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사트}} {{앙둔}} ==개요== 앙둔 제국의 군사를 다루는 문서. ==앙둔 제국군== ===조직도=== 앙둔 제국의 군사조직은 앙둔 제국 정부조직에 기반하며, 국가재난상황이 닥칠 시 용도를 전환하는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정부조직도를 참조하길 권한다. {{차트/시작|정렬=중앙}} {{차트||||||||||||||| 용 ||||||||||||||용=용황}} {{차트||||||||| 교 |-|-|-...) |
(→조직도) |
||
6번째 줄: | 6번째 줄: | ||
===조직도=== | ===조직도=== | ||
앙둔 제국의 군사조직은 [[앙둔 제국/정부|앙둔 제국 정부조직]]에 기반하며, 국가재난상황이 닥칠 시 용도를 전환하는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정부조직도를 참조하길 권한다. | 앙둔 제국의 군사조직은 [[앙둔 제국/정부|앙둔 제국 정부조직]]에 기반하며, 국가재난상황이 닥칠 시 용도를 전환하는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정부조직도를 참조하길 권한다. | ||
{{앙둔군 조직도}} | |||
{{ | |||
===황궁=== | ===황궁=== |
2022년 9월 17일 (토) 18:47 판
+ ![]() Agdun Exurop | ||||
---|---|---|---|---|
역사 | 지리와 행정구역 | 문화 | ||
경제 | 정치와 군사 | 외교 |
개요
앙둔 제국의 군사를 다루는 문서.
앙둔 제국군
조직도
앙둔 제국의 군사조직은 앙둔 제국 정부조직에 기반하며, 국가재난상황이 닥칠 시 용도를 전환하는 형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우선 정부조직도를 참조하길 권한다.
용황 | |||||||||||||||||||||||||||||||||||||||||||||||||||||||||||||||||
교룡 | 대행 | ||||||||||||||||||||||||||||||||||||||||||||||||||||||||||||||||
팔부 | |||||||||||||||||||||||||||||||||||||||||||||||||||||||||||||||||
군정 | 작전 | 지원 | 함정 | ||||||||||||||||||||||||||||||||||||||||||||||||||||||||||||||
배 갑 부 | 흉 갑 부 | 좌 겸 부 | 우 겸 부 | 복 갑 부 | 보 각 부 | 영 각 부 | 미 갑 부 | ||||||||||||||||||||||||||||||||||||||||||||||||||||||||||
의전 인사 동맹 군수 | 작전 법무 헌병 감찰 | 돌격 기갑 공병 수송 | 습격 보병 포병 방첩 | 정훈 기훈 의장 군악 | 민사 군종 의무 영현 | 화생 개발 정보 통신 | 함정 기관 정비 병참 | ||||||||||||||||||||||||||||||||||||||||||||||||||||||||||
황궁
명칭 | |
---|---|
헤이어 |
Agdunik Goziur, Qefiyuq Goziur |
![]() 한국어 |
앙둔황궁, 켸피투 궁, 용황궁 |
![]() 영어 |
Palace of Angdun, Palace of Chephithu |
![]() 일본어 |
アンドゥン皇宮, ケピトゥ宮, 龍皇宮 |
안드로어 |
dkdensghkdrnd, zPvlxn rnd, dydghkdrnd |
메다어 |
jfaubsm/fakba, 07pd'b kba, j4am/fakba |
앙둔 제국군의 통수권자는 국가원수인 켸피투(Qefiyu)이다. 초대 켸피투인 깅바단 앙둔이 용·해룡을 뜻하는 Kepitu에 변형을 가해 만든 칭호로써, 주로 "용황"으로 번역된다. 전제군주제이므로 모든 실권을 쥐고 있으며, 따라서 왕권이 상당히 강한 편이다. 켸피투가 전쟁을 지휘하거나 지방을 시찰하는 등 궁을 비웠을 때는 대리자·대행자를 뜻하는 흐막타흐(Xmaktax)가 잠시 동안 실정을 담당한다. 대개 켸피투의 직계 혈족, 특히 후계자인 오이로우타흐(Oirowtax)가 맡는 경우가 많으나 몹시 신임하는 신하를 앉히는 경우도 더러 있다.
켸피투 | |
---|---|
헤이어 |
Qefiyu |
![]() 한국어 |
앙둔황제, 켸피투, 용황 |
![]() 영어 |
The Emperor of Angdun, Chephithu |
![]() 일본어 |
アンドゥン皇帝, ケピトゥ, 龍皇 |
안드로어 |
dkdensghkdwp, zPvlxn, dydghkd |
메다어 |
jfaubsm/falc, 07pd'b, j4am/fa |
오이로우타흐 | |
---|---|
헤이어 |
Oirowtax |
![]() 한국어 |
황위후계자, 오이로우타흐, 교룡 |
![]() 영어 |
The Heir of Angdun, Oirowtakh |
![]() 일본어 |
アンドゥン皇位後継者, オイロタク, 蛟龍 |
안드로어 |
ghkddnlgnrPwk, dhdlfhdnxkgm, ryfyd |
메다어 |
m/faj9dmbk7lf, jvjdyvjb'fmg, k4y4a |
흐막타흐 | |
---|---|
헤이어 |
Xmaktax |
![]() 한국어 |
최고대리인, 흐막타흐 |
![]() 영어 |
The Supreme Acting Agent, Khmacktakh |
![]() 일본어 |
最高代理人, クマクタフ |
안드로어 |
chlrheofldls, gmakrxkgm |
메다어 |
o/dkvurydjds, mgifx'fmg |
배갑부
명칭 | |
---|---|
헤이어 |
Kugcvmqzax |
![]() 한국어 |
배갑부, 군정부, 큥첨캬흐 |
![]() 영어 |
The Tergum, Ministry of Imperial Army, Cungtseomchakh |
![]() 일본어 |
背甲部, 軍政部, キョンチャンキャク |
안드로어 |
qorkqqn, rnswjdqn, zbdcjazigm |
메다어 |
;rkf3;b, kbslta;b, 05aotz06mg |
앙둔 제국군의 군정권을 가진 부서이다. 관청명은 등의 갑주라는 뜻으로, 켸피투의 뒤에 있으면서 든든하게 떠받든다는 의미이다. 배갑대신은 매우 영광스러운 직분으로써, 제국 최고의 기품을 갖춘 신하라는 인식이 있다. 제국의 모든 업무는 배갑대신을 거쳐 켸피투에게 전달되므로, 모든 대신 중에서 청렴과 정직을 가장 엄밀히 따져 임명하며 켸피투가 직접 취임식까지 거행한다. 팔부 중 군정본부에 속하는 유일한 부서이며, 예하 조직으로 의전사령부·인사사령부·동맹사령부·군수사령부가 있다.[3]
흉갑부
명칭 | |
---|---|
헤이어 |
Hoecvmqzax |
![]() 한국어 |
흉갑부, 군령부, 회첨캬흐 |
![]() 영어 |
The Plastron, General Headquarters, Hoetseomchakh |
![]() 일본어 |
胸甲部, 軍令部, フエチャンキャク |
안드로어 |
gbdrkqqn, rnsfudqn, ghlcjazigm |
메다어 |
m5akf3;b, kbsyea;b, m/dotz06mg |
앙둔 제국군의 군령권을 가진 부서이다. 관청명은 가슴의 갑주라는 뜻으로, 켸피투가 위험할 때 앞장서서 보호한다는 의미이다. 흉갑대신은 평소에는 법무부의 수장이지만, 전시에는 좌우겸을 통솔하는 대장군직을 수행하므로 제국에서 가장 용맹하면서도 침착한 지장이어야 한다. 흉갑대신은 제국 최고 수준의 갑주와, 통솔권을 상징하는 깃발을 하사받는다. 좌겸부·우겸부와 함께 작전본부에 속하는 부서이며, 예하 조직으로 작전사령부·감찰사령부·법무사령부·헌병사령부가 있다.[4]
좌겸부
명칭 | |
---|---|
헤이어 |
Dwiyozax |
![]() 한국어 |
좌겸부, 좌반군, 드위토아흐 |
![]() 영어 |
The Hammers, The Left Legion, D'withozakh |
![]() 일본어 |
左鉗部, 突擊隊, ドゥウィトザク |
안드로어 |
whkruaqn, whkqksrns, emdnlxhdkgm |
메다어 |
l/fkez;b, l/f;fskbs, ugj9d'vjfmg |
앙둔 제국군의 중보병부대이며, 평상 시에는 앙둔 제국의 건설토목 분야를 담당한다. 관청명은 왼쪽 집게라는 뜻으로, 켸피투를 위해 성벽을 쌓고 적과는 용감하게 부딪힌다는 의미이다. 전시의 좌겸부는 기마·기갑부대에 공병을 합친 듯한 특징을 가지는데, 최전방에서 방어벽을 세우거나 반대로 적군의 방어선에 돌격하여 파훼하는 역할을 맡는다. 평상 시에는 제국 내 모든 인프라를 관리 및 유지보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업무의 효율과 안전성을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 항상 중갑과 둔기를 장비하기에 덩치와 힘이 유별나게 좋은 이들이 모여있다. 흉갑부·우겸부와 함께 작전본부에 속하는 부서이며, 예하 조직으로 황립돌격대·기갑사단·공병사단·수송사단이 있다.[5]
우겸부
명칭 | |
---|---|
헤이어 |
Solyozax |
![]() 한국어 |
우겸부, 우반군, 숄토아흐 |
![]() 영어 |
The Swords, The Right Legion, Sholthozakh |
![]() 일본어 |
右鉗部, 公安部, 襲擊隊, ショルトザク |
안드로어 |
dnruaqn, dnqksrns, tyfxhdkgm |
메다어 |
jbkez;b, jb;fskbs, n4w'vjfmg |
앙둔 제국군의 경보병부대이며, 평상 시에는 앙둔 제국의 행정안전 분야를 담당한다. 관청명은 오른쪽 집게라는 뜻으로, 켸피투의 백성들을 안전하게 지키고 적군을 용감하게 베어나간다는 의미이다. 전시의 우겸부는 척후병이나 침투 작전 등을 수행하기도 하지만, 백병전에 돌입할 시 주 병력이 된다. 평상 시에는 제국 내의 각종 범죄나 안전 사고를 도맡는데, 특성 상 좌겸부보다 인원이 조금 많지만 목숨을 잃을 위험이 더 크다. 그 때문에 우겸부는 제국에서 유일하게 일상에서도 겸포(鉗砲)를 합법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흉갑부·좌겸부와 함께 작전본부에 속하는 부서이며, 예하 조직으로 황립습격대·보병사단·포병사단·황립방첩대가 있다.[6]
복갑부
명칭 | |
---|---|
헤이어 |
Tegacvmqzax |
![]() 한국어 |
복갑부, 육성부, 테갸첨캬흐 |
![]() 영어 |
The Sternum, Ministry of Development, Tejatseomchakh |
![]() 일본어 |
腹甲部, 育成部, テギャチャンキャク |
안드로어 |
qhrrkqqn, dbrtjdqn, xpricjazigm |
메다어 |
;vxkf3;b, j5xnta;b, 'ck6otz06mg |
앙둔 제국군의 공보정훈과 기초군사훈련 등을 담당한다. 관청명은 배의 갑주라는 뜻으로, 제국의 밝은 미래를 지탱한다는 의미이다. 앙둔 제국은 전제군주제이면서도 기업국가이기 때문에 인재를 양성하고 적재적소에 필요한 전문 인력을 배치하는 과정을 중시한다. 전시에는 군정본부의 지시를 전적으로 따라 이행토록 되어있다. 보각부·영각부와 함께 지원본부에 속하는 부서이며, 예하 조직으로 정훈사령부·기훈사령부·황립의장대·황립군악대가 있다.[7]
보각부
명칭 | |
---|---|
헤이어 |
Xiorumuanzax |
![]() 한국어 |
보각부, 민사부, 효루뫄나흐 |
![]() 영어 |
The Pillars, Ministry of Civil Affairs, Khyorumwanakh |
![]() 일본어 |
步脚部, 民事部, キョロウムアナク |
안드로어 |
qhrkrqn, alstkqn, gyfnahkskgm |
메다어 |
;vkfx;b, idsnf;b, m4ybi/fhfmg |
앙둔 제국군의 군사행정 중에서, 병사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업무들을 담당한다. 관청명은 걷는 다리라는 뜻으로, 제국을 위해 우뚝 서 생기를 불어 넣는다는 의미이다. 병사들과 가장 밀접한, 실질적인 군사행정 업무를 도맡아 하기 때문에 배갑부의 산하 조직으로 평가절하되고는 하지만 엄연히 독자적인 기구이다. 보각대신은 국내 행정에 한정하여 켸피투의 대변인 역할을 겸하기 때문에 호불호를 막론하고 병사들에게 가장 친숙한 고위 관료이다. 복갑부·영각부와 함께 지원본부에 속하는 부서이며, 예하 조직으로 민사사령부·군종사령부·의무사령부·영현사령부가 있다.[8]
영각부
명칭 | |
---|---|
헤이어 |
Buziomuanzax |
![]() 한국어 |
영각부, 과학부, 부요뫄나흐 |
![]() 영어 |
The Paddles, Ministry of Science, Buyomwanakh |
![]() 일본어 |
泳脚部, 科學部, ブゾムアナク |
안드로어 |
dudrkrqn, rhkgkrqn, qndyahkskgm |
메다어 |
jeakfx;b, k/fmfx;b, ;bj4i/fhfmg |
앙둔 제국군의 군사장비 개발을 총괄하는 부서이다. 관청명은 헤엄치는 다리라는 뜻으로, 제국의 발전을 위해 앞으로 나아간다는 의미이다. 앙둔 제국군에서 운용하는 모든 기술은 영각부에서 나오며, 예산도 8부 중에서 가장 많이 책정된다. 국가재난상황에서는 영각대신의 권한이 대폭 강화되는데, 긴급재난대책을 켸피투에게 직속으로 고할 수 있고, 대신회의에서 우선발언권을 보장받으며, 비취인가권이 있는 직속상황관을 특임할 수 있다. 복갑부·보각부와 함께 지원본부에 속하는 부서이며, 예하 조직으로 화생사령부·개발사령부·정보사령부·통신사령부가 있다.[9]
미갑부
명칭 | |
---|---|
헤이어 |
Fijacvmqzax |
![]() 한국어 |
미갑부, 안보부, 피자첨캬흐 |
![]() 영어 |
The Last, Ministry of National Security, Phidzatseomchakh |
![]() 일본어 |
尾甲部, 安保部, ピジャチャンキャク |
안드로어 |
alrkqqn, dksqhqn, vlwkcjazigm |
메다어 |
idkf3;b, jfs;v;b, pdlfotz06mg |
앙둔 제국의 안보를 담당한다. 관청명은 꼬리의 갑주라는 뜻으로, 여러모로 마지막을 책임진다는 느낌이 짙다. 미갑부에서는 앙둔 제국의 전함들을 관리하는데, 보통 정년을 앞둔 노장들을 예우하기 위한 마지막 보직이기 때문에 평상 시에는 더할 나위 없는 한직이다. 하지만 1급 국가재난상황이 닥치면 모든 구성원은 함장이 되어 전함을 기동하고, 제국보전계획을 수행한다. 특히 미갑대신은 제1함장 및 지휘함장으로써 앙둔 제국 황족이나 정부요인들의 안위를 책임지게 된다. 팔부 중에서 함정성에 속하는 유일한 부서이며, 휘하 병과로 함정직별·기관직별·무장직별·병참직별이 있다. 평상 시 국방성에 속하는 3부와 달리 상시 전투태세를 유지하므로 따로 분리되어 있다.
의전서열
여담
아래는 설정을 짤 때 도움을 받은 갑각류 해부 영상들이다.
도보게
각주
- ↑ 2025년 7월 12일 22시 58분 46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평상 시에는 행정성과 의례청·인사청·외교청·재정청으로 구성.
- ↑ 평상 시에는 국방성과 호위청·법률청·수사청·재판청으로 구성.
- ↑ 평상 시에는 국방성과 국토청·교통청·건설청·환경청으로 구성.
- ↑ 평상 시에는 국방성과 치안청·재난청·교도청·방첩청으로 구성.
- ↑ 평상 시에는 대민성과 상공청·식품청·문화청·교육청으로 구성.
- ↑ 평상 시에는 대민성과 사회청·복지청·보건청·노동청으로 구성.
- ↑ 평상 시에는 대민성과 과학청·발전청·자원청·통신청으로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