
2022년 6월 16일 (목) 17:17 판
+ ![]() Agdun Exurop | ||||
---|---|---|---|---|
역사 | 지리와 행정구역 | 문화 | ||
경제 | 정치와 군사 | 외교 |
개요
앙둔 제국의 역사를 다루는 문서.
역대 국가
※ 삼황시대 이전에는 국기의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국기그림은 계통을 나타내는 지표로만 보아야 한다.
- 전 오왕시대(Jual-Seyupurijanulip)
- 후 오왕시대(Oirow-Seyupurijanulip)
- 삼황시대(Uacdefiqjanulip)
- 앙둔시대(Agdunjanulip)
앙둔 제국(Agdun Exurop)
주요 인물
자세한 내용은 앙둔 제국/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주요 사건
선사시대
오왕시대
날짜 | 사건 |
---|---|
501년 1월 8일 |
이프렉 엡무스, 창헤샨 건국 |
586년 3월 4일 |
이프렉 나볼리, 새로운 행정수도 건설 지시 |
602년 7월 12일 |
이프렉 샬린, 푸스타캬 완공 및 천도 |
811년 1월 22일 |
창헤샨, 이프렉 밤마 대에 멸망 |
창·헤스·할디레로 분리, 푸스타캬는 헤스의 영토로 편입 |
삼황시대
날짜 | 사건 |
---|---|
1342년 6월 16일 |
페깁 헤스할디레, 헤스-할디레 동군연합 통일 및 ![]() |
1997년 7월 22일 |
깅바단 앙둔, ![]() |
1998년 5월 3일 |
깅바단 앙둔, ![]() |
1999년 3월 8일 |
깅바단 앙둔, ![]() |
![]() | |
1999년 3월 13일 |
깅바단 앙둔, 푸스타캬를 앙두노르로 개칭 |
앙둔시대
날짜 | 사건 |
---|---|
1999년 3월 19일 |
깅바단 앙둔, |
4472년 6월 3일 |
제18대 켸피투 두그불르 앙둔, 대신회의 소집 및 육상 진출 결정 |
4473년 4월 18일 |
제18전함, |
4481년 0월 0일 |
![]() |
4485년 0월 0일 |
사절단이 ![]() |
4485년 4월 16일 |
![]() |
4630년 4월 14일 |
18대 켸피투 두그불르 앙둔 붕어 |
4630년 5월 4일 |
19대 켸피투 곈할라 앙둔 즉위 |
4632년 1월 7일 |
![]() |
4632년 6월 18일 |
메티샤 대양을 종단하여 아트리아 도달 |
4633년 5월 5일 |
메티샤 종단사건, 발생 7개월 만에 첫 외신 보도 |
4633년 6월 18일 |
![]() |
여담
도보게
각주
- ↑ 2025년 5월 25일 23시 16분 4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