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각상운명태 노랑.svg
 '  
자소크 철학단 · 자소크어베르쿠암 · 재민 · 운론포터스 · 에빈카바스
지리 · 국기 · 전쟁 · 교육 · 국제관계
[ 역사 ]
+ 투타여르 데 자소크.svg
투타여르 데 자소크의 역사
Dise dé Tutaÿr dé Zasoque · Mazasorisicanoech de Tutayer de Zasoc
[ 0–5218년 ]
에비아 시대 - 자스호카 민족 리브렌스카 민족+
스텔리 시대 2년
리뉴 시대 565년
900년 경 자소크 문화
다시스 시대 2717년
2820년 9월 7일 자소크 국가연합 자소크 국가연합 결성
하키엘러시아 텔리아토스 치흐 헥타레시 에비타겐
2948년 5월 13일 우훗 제도 우훗 제도
크리산테 시대 3022년
3577년 2월 5일 하키엘러시아
와기제 시대 3996년
4008년 2월 5일 자소크 국가연합 자소크 국가연합 통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4156년 4월 11일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4164년 8월 15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UMG UMG UMG UMG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104년 5월 8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맹세기사단 자소크 맹세기사단
5105년 5월 3일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125년 8월 10일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5218년 이후
[ 5218년–현재 ]
5218년 이전+
와기제 시대 이전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 철학단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
5218년 7월 2일 북 하키엘러시아 포터스공학 연맹 양 사시나 철학단 에비타겐-밀리아 왕국 북 자소크 평의회 아브렌시아 모닉쇼 공화국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5299년 3월 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
북 하키엘러시아 임시정부 양 사시나 임시정부
5513년 7월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5515년 3월 (멸망)
현재: 5625년 7월 16일[1]
[ 관련 틀 ]
+북메티샤조약기구.svg
북메티샤 조약기구
회원국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사흐러스탄 부족연맹 국기.png
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크리상테스국기.svg
크리상테스 왕국
아르토이트제국국기.svg
아르토이트 제국4927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5019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5278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공화국 자소크 철학단플리오센 공화국5278
-
참관국
AR 그룹.jpg
AR 그룹[2]
95국기.svg
구오
- -
탈퇴국
밀리토호스타코뤼국기.svg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세멘티 공국.jpeg
세멘티 공국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3]
세멘티네라크뤼스.jpeg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 아르토이트 제국4927[3]
-
+탄티스카환경협약체로고.svg
탄티스카 환경협약체
유제이체 국기.png
유제이체 공화국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소재 4개 주[6]
- - -
+복각상기.svg
자소크어를 사용하는 국가
[ 펼치기 · 접기 ]
행정 언어 및 일상어로 사용하는 국가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철학단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공화국
티칸국기.svg
티칸 대제국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7]
북사국통위로고.svg
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
영토의 일부 지역에서 자소크어를 공식적인 국어로 인정하는 국가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공화국
호락존안도국기.svg
호락존 안도
북 자소크.jpg
북 자소크 평의회[8]
다른 언어와 자소크어를 행정 언어로 병용하는 국가 더 이상 자소크어를 사용하지 않는 국가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공화국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jpg
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
+ 탄티샤의 국가와 지역
사트.svg
동당뎅
북사국통위로고.svg
북사국통위
Larudan Flag.png
라루단
크리상테스국기.svg
크리상테스
자소크국기.svg
자소크
+ 텐메이메디아의 국가와 지역
파일:Tasdia de sat.png다이와AR 에르뎀은 장성연맹구오 / 초월기계국가AR 세르네데AR 프레니처AR 프레니처AR 세요짐AR 일몰 제도 지사AR 일몰 제도 지사AR 오닉서커트AR 에르뎀AR 나지에셔트AR 베센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네라다 공민공화국셰헤카사 제도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자소크의 아마야스 주 정부가린다리 헌국쇠예흐 대제국도르나라세이안 왕국쟈헤나 섬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칼르신 공화국야마토-타코뤼 공동구역레프레누제의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에카넥 왕국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리프노이헤멜바르트 제국세멘티 공국아르토이트 제국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주남메디아 산업단지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아나키스트 코뮌 연방아나키스트 코뮌 연방베레테르니유 신성국주펠레마 산업단지디메르테스 자치령남토이트 기사단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주노데 왕국칼로이디아천도주아트리아 산업단지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파룸뤼미에르무르무르섬아나이 공화국한카 교회국칸다리 천문대호락존 안도주아트레니스카 산업단지신네 란부세가오크랍토스앙둔 제국터트족자소크 철학단크리상테스 왕국자소크 철학단에비타겐-밀리아 왕국에비타겐-밀리아 왕국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아브렌시아아브렌시아북 자소크 평의회모닉쇼 공화국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라루단라루단주탄티샤 산업단지이룰 연방루시코와노베몰마디아 공화국유제이체 공화국그래그래 공화국레프레누제 연합대엔지 제국플리오센 공화국주레니스카 산업단지모하지 공화국신세이 왕국라졔르베라사떼 로요그리로아센셰스카테포투티칸 대제국테사시테스 자치령Tasdia de sat.png
네라다 공민공화국.jpeg
네라다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svg
야마토
아마야스주정부기.svg
아마야스 자소크 철학단
+ 서레니스카의 국가와 지역
파일:Tasdia de sat.png다이와AR 에르뎀은 장성연맹구오 / 초월기계국가AR 세르네데AR 프레니처AR 프레니처AR 세요짐AR 일몰 제도 지사AR 일몰 제도 지사AR 오닉서커트AR 에르뎀AR 나지에셔트AR 베센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네라다 공민공화국셰헤카사 제도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자소크의 아마야스 주 정부가린다리 헌국쇠예흐 대제국도르나라세이안 왕국쟈헤나 섬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칼르신 공화국야마토-타코뤼 공동구역레프레누제의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에카넥 왕국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리프노이헤멜바르트 제국세멘티 공국아르토이트 제국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주남메디아 산업단지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아나키스트 코뮌 연방아나키스트 코뮌 연방베레테르니유 신성국주펠레마 산업단지디메르테스 자치령남토이트 기사단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주노데 왕국칼로이디아천도주아트리아 산업단지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파룸뤼미에르무르무르섬아나이 공화국한카 교회국칸다리 천문대호락존 안도주아트레니스카 산업단지신네 란부세가오크랍토스앙둔 제국터트족자소크 철학단크리상테스 왕국자소크 철학단에비타겐-밀리아 왕국에비타겐-밀리아 왕국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아브렌시아아브렌시아북 자소크 평의회모닉쇼 공화국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라루단라루단주탄티샤 산업단지이룰 연방루시코와노베몰마디아 공화국유제이체 공화국그래그래 공화국레프레누제 연합대엔지 제국플리오센 공화국주레니스카 산업단지모하지 공화국신세이 왕국라졔르베라사떼 로요그리로아센셰스카테포투티칸 대제국테사시테스 자치령Tasdia de sat.png
카마르 헌국.png
카마르
제리드발로타 국기.png
제리드발로타
노베몰마디아 국기.svg
노베몰마디아
사틸튼퇴 자유시 국기.svg
사틸튼퇴
FlagOfNixe.jpeg
닉세
셰스카테-001.png
셰스카테
플리오센국기.png
플리오센
Rusikowa.png
루시코와
Rang.png
랑서국
신세이.png
신세이
모하지국기.svg
모하지 플리오센 공화국 자소크 철학단

이 문서는 스텔로 제10차 릴레이 번역을 위해서 작성된 자소크어 교본이다. 이 문서는 인공언어 창작이 익숙한 한국어 화자가 자소크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자소크어의 단어는 이 문서에서 확인해볼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자소크어는 5050년 전후[9]의 자소크어인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므로, 이전의 자소크어, 즉 와기제 자소크어에 대한 교본에 대해서는 자소크어/배우기/와기제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읽는 방법과 문자

자소크어는 라틴 문자 표기법, 재민 표기법으로 총 2개의 표기법을 가지고 있다. 재민 표기법은 스치에게조차도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법만을 사용하여 서술한다.

라틴 문자 재민 종류 이름 소리+
대문자 소문자 대문자 소문자 한국어 자소크어
G g 자음 ga /g/
N n 자음 na /n/
M m 자음 ma /m/
S s 자음 sa /s/
D d 자음 da /d/
V v 자음 va /β/
Z z 자음 za /z/
L l 자음 la /l/
X x 자음 exa /ʃ/
K k 자음 ka /k/
Q q 자음 카 사미 우[10] qua samie u /kʰ/
T t 자음 ta /tʰ/
P p 자음 pa /p/
C c 자음 ca /t͡ʃ/, /ȶ/
H h 자음 아하 aha /ʔ/, /χ/, /ç/
R r 자음 ra /ɾ~r/
F f 자음 fa /f/
A a 모음 a /ä/
Y y 모음 y /ʌ/
O o 모음 o /o/
U u 모음 u /u/
I i 모음 ie /ɪ/
J j 자음 ja /j/, /i/
E e 모음 e /e̞/

다이어크리틱

자소크어에서는 다이어크리틱을 사용하여 발음을 구별하는 경우도 있다. 자소크어의 모음에는 양음 부호, 억음 부호, 트레마, 곡절 부호와 장음 부호를 사용하고, 자음 C에는 세디유가 붙어 발음의 차이를 나타낸다.

세디유

세디유는 C 아래에 붙어 발음 차이를 나타낸다.

표기 읽는 방법
 ç /t͡s/

재민 표기법에서는 C와 Ç를 같은 글자로 나타낸다.

스트로크

스트로크는 O를 가로질러서 발음 차이를 나타낸다.

표기 읽는 방법
ø /ø/

양음 부호

양음 부호는 관형격 조사 '-의'를 나타내는 단어인 'é'가 그 모음의 앞에 결합되었음을 나타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읽을 때에는 모음의 소리 앞에 짧은 /ɪˑ/를 붙여 읽는다.

단, 'é'의 경우에는 'e'와 동일하게 읽는다.

표기 읽는 방법
á /ɪˑä/
é /e̞/
í /jɪː/
ó /ɪˑo/
ú /ɪˑu/
ý /ɪˑʌ/

억음 부호

억음 부호는 서술어의 모음 위에 붙어 어근과 어미를 시각적으로 나누는 역할을 하며, 억음 부호에 의한 발음 차이는 발생하지 않는다.

억음부호가 있는 단어는 대부분의 경우 동사이고, 가끔씩은 형용사이지만, -ìe(명사형 어미, -(으)ㅁ)나 -àim(인지 아닌지)과 같은 어미가 붙었을 때에는 서술어를 명사로 만들기 때문에 명사로 해석해야 한다. 이때에는 표준적으로 두문자를 대문자로 쓰기 때문에 이것을 통해 통사적 구조를 구분할 수 있다.

트레마

트레마는 모음 위에 붙어 자음 J /j/와 결합되었음을 나타낸다.

표기 읽는 방법
ä /jä/
ë /je̞/
ï /jɪ/
ö /jo/
ü /ju/
ÿ /jʌ/

규칙적인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트레마가 붙은 모음은 강세가 붙어 장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

곡절 부호

곡절 부호는 모종의 이유로 두 개의 모음이 하나로 결합되었음을 나타낸다. 대체로 어근과 어미의 결합, 합성어 형성 중 결합, 조사와 명사간의 결합 등의 이유로 발생한다. 이러한 모음은 대체로 길게 읽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어 단어와 맥락에 따라 다르다.

표기 읽는 방법
â /äː/
ê /e̞ː/
î /ɪː/
ô /oː/
û /uː/
ŷ /ʌː/

장음 부호

장음 부호는 자소크어에서는 원래 사용되지 않는 문자이나, 외래어의 강세를 표현하거나 자소크어 고유어에서 강세의 위치를 표현하는 등의 이유로 사용된다. 장음 부호가 붙은 모음은 장음으로 읽는다.

문장 부호

마침표

마침표는 문장의 종결을 의미한다. 보통 앞에는 단어를 붙이고 뒤에는 띄어쓰기를 하여 나타낸다.

  • Miros Quorsin. Ad niros Taso.
    나는 사람이다. 그리고 너는 고양이이다.

실수를 나타낼 때에 1의 자리 아래의 수를 나타낼 때에도 마침표를 사용한다.

  • Dis 'vo ä Pain roy 1.1 lo vistùquê.
    이번에 점수로 1.1점을 받았다.

쉼표

쉼표는 문장의 휴지를 의미한다. 도치가 일어났거나 앞 뒤의 단어를 잇기도 하고, 또는 대등한 문장 성분을 병렬로 연결하여주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한다.

  • Doliah u, miros moqûdum.
    집에, 나는 가고 싶다.[11]
  • Mòinosè lo Vesin ad Vanana, Anana.
    나는 사과와 바나나, 파인애플을 샀다.[12]

천의 자리 이상을 포함하는 실수를 나타낼 때에, 세 자릿수마다 자릿수를 표기하는 문자로 쉼표를 사용한다.

  • 10,000 les Équorsin da komè.
    10,000명의 사람이 왔다.

느낌표

느낌표는 문장에 더욱 감정을 실어 이야기하여 문장이 의미하는 바가 강력하거나, 감탄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 등의 경우에 사용한다.

  • A! Naritempè!
    아! 알아냈다!

물음표

물음표는 문장을 통해 의문을 제기함을 의미한다.

  • Sorisic u ät l'orûdè a?
    어제 뭘 먹었어?

콜론

콜론은 문장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가 그 다음에 나타난 내용임을 의미한다. 콜론 뒤에는 주로 병렬로 이어진 문장 성분들이나 인용문, 감탄사 등이 온다. 행동의 결과를 나타내는 경우에 쉼표보다 더욱 강력한 휴지를 나타내기 위해서도 활용된다.

  • Miros ä Potal daiaè: «Difaxas u modilàhom.»
    나는 그 글을 읽었다. "이곳에 들어가지 마시오."
  • Hiro d'ä Vruma u modilè Ézozaque: ä Vruma u iksùm Équorsi' lo vizaxè.
    그가 방에 들어간 순간, 방에 있는 사람을 보았다.

세미콜론

세미콜론은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 그 사용의 방식이 매우 다양하나, 대부분의 경우 세미콜론의 앞에 있는 단어에 대한 다른 표기 혹은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Ä Vruma u vizaxè Équorsin; ä Todìs insürtaùie semüniax.
    그 방에서 본 사람—시체는 정말 무서웠다.

기메

기메는 '«'와 '»'가 쌍으로 쓰이며, 해당 부호 안의 내용이 인용되었거나 강조됨을 의미한다.

  • Miros «Disas ät?!» touavidiè.
    나는 "이게 뭐야?!"라고 말해버렸다.
  • Miros «Hisínsürta» l'aripreposiksè.
    나는 "그 사실"을 알고 있었다.

홑기메

홑기메는 '›'와 '‹'가 쌍으로 쓰이며, 의성어나 의태어, 생각, 감탄사 강조 등을 의미한다.

  • Niros ›A!‹ tou ä Linfos lo nariprepotempàse.
    너는 '앗!'하고 그 정보를 기억해냈다.

엠 대시

엠 대시는 하나의 문단 전체가, 혹은 이 뒤의 부분이 인용문임을 나타낸다. 엠 대시가 문장 내에서 사용되었을 때에는 대체로 그 뒤에 엠 대시가 서술하는 부분을 이탤릭체로 나타낸다.

  • Miros
    – Ät 'iosìç Ésie a?
    touatè.
    나는 "뭐 하는 거야?"라고 말했다.
  • Miros – Ät 'iosìç Ésie a? touatè.
    나는 "뭐 하는 거야?"라고 말했다.

정서법

Q

Q는 언제나 u와 함께 'qu'의 형태로 쓰인다. 단, 단어 끝의 'q'는 모두 'que'로 쓴다. 만약 이 단어를 거꾸로 해야 할 때에는 'qu'의 형태로 한다. 이때에는 'q'의 소리로 발음한다.

  • Zasoque /zäˈsokʰ/
  • Quin /ˈkʰɪn/

X

어두의 X는 모두 'ex'의 형태로 쓰인다. 읽을 때에는 'e'를 읽지 않는다. 단, 이 단어를 활용하는 등의 이유로 더 이상 'x'가 어두에 오지 않게 되었다면 'e'를 따로 쓰지 않는다.

  • Exain /ˈʃäɪn/
  • Extelo /ʃˈteˌlːo/

단, 외래어 표기 등의 이유로 /eʃ/ 발음을 나타내야 하는 경우에는, 어두 'ex'의 'e'를 'ê'로 바꾸어 'êx'의 형태로 나타낸다.

I

I가 어말에 왔을 때에는 'ie'로 쓴다. 단, 이때 'e'는 표기에만 반영하며, 합성 시에는 무시한다. 이는 'ì'에도 적용한다.

  • Diosìe /ˈdɪoˌsɪ/
  • Iksie /ˈɪkˌsɪ/

J

  •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i와 같은 소리를 낸다.
  • 위 상황에 포함되지 않는 경우, 두 글자 이상으로 이루어 진 단어에서 j를 사용할 수 없다.
    • 단, 원래 형태가 j인 단어로 만들어진 합성어의 경우 원래 표기인 j를 그대로 사용한다.
      • jvex 독립
      • 단, PN.DET[13]의 J가 조사와 결합했을 때에는 ‘i’로 나타낸다.
        • Dé J Evinkavas > Di’Evinkavas
        • Dé J Extelo > Die Extelo

Ø

O와 e가 붙어 만들어진 단어에서 oe는 ø로 표기하고 [외]로 읽는다. 단, 원문 표기를 허용한다.

  • Foloem; Foløm; 길이

Ø는 하나의 이중모음으로 취급받지 않는다. 즉, ø를 거꾸로 하면 eo가 된다.

연음 축약

단어와 조사, 조사와 단어가 이어질 때에 유음화나 비음화 등의 축약이 일어나는 경우에는 축약을 표기에 반영하고 축약된 부분을 따옴표(') 로 나타낸다.

Glixi' lo rutanùll komè. (glixin) 비행기를 타고 왔다.
Ä Taso' suquerìçah. (tasos) The cat is not dancing.

이는 자소크어에서 가장 까다로운 부분이기 때문에 단어를 보고 어떤 부분이 축약되었는지 연습을 필요로 한다. 아래의 #예문을 보며 축약의 예시를 확인해볼 수 있다.

다이어크리틱 대체 표기

À, Á, Ä, Â와 같은 다이어크리틱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양음 부호 (Á)
    • 앞에 E를 붙인다. É는 E로, 다이어크리틱을 빼고 그대로 쓴다.
    • Mirálon > Mirealon
    • Daxésie > Daxesie
  • 억음 부호 (À)
    • 그대로.
    • Lofanùll komè. > Lofanull kome.
  • 트레마 (Ä)
    • 앞에 J를 붙인다.
    • Insürta > Insjurta
  • 곡절 부호 (Â)
    • 원형을 밝혀 쓰거나 두 번 쓴다.
    • Vizaxùqûm > Vizasxquum
    • Îgin > Iigin, Aravîta > Araviita
  • 마크론 (Ā)
    • 표기에 반영하지 않는다.
    • J'Amērika > J'Amerika
  • Tia Îginis da zeh màzipùtum Ínsürtas, (하지만 비평가들이 꼭 마주해야 하는 사실은,)
    • > Tia Iiginis da zeh maziputum Einsjurtas,

고유명사

자소크어에서 고유명사는 고유명사 표시자 J와 함께 표시된다. 스치(Scîe)는 자소크어 문장에서 J Scîe와 같이 나타낸다.

단, Zasoque는 고유명사로 치지 않는다.

고유명사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J를 J'로 축약하여 단어 앞에 붙여 나타낸다.

명사구

자소크어의 명사구는 자소크어의 생명이다. 원래 자소크어는 명사구만을 위해 만들어진 언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É

띄어쓰기를 사용하지 않는 수식

자소크어에는 명사와 명사, 형용사와 명사를 이어주는 조사 é가 있으며, 이 조사는 대부분의 경우 명사와 형용사 사이에서 띄어쓰기를 하지 않고 연결된다. 자소크어는 전치수식으로 명사를 꾸미기 때문에, 꾸며지는 명사가 뒤에, 꾸미는 부분이 앞에 오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 fontlan (맛있다) + Fudie (음식) > Fontlanéfudie (맛있는 음식)
  • sion (예쁘다) + Quorsin (사람) > Sionéquorsin (예쁜 사람)

명사를 꾸미는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는, 단어 뒤에 있는 모든 모음을 없애고 é를 붙여 명사를 수식한다.

  • Natio (나라) + Quorsin (사람) > Natéquorsin (나라의 사람)
  • Litia (두번째) + Kadas (책) > Litékadas (두번째 책)
  • Insürta (사실) + Sie (것) > Insürtésie (진짜인 것)

하지만 이러한 성질이 적용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단어에 따라 조심해야 한다.

  • Disie (현재) + Fiun (전쟁) > Disiéfiun (현재의 전쟁)
  • Dise (과거) + Fiun (전쟁) > Disêfiun (과거의 전쟁)
  • Disa (미래) + Fiun (전쟁) > Disaéfiun (미래의 전쟁)
  • dis (이것) + Fiun (전쟁) > Diséfiun (이 전쟁)

꾸며지는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에는 é와 해당 모음이 합쳐져 발음의 변화를 일으킨다. 이때에는 á, í, ó, ú를 사용한다.

  • Exelo (복잡한) + Hanös (일) > Exelánös[14][15] (복잡한 일)
  • Taic (높은) + Hugenie (산) > Taicúgenie (높은 산)
  • Utra (아픈) + Ifor (주먹) > Utrífor[16] (아픈 주먹)
  • his (그것) + Ol (전체) > Hisól (그 모든 것)

띄어쓰기를 사용하는 수식

수식하는, 수식받는 단어가 연결사 등에 의해 병렬로 연결되어있는 경우에는 수식의 범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 é와 단어를 띄워서 쓴다.

  • sion ad riçie é Lofanasin ad Lofanuquin 예쁘고 멋진, 선생님과 학생
  • Sion ad Riçélofanasin ad Lofanuquin 예쁨과 (멋진 선생님)과 학생
  • Sion ad riçé Lofanasin ad Lofanuquin 예쁨과 (멋진 선생님과 학생)
  • Sion ad riçie Élofanasin ad Lofanuquin (예쁘고 멋진 선생님)과 학생

É가 띄워진 후 단어의 앞에 붙어 명사를 수식한다면 é가 수식하는 단어가 명사이기 때문에 두문자인 é를 대명사로 써야 한다.

문장 전체로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 (안긴 문장)

문장 전체로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도 é를 띄어서 쓴다. 예를 들어서, "밥을 먹는 사람"이라는 명사구를 만들고자 한다면 "밥을 먹다 É사람"과 같은 형식으로 쓴다.

  • Hanür l'orüdùm (밥을 먹다) + Quorsin (사람) > Hanür l'orüdùm Équorsin (밥을 먹는 사람)

대부분의 경우에 문장에는 é를 붙여서 명사를 수식하지 않지만, 수식하는 명사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기도 한다.

  • Hanür l'orüdùmé Lofanasin ad Lofanuquin (밥을 먹는 선생님과 학생)

또한, 목적어나 주어와 같은 다른 문장 성분이 없이 오로지 서술어로만 이루어진 동사구에도 대부분의 경우 é가 붙어서 명사가 수식된다.

  • umivìç (달리고 있다) + Ziroque (친구) > Umivìçéziroque (달리고 있는 친구)

역시, 이러한 경우에도 서술받는 명사구가 병렬로 연결된 경우에는 é와 서술받는 명사구를 띄워서 표현한다.

  • umivìç (달리고 있다) + Ziroque ad Sorisalonin (친구와 전 애인) > umivìçé Ziroque ad Sorisalonin (달리고 있는 (친구와 전 애인))

é 뒤에 고유명사가 오는 경우

É 뒤에 고유명사로 된 단어가 와서 고유명사를 수식하는 경우에는 é와 고유명사 표시자 J를 합쳐 éie로 나타낸다.

  • maxamaka (바쁜) + J Scîe (스치) > maxamakéie Scîe (바쁜 스치)
  • felox (행복한) + J Stelo > Feloxéie Stelo (행복한 스텔로)

Dé는 é와 같은 의미를 가지되, 수식받는 단어와 수식하는 단어의 위치가 반대이다. 이 경우 수식받는 단어가 좀 더 강조된다.

Dé의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앞 뒤 단어와 띄워서 쓴다.

  • Fontlanéfudie (맛있는 음식) > Fudie dé fontlan (맛있는 '음식')
  • Riçélofanasin (멋있는 선생님) > Lofanasin dé riçie (멋있는 '선생님')
  • Litékadas (두번째 책) > Kadas dé Litia (두번째 책)

Dé 뒤에 자음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오는 경우, dé를 d'로 축약할 수 있다.

  • Umivìçéziroque (달리고 있는 친구) > Ziroque d'umivìç (달리고 있는 친구)

수식하는 단어가 고유명사인 경우

Dé를 사용한 명사 수식에서 수식하는 단어가 고유명사인 경우[17], dé와 J를 합쳐 die로 쓴다.

Die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가 오는 경우에는 die를 di'로 축약하여 명사 앞에 붙인다.

  • Sulatainatio (대제국) + J'Enzie (엔지) > Sulatainatio di'Enzie (엔지 대제국)

통사적 성질

자소크어는 SOV형 교착어이다. 품사로는 명사, 대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조사, 연결사, 관사, 감탄사가 있고 문법적 성은 없다.

자소크어 문장의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한다면 조사가 명사의 앞, 뒤에 모두 붙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 특징에 의해서 자소크어 문장을 처음 접하는 사람은 복잡한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꽤 어려움을 겪기도 하지만 모든 언어가 그러하듯이 익숙해진다면 별로 어렵지 않다.

동사 활용

자소크어에서 동사는 주어의 인칭과 수, 태, 시제, 목적어의 인칭과 수를 가질 수 있다. 이 모든 성질이 다 쓰이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은 태와 시제를 나타내어 사용한다.

자소크어에서 사용하는 시제 어미는 다음과 같다.

시제어미
시제 실현방법 양상 (dios에 대한) 의미 행간 주석
대과거 -èa diosèa 했었다. 하곤 했다. HIST
과거 diosè 했다. PST
현재 진행 -ìç diosìç 하고 있다. PRS.PROG
현재 -ùm diosùm 한다. PRS
미래 -àd diosàd 할 것이다, 하겠다. FUT
  • lofan (공부하다) + -è (과거) > lofanè (공부했다.)
  • vizax (보다) + -ùm (현재) > vizaxùm (본다.)
  • moque (가다) + -ìç (현재 진행) > moquìç (가고 있다.)

대과거형은 현재는 하지 않지만 과거에 한 사실에 대해서 서술할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서, "나는 옹알이를 하곤 했다"라는 문장은 대과거 시제를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외의 태와 기타 의미 추가를 나타내는 어미는 다음과 같다.

형태 실현방법 양상 의미 행간 주석 비고
피동 -ùque diosùqûm 당한다. PASS 예외
가능 -ùt diosùtum 할 수 있다. POSB
필요 -ùn diosùnum 해야 한다. NEC
욕구 -ùd diosùdum 하고 싶다. DES
사동 -às diosàsum 시킨다. CAUS
부정 -àh diosàhum 하지 않는다. NEG
가정 -ùsua diosùsua 하면 SJV
명령 -òm diosòm 해라 IMP 무시제어미[18]
청유 -òme diosòme 하자 SUBJUNCT 무시제어미
양보 -àla diosàla 했더니 RES 무시제어미
명사 -ìe diosìe 하기, 함 NMZ 무시제어미
이유 -ùlar diosùlar 하니까 RES 최후어미, 무시제어미
과정 -ùll diosùll 하고, 해서 ? 최후어미, 무시제어미
비록 -ùdegro, -ùsuia diosùdegro, diosùsuia 할지라도 CONC 최후어미, 무시제어미
반전 -ìa diosùmia 하지만 REV 최후어미
확신 -z diosùz 한다, 하겠다, 할 것이다. ASSUM 최후어미, 예외
또는 -aro diosàro 하거나 ? 무시제어미

동사에 시제를 붙이거나 형변환을 할 때, 즉 서술어의 어간에 어미를 추가하는 경우에는 어미에 억음 부호(gràve)를 붙여서 나타낸다. 단, 재민 문자를 사용할 때에는 어미 표현 문자를 사용해서 어미임을 나타내야 한다. 어간 뒤에 만약 두 개 이상의 어미가 붙을 때에는 가장 어간에 가까이 있는 어미에만 억음 부호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서 vizaxàsùm의 경우는 vizaxàsum으로 표기한다.

피동접미사 '-ùque'의 경우에는 'que'로 끝나는 단어이므로 그 뒤에 다른 어미가 붙을 때에 que의 정서법을 따라야 한다.

확신접미사 '-z'의 경우에는 시제에 따라 실현 방법이 달라지는데, 위 시제어미 표에 있는 순서대로 확신접미사가 붙은 dios를 서술하자면 diosèaz, diosèz, diosìz, diosùz, diosàz이다.

어미는 붙는 순서에 따라서도 뉘앙스적 차이가 발생하는데, 예를 들어서 할 수 있다라는 뜻의 -ùh와 부정의 뜻의 -àh를 사용하면 순서에 따라 다음과 같은 의미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orüdùhah (먹을 수 없다)
  • orüdàhuh (먹지 않을 수 있다)

어미로 주어의 인칭과 수를 나타내는 방법

자소크어에서는 동사에 어미를 붙여 주어의 인칭과 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이러한 어미들은 동사 앞에 붙어 동사를 수식한다.

이러한 어미들이 붙는 것으로 인한 의미 차이는 발생하지 않으나, 듣는 이로 하여금 주어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하거나, 주어 없이도 주어를 나타내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칭 단수 복수
1인칭 mò- mà-
2인칭 nò- nà-
3인칭 hò- hà-
부정칭 sò- sà-
  • Nòsuquerùtum. 당신은 춤을 출 수 있습니다.
  • Olénatésizimakinis, nàxtelôm!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Màxtelôm!이라고 하면 “우리 단결합시다!” 하는 의미의 “단결하라!”가 된다.
  • Mòtagùm, rifo iksùm. 나는 생각한다. 고로 존재한다.

어미로 목적어의 인칭과 수를 나타내는 방법

시제가 있는 동사라면 시제 어미를 변형하여 목적어의 인칭과 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인칭, 수\시제 대과거 과거 현재 현재 진행 미래
1인칭 단수 -èamo -èmo -ùmo -ìmo -àmo
1인칭 복수 -èama -èma -ùma -ìma -àma
2인칭 단수 -èano -èno -ùno -ìno -àno
2인칭 복수 -èana -èna -ùna -ìna -àna
3인칭 단수 -èaho -èho -ùho -ìho -àho
3인칭 복수 -èaha -èha -ùha -ìha -àha
부정칭 단수 -èaso -èso -ùso -ìso -àso
부정칭 복수 -èasa -èsa -ùsa -ìsa -àsa
  • Mòsuqueràsutuno. 나는 당신을 춤추게 할 수 있습니다.
  • Exteloàna. 당신들을 단결시킬 것이다.

조사

조사는 단어의 뒤에 위치하여 명사가 어떤 문장 성분으로 쓰였는지를 나타낸다. 맥락에 따라서는 조사를 생략하기도 한다.

  • J Scîs Vato' l'orüdìç.[19] (스치는 물을 먹고 있다.)
조사 의미
lo -을/를
da -이/가
as -은/는
u -에
svo -에서
tou -(이)라고
degro -도, -역시
samie -와/과
gie -에게
gifas -에게는
spo -부터
to -까지
svofas -에서는
ufas -에는
tia -번째
é -의, -한, -인
roy -(으)로

조사는 동사를 바라보는 위치에 놓는다. 즉, "나는 밥을 먹는다."라는 문장을 "Miros Hanür l'orüdùm"이라고 쓸 때에는 목적격 조사 lo가 Hanür 뒤에, orüd 앞에 와야 하지만, "Miros orüdùm l'Hanür"이라고 쓸 때에는 Hanür 앞에, orüd 뒤에 와야 하는 것이다.

조사는 단어의 앞뒤에서 축약이 자유롭게 된다. 또한, 축약을 했을 때에 어포스트로피를 제외한 나머지 글자의 수가 한글자인 경우에는 어포스트로피 방향의 앞 또는 뒤의 단어와 붙여서 표기할 수 있다.

  • Niros Mirálon. (너는 나의 사랑이다.)
  • Natiol gorùll! (나라를 위해!)
  • Niros Quorsin degro nah! (너는 사람도 아니야!)
  • Exitnatané 1-les Leka t'Opor 'oy paradiçòme. (마지막의 1초까지 앞으로 나아가)

Tou를 사용하여 문장을 간접인용하는 경우에는 문장에 동사를 숨기지 않는 것이 규칙이다. 따라서 "miros Quorsin"과 같은 기본적인 문장이라도 간접 인용되는 경우에는 "miros Quorsin izùm tou"라고 한다. 하지만 이 규칙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며, 화자의 성격이나 습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관사

관사는 명사와 관사를 구분하기 위해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원칙이다.

Ö

Ö는 자신을 낮추어 상대방을 높이는 방식으로 단어의 의미를 높인다.

  • Vist 주다
  • Ö Vist 드리다

J

고유명사 앞에 붙는 관사. 언제나 대문자로 쓴다.

자세한 설명은 #고유명사 참고

Öie

Ö와 J를 합친 관사. 한국어의 "–님"에 해당하는 표현이다.

  • Öie Scîe 스치님

Ä

정관사.

예문

아래는 유명한 비평가 안톤 이고의 비평문을 자소크어로 작성한 것이고, 그 아래에는 각각의 문장에 대한 행간 주석을 첨부해 두었다.

Maxévanas u, Îginisémakas codih. Miras halusùie äsiasùm lo Todùtie., tia ä Zeque ad ä Serviço dé Miraîg lo gorùm, lo màsesinùm. Miras Nasîg lo semüxainùie äsiasùm., Ad disas, dax da marquin izùlaraz, u Potaìe ad u Daiaìe. Tia Îginis da zeh màzipùtum Ínsürtas, sulasatùie tavizaxùsua, hòizùm Touésie Izahénagmasis mira Îginis da maravùm Émarxad rad oh vazous izùtum. Tia Îgin da Todùtil zeh vistumodilàsud Ézozaque d'ikzùm. Daxas Durax u, ad Novìe u kavùm Édaks u iksùm. Ä Satas gaitevo quôyniax 'amie Novévaisausentrahis laro Novésioquedasis. Novìs Ziroquis d'unas. Sorisicénit u, mòvizaxè lo Novésie., mòvizaxè lo Hazidiornain da krifè é disatagùtahuie Hazidiornórüdìe. Ä Orüdìékrifin ad ä Orüd'a Miro u amiksè Ámetag lo maxquè Touatìs sulahásamarit izàz. Daxisas Miréülie' lo cävàse. Dise ufas, miros J Gusteauxévizaxùqûaté "Siro degro gustùtum" u kavùm Émirénoiz l'esleidàhe. Tia Disie ufas mònarisùm, lo His d'ät l'insürtaùie Dürziaèaim. Siro degro Ösulahédiazerizurin u vexùtahumia, Ösulahédiazerizurinas dofaxas udegro tempùtum. Disie uie Gusteau svo gustìç Étiasut rad oh remie Équorsinas disatagùtah. Tia hiros, Disîginétag svofas, izùm J France ésiro rad ösulah Égustin. Vudarùie miros mamoquàd roy J Gusteau., Oh orüdùdular.

 
— 안톤 이고
Maxévanas u, Îginisémakas codih.
maxa-é-Vanas u Îgin-is-é-Maka-(a)s codih
많은-GEN-방향 비평가-P-GEN-일-NOM 쉬운
많은 방향에서, 비평가들의 일은 쉽다.
Miras halusùie äsiasùm lo Todùtie.,
mira-(a)s halus-ùie äsias-ùm lo Todùtie
우리-NOM 적은-ADV 느끼다-PRS OBJ 위험
우리는 위험을 적게 느끼지만,
tia ä Zeque ad ä Serviço dé Miraîg lo gorùm, lo màsesinùm.
tia ä Zeque ad ä Serviço Mira-îg lo gor-ùm lo mà-sesin-ùm
하지만 ART 노력 그리고 ART 서비스 GEN 우리-비평 OBJ 위하다-PRS OBJ 1P-즐기다-PRS
우리의 비평을 위하는 노력과 서비스를 즐긴다.
Miras Nasîg lo semüxainùie äsiasùm.,
mira-(a)s Nasîg lo semüxain-ùie äsias-ùm
우리-NOM 부정적인_비평 OBJ 즐거운-ADV 느끼-PRS
우리는 부정적인 비평을 즐겁게 느낀다.
Ad disas, dax da marquin izùlaraz, u Potaìe ad u Daiaìe.
ad dis-as dax da marquin iz-ùlar-az u pota-ìe ad u daia-ìe
그리고 이것-NOM 그것 SUB 재미있는 이다-이니까-일_테다 쓰다-N 그리고 읽-N
그리고 이것은 그것이 쓰기에도, 읽기에도 재미있기 때문이다.
Tia Îginis da zeh màzipùtum Ínsürtas, sulasatùie tavizaxùsua,
Tia Îgin-is da zeh mà-zip-ùt-um é-Insürta-(a)s sulasat-ùie tavizax-ùsua
하지만 비평가-P SUB 반드시 1P-마주하다-POSB-PRS GEN-사실-NOM 거시적인-ADV 생각해_보-COND
하지만 비평가들이 반드시 마주하는 사실은, 거시적으로 생각해보면,
hòizùm Touésie Izahénagmasis mira Îginis da maravùm Émarxad rad oh vazous izùtum.
hò-iz-ùm tou-é-Sie izah-é-nagmasi-(a)s mira Îgin-is da marav-ùm é-Marxad rad oh vazous iz-ùt-um
3SG-BE-PRS 라고-GEN-것 평범한-GEN-쓰레기-NOM 2P 비평가-P SUB 바라다-PRS GEN-목표 보다 더욱 중요한 BE-POSB-PRS
평범한 쓰레기가 우리 비평가들이 바라는 목표보다 더욱 중요할 수 있다라는 것이다.
Tia Îgin da Todùtil zeh vistumodilàsud Ézozaque d'iksùm.
tia Îgin da Todùtie-l(o) zeh vistumodil-às-ud é-Zozaque d(a)-iks-ùm
하지만 비평가 SUB 위험-OBJ 받들다-TRZ-하고_싶다 GEN-때 SUB-있다-PRS
하지만 비평가가 꼭 위험을 받들고 싶을 때가 있다.
Daxas Durax u, ad Novìe u kavùm Édaks u iksùm.
dax-as Durax u ad nov-ìe u kav-ùm é-Daks u iks-ùm
그것-NOM 모험 그리고 새로운-N 관련하다-PRS GEN-방어 있다-PRS
그것은 모험에, 그리고 새로운 것에 대한 방어에 있다.
Ä Satas gaitevo quôyniax 'amie Novévaisausentrahis laro Novésioquedasis.
ä Sat-as gaitevo quôyniax (s)amie nov-é-Vaisausentrah-is laro nov-é-Sioquedas-is
ART 세상-NOM 가끔씩 사이가_나쁜 와/과 새로운-GEN-능력-P 또는 새로운-GEN-작품-P
세상은 가끔씩 새로운 능력과 새로운 작품에 대해 불친절하다.
Novìs Ziroquis d'unas.
nov-ìe-(a)s Ziroque-(i)s d(a)-unas
새로운-N-NOM 친구-P NOM-필요한
새로운 것은 친구가 필요하다.
Sorisicénit u, mòvizaxè lo Novésie.,
Sorisic-é-nit u mò-vizax-è lo nov–é-Sie
어제-GEN-밤 1SG-보다-PST OBJ 새로운-GEN-것
어젯밤에 나는 새로운 것을 보았다.
mòvizaxè lo[20] Hazidiornain da krifè é disatagùtahuie Hazidiornórüdìe.
mò-vizax-è lo Hazidiornain da krif-è é disatag-ùt-ah-uie Hazidiorn(a)-(é)-Orüdìe
1SG-보다-PST OBJ 특이한_사람 SUB 만들다-PST GEN 예상-POSB-NEG-ADV 특이한-GEN-식사
나는 특이한 사람이 만든 예상할 수 없이 특이한 식사를 보았다.
Ä Orüdìékrifin ad ä Orüd'a miro u amiksè Ámetag lo maxquè Touatìs
ä Orüdìe-é-Krifin ad ä Orüd-(d)a miro u amiks-è é-Ametag lo maxque-è touat-ìe-(a)s
ART 식사-GEN-만든_사람 그리고 ART 먹은_것-SUB 1SG 이미_존재하다-PST GEN-관념 OBJ 흔들다-PST 라고_말하다-N-NOM
그 식사를 만든 사람과 내가 먹은 음식이 내 안에 존재하는 관념을 도전했다라고 말하는 것은
sulahásamarit izàz.
sulah-é-Asamarit iz-àz
큰-GEN-괘씸한_것 BE-FUT.ASS
크게 괘씸한 일일 것이다.
Daxisas Miréülie' lo cävàse.
dax-is-as mir(o)-é-(H)ülie(n) lo cäv-às-e
그것-P-NOM 1SG-GEN-기저 OBJ 흔들다-TRZ-PST
그것들은 나의 기반을 흔들리게 했다.
Dise ufas, miros J Gusteauxévizaxuqûaté "Siro degro gustùtum" u kavùm Émirénoiz l'esleidàhe.
Dise ufas miro-(a)s J Gusteaux-é-vizaxuqûat-é siro degro gust-ùt-um u kav-ùm é-mir(o)-é-Noiz l(o)-esleid-àh-e
과거 에는 1SG-NOM PN.DET 구스토-GEN-유명한_말-GEN 누구 요리하다-POSB-PRS 관련하다-PRS GEN-1SG-GEN-혐오 OBJ-숨기다-NEG-PST
과거에 나는 구스토의 유명한 말 "누구나 요리할 수 있다"에 대한 나의 혐오를 숨기지 않았다.
Tia Disie ufas mònarisùm, lo his d'ät l'insürtaùie Dürziaèaim.
tia Disie ufas mò-naris-ùm lo his d(a)-ät l(o)-insürta-ùie dürzia-è-aim
하지만 현재 에는 1SG-알다-PRS OBJ 그것 SUB-무엇 OBJ-진짜-ADV 의미하다-PST-인지
하지만 지금은 그것이 진실로 무엇을 의미했는지 안다.
Siro degro Ösulahédiazerizurin u vexùtahumia, Ösulahédiazerizurinas dofaxas udegro tempùtum.
siro degro ösulah-é-Diazerizurin u vex-ùt-ah-um-ia ösulah-é-Diazerizurin-as dofaxas udegro temp-ùt-um
누구 위대한-GEN-예술가 되다-POSB-NEG-PRS-이지만 위대한-GEN-예술가-NOM 어디 에도 나오다-POSB-PRS
누구나 위대한 예술가가 될 수는 없지만, 위대한 예술가는 어디에라도 나올 수 있다.
Disie uie Gusteau svo gustìç Étiasut rad oh remie Équorsinas disatagùtah.
Disie u-J Gusteau svo gust-ìç é-Tiasut rad oh remie é-Quorsin-as disatag-ùt-ah
현재 에-PN.DET 구스토 에서 요리하다-PRS.PROG GEN-천재 보다 더욱 미천한 GEN-사람-NOM 예상하다-POSB-NEG
지금 구스토에서 요리하고 있는 천재보다 더욱 미천한 사람은 예상할 수 없다.
Tia hiros, Disîginétag svofas, izùm J France ésiro rad ösulah Égustin.
tia hiro-(a)s dis-(é)-Îgin-é-Tag svofas iz–ùm J France é-siro rad ösulah é-Gustin
하지만 3SG-NOM 이-GEN-비평가-GEN-생각 에서는 BE-PRS PN.DET 프랑스 GEN-누구 보다 위대한 GEN-요리사
하지만 그는, 이 비평가에 생각으로는, 프랑스의 누구보다도 위대한 요리사이다.
Vudarùie miros mamoquàd roy J Gusteau., Oh orüdùdular.
vudar-ùie miro-(a)s mamoque-àd roy J Gusteau oh orüd-ùd-ular
빠른-ADV 1SG-NOM 돌아가다-FUT 으로 PN.DET 구스토 더욱 먹다-하고_싶다-니까
빠른 시일 내에 나는 구스토로 돌아갈 것이다. 더욱 먹고싶으니까.

각주

  1. 2024년 6월 26일 00시 42분 50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7개 회사 전원
  3.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4.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5. 헤멜바르트 제국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6.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7.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8. 라크렐데사를 위시한 서북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사용
  9. 서력 2022년 12월
  10. Q는 언제나 u와 함께 쓰이며, 재민 표기법에서는 qu를 로 표기한다.
  11. "Doliah u"가 도치되었다.
  12. 'Vesin', 'Vanana', 'Anana'를 병렬로 연결했다.
  13. 고유명사 표시자
  14. Hanös에서 h는 /ʔ/로 읽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 이 자음은 무시된다.
  15. 이 단어는 /ʃelːˈjaːˌnjos/, 즉 셸랴뇨스라고 읽힌다.
  16. 이 단어는 /ˈuːtˌrjiːˈfoːr/라고 읽힌다.
  17. "모하지 공화국"에서 모하지는 공화국의 이름이다. 이때 모하지는 공화국을 수식하는 고유명사이다.
  18. 무시제어미란 시제를 나타내는 어미와 함께 사용되지 않는 어미이다.
  19. J Scîe-(a)s Vator l(o)-orüd-ìç
  20. 뒤에 오는 명사구 전체를 목적어로 하는 조사이기 때문에 l'Hazidiorna-와 같이 줄여 쓰지 않고 원형을 밝혀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