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언어 정보 | {{언어 정보 | ||
| 이름 = 셰스카테어 | | 이름 = 셰스카테어 | ||
| 자기이름 = | | 자기이름 = Fianenosum Scheskatté | ||
| IPA = | | IPA = | ||
| 그림 = | | 그림 =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 그림 크기 = | | 그림 크기 = | ||
| 나라 = {{국호|셰스카테}} | | 나라 = {{국호|셰스카테}} | ||
| 지역 = | | 지역 = [[레니스카]] 북부 | ||
| 민족 = | | 민족 = | ||
| 인구 = | | 인구 = | ||
| 어순 = SOV | | 어순 = SOV | ||
| 유형 = | | 유형 = 교착어 | ||
| 사멸 = | | 사멸 = | ||
| 계통색 = | | 계통색 = 자소크어족 | ||
| 계통1 = | | 계통1 = [[자소크어족]] | ||
| 계통2 = | | 계통2 = [[자소크조어]]([[에비아 자소크어]])† | ||
| 계통3 = | | 계통3 = [[리뉴 자소크어]]† | ||
| 계통4 = | | 계통4 = [[다시스 자소크어]]† | ||
| 계통5 = | | 계통5 = [[와기제 자소크어]] | ||
| 계통15 = | | 계통15 = | ||
| 초기 = | | 초기 = [[자소크어]], [[파인어]] | ||
| 언어코드 = SC-SS | | 언어코드 = SC-SS | ||
| 사전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K7Juzn-G9ZPd1dQJVy6lLrg97e7O1MuKIyq8HkHUQo/edit?usp=sharing | | 사전 =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mK7Juzn-G9ZPd1dQJVy6lLrg97e7O1MuKIyq8HkHUQo/edit?usp=sharing |
2023년 2월 18일 (토) 12:41 판
사용 국가 | ![]() |
---|---|
사용 지역 | 레니스카 북부 |
어순 | SOV |
유형 | 교착어 |
언어 계통 | 자소크어족 자소크조어(에비아 자소크어)† 리뉴 자소크어† 다시스 자소크어† 와기제 자소크어 셰스카테어 |
초기형태 | 자소크어, 파인어 |
언어코드 | SC-SS |
사전 | 셰스카테어_사전 |
개요
셰스카테어는 셰스카테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파인어와 자소크어에 큰 영향을 받은 언어이다.
음운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성문 | ||||||||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유 |
무 | ||
비 |
m ⟨m⟩ |
n ⟨n⟩ |
ŋ ⟨ng⟩ |
|||||||||||
파 열 |
p ⟨p⟩ |
b ⟨b⟩ |
t ⟨t⟩ |
d ⟨d⟩ |
k ⟨c/k/qu⟩ |
ɡ ⟨g⟩ |
||||||||
파 찰 |
t͡s ⟨ç/z/tz⟩ |
t͡ʃ ⟨cz/tx⟩ |
||||||||||||
마 찰 |
f ⟨f⟩ |
v ⟨v/wh⟩ |
s ⟨c/s⟩ |
ʃ ⟨x/sh/sch⟩ |
x ⟨ch⟩ |
h ⟨h⟩ | ||||||||
접 근 |
j ⟨j/i⟩ |
∅ ⟨h⟩ | ||||||||||||
설측 접 근 |
l ⟨l⟩ |
|||||||||||||
전 동 |
r ⟨r⟩ |
|||||||||||||
양순연구개 | ||||||||||||||
접 근 |
w ⟨w⟩ |
|
전설 |
근전설 |
중설 |
근후설 |
후설 | |||||
---|---|---|---|---|---|---|---|---|---|---|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평 |
원 |
고 |
i ⟨i/í/e⟩ |
y ⟨ÿ[3]⟩ |
u ⟨u/ú/yu⟩ | |||||||
근 고 |
ɪ ⟨i/e⟩ ⟨ie[3]⟩ |
ʏ ⟨ü⟩ |
ʊ ⟨au/ou⟩ |
|||||||
중 고 |
e ⟨e/é⟩ ⟨ä[3]⟩ |
ø ⟨ö/iy/oe/uy/yi⟩ |
o ⟨o/ó⟩ | |||||||
중 |
ə ⟨y/ý⟩ |
|||||||||
중 저 |
ɛ ⟨e/ey/ae⟩ ⟨ae[3]⟩ |
ʌ ⟨ya/yo⟩ ⟨oy/ya/ye[3]⟩ |
||||||||
근 저 |
ɐ ⟨ay⟩ |
|||||||||
저 |
a ⟨a/á⟩ |
-a | -e | -i | -o | -u | -y | |
---|---|---|---|---|---|---|
a- | ɛ~ɛː | aɪ | ao | aʊ~ʊː | ɐː | |
e- | ea | aɪ | eo | eːʊ~ɔɪ̯~ɔʏ̯ | ɛ | |
i- | ɪa~ja | ɪː | ɪo~jo | ju | ø | |
o- | oa | ø | oi | ʊː | ʌː | |
u- | wa | we | wi | wo | ø | |
y- | ʌ~ʌː | ʌː | ø | ʌ | u |
문자
A a | Á á | Ä ä | B b | C c | Ç ç | D d |
---|---|---|---|---|---|---|
A | Án | Ä | Be | Ca | Ça | De |
E e | É é | F f | G g | H h | I i | Í í |
E | Én | Fe | Ge | Hota | I | Ín |
J j | K k | L l | M m | N n | O o | Ó ó |
Je | Ke | Le | Me | Ne | O | Ón |
Ö ö | P p | Q q | R r | S s | T t | U u |
Ö | Pi | Que | Re | Se | Te | U |
Ú ú | Ü ü | V v | W w | X x | Y y | Ý ý |
Ún | Ü | V | We | Xes | Y | Ýn |
Ÿ ÿ | Z z | |||||
Ÿ | Zet |
문법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어/표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셰스카테어/통사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어순은 기본적으로 SOV의 형태를 띄고 있다
회화
셰스카테어 | 의미 |
---|---|
Exeintmogen | 좋은 아침입니다. |
Exeintinmogen | 좋은 밤 보내세요. |
Exeintinsalun | 안녕히 주무세요, 잘 자 |
Niskella | 안녕하세요. |
Exeintmots | 반가워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
Fligeáun | 잘 부탁드립니다. |
Alleksin | 안녕히 계세요. 안녕히 가세요. 안녕. 잘 가. |
Mera gi exeintun | 고마워. 감사합니다. |
Deali | 미안해. 미안합니다. |
Ja | 그렇습니다. 응. 네. |
No | 아니요. |
Biexeint | 아주 좋아. 아주 좋아요. |
Tan ul remiúns. | 여기로 와주세요. |
Tacitekuf da tanö fietanís? | 화장실이 어디에 있나요? |
Quis da lisö? | 그게 뭐야? |
Vequo! | 신기하다! |
Lisö conefen? | 무슨 일이야? 무슨 일이에요? |
Noexeint... | 별로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