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9번째 줄: | 9번째 줄: | ||
| 사용국 = {{국호|자소크 철학단}}<br>{{국호|아마야스 주}}<br>{{국호|모하지 공화국}} | | 사용국 = {{국호|자소크 철학단}}<br>{{국호|아마야스 주}}<br>{{국호|모하지 공화국}} | ||
| 기호 = Ŧ | | 기호 = Ŧ | ||
| 단위 = Ŧ1/100, Ŧ1/50, Ŧ1/10 | | 단위 = Ŧ1/100, Ŧ1/50, Ŧ1/10, Ŧ1/2<br>Ŧ1, Ŧ2, Ŧ5, Ŧ10, Ŧ50 | ||
| 인쇄처 = | | 인쇄처 = | ||
| 조폐국 = | | 조폐국 = |
2022년 10월 3일 (월) 11:51 판
자소크 테로 + | |
---|---|
Tero dé Zasoque | |
코드 | ZST |
중앙은행 | 관리청 금부 |
사용국 | ![]() |
기호 | Ŧ |
단위 | Ŧ1/100, Ŧ1/50, Ŧ1/10, Ŧ1/2 Ŧ1, Ŧ2, Ŧ5, Ŧ10, Ŧ50 |
자소크 테로(Tero)는 자소크 철학단과 아마야스 주에서 사용되는 화폐이다. 기호는 Ŧ이다.
테로라는 이름은 자소크어에서 모임[11]을 뜻하는 단어 Shtelo에서 유래했다고 전해진다.
도보게
각주
- ↑ 2025년 5월 29일 06시 28분 0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7개 회사 전원
- ↑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크리상치아 내전으로 멸망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종교 및 외교 분야에서 사용하며,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다.
- ↑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갑인 자소크어이다.
- ↑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