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자소크 철학단 · 자소크어와 베르쿠암 · 재민 · 운론과 포터스 · 에빈카바스 | ||||||||||||||||||||||||||||||||||||||||||||||||||||||||||||||||||||||||||||||||||||||||||||||||||||||||||||||||||||||||||||||||||||||||||||||||||||||||||||||||||||||||||||||||||||||||||||||||||||
지리 · 국기 · 전쟁 · 교육 · 국제관계 | ||||||||||||||||||||||||||||||||||||||||||||||||||||||||||||||||||||||||||||||||||||||||||||||||||||||||||||||||||||||||||||||||||||||||||||||||||||||||||||||||||||||||||||||||||||||||||||||||||||
[ 역사 ]
|
이 문서는 자소크어, 특히 4279년 기준의 와기제 자소크어[9]를 배울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자소크어의 모든 단어는 이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이 문서의 내용은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이 문서를 활용하여 자소크어를 배우는 것을 추천하지 않는다.
인삿말
자소크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는다. 따라서 높은 사람이거나, 낮은 사람에 관계 없이 언제나 같은 인삿말을 사용할 수 있다.
자소크어 | 의미 |
---|---|
Aniska. | 안녕하세요. |
Vanisha.[10] | 안녕히 가세요. 안녕히 계세요. 가 보겠습니다. |
Shainémog.[11] | 좋은 아침입니다. |
Shainénit. | 좋은 저녁입니다. 안녕히 주무세요. |
Üpa.[12] | 감사합니다. |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인칭 | 단수 | 복수 |
---|---|---|
1인칭(나) | miro | mira |
2인칭(너) | niro | nira |
3인칭(그) | hiro[13] | hira |
부정칭(누구) | siro | sira |
이것 | 저것 | 그것 | 어느 것 |
---|---|---|---|
dis | dash | his | do |
A는 B입니다.
자소크어로 "~은/는"을 나타낼 때에는 "As, Bas"[14]를 사용한다.
[단어] | -는 | [단어]는 | ||
---|---|---|---|---|
quorsin | 사람 | -as | quorsinas | 사람은 |
nam | 이름 | -as | namas | 이름은 |
his | 그것 | -as | hisas | 그것은 |
natio[15] | 나라 | -s | natios | 나라는 |
miro | 나 | -s | miros | 나는 |
많은 경우, 자소크어에서 "입니다."는 필요하지 않다. "[A]는 [B]입니다."를 나타내고 싶을 때에는 "[A]s [B]."라고 하면 된다.
“ Miros quorsin.
” — 나는 사람입니다.
“ Dashas natio.
” — 저것은 나라입니다.
"A는 B입니까?"와 대답
대부분의 경우, 자소크어에서 질문을 하려면 문장의 끝에서 톤을 높이면 된다. 예를 들어, "Niros quorsin."은 "너는 사람이다"이고, "Niros quorsin?"은 "너는 사람이니?"가 된다. 문장에 따라 톤을 높이는 것만으로는 질문의 의미가 약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에는 문장의 마지막에 "a?"를 붙여서 질문을 만들 수 있다. 즉, "Niros quorsin?"과 "Niros quorsin a?"는 같은 뜻이다.
이에 대한 대답으로 "Ä."(응), "Nah."(아니)[16] 등을 말할 수 있다.
인물 | 대사 | 의미 |
---|---|---|
A | Miros quorsin. Niros taso a? | 나는 사람이야. 너는 고양이니? |
B | Nah, miros quorsin. Niros? | 아니, 나는 사람이야. 너는? |
Détaso | Miros taso. | 나는 고양이야. |
A는 B가 아닙니다.
"A는 B가 아닙니다."와 같이, "A는 B입니다."의 부정문을 만들기 위해서는 문장의 맨 끝에 "nah"를 첨가할 수 있다.
“ Miros quorsin nah.
” — 나는 사람이 아닙니다.
또한, "A는 B가 아닙니다."에서 B에 해당하는 말 뒤에 "da"를 붙여서도 표현한다. "Da"는 주격조사 "~이/가"에 해당하는 말이다. 참고로, "da"는 주로 수식받는 명사의 의지와 상관 없이 서술의 내용이 진행될 때에 사용한다. 자세한 내용은 뒤 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 Miros quorsin da nah.
” — 나는 사람이 아닙니다.
"Miros quorsin nah."는 "Miros quorsin da nah."을 축약한 것이다. 원래는 후자로 이야기하는 것이 옳다.
동사가 사용된 문장
"나는 걷습니다."와 같이 목적어가 없는 일반동사가 사용된 문장은 "[A]s" 또는 "[A] da" 뒤에 서술어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술어에는 일반적인 시제를 나타내는 동사어미 "-ùm"[17]을 동사 뒤에 붙여 사용한다.
단어 | 의미 | 일반시제어미 -um이 붙은 형태 |
---|---|---|
걷다 | toi | toiùm |
알다 | naris | narisùm |
있다 | iksis | iksisùm |
보다 | vizash | vizashùm[18] |
“ Miros toiùm.[19]
” — 나는 걷는다.
“ Taso da vizashùm.[20]
” — 고양이가 본다.
“ Makafashasinas[21] narisùm.
” — 회사원은 안다.
-as와 da의 차이
As는 주로 서술의 주체가 자신의 의지에 기반하여 서술의 내용을 수행하거나, 그 사실을 서술자가 알고 있을 때에 사용하는 조사이다. 예를 들어 "Miros narisùm."은 "나는 안다."로, '나'가 정말 무언가를 알고 있는지 없는지가 명백하게 밝혀져서 "'나'가 무언가를 알고 있는지 없는지를 서술자가 알고 있을 때"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는 "-as"를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한 반면, da는 주로 서술의 주체가 자신의 의지에 기반하지 않고 서술의 내용을 수행하거나, 그 사실을 서술자가 안다고 확신할 수 없을 때에 사용하는 조사이다. 예를 들어 "Hiro da narisùm."은 "그 사람이 안다."로, 서술자로서 "그 사람"이 자신의 의지에 기반하여 알고 있는지 없는지 확신할 수 없기 때문에 "da"의 사용이 적절하다.
"-As"와 "da"는 많은 경우에 의미를 크게 변하게 하지 않는다. 하지만 "as"를 써야할 곳에 "da"를 쓰거나, "da"를 써야할 곳에 "as"를 쓰면 문장이 어색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많은 문장을 듣고, 많이 작문하여 시행착오를 겪으며 익숙해지도록 하자.
목적어가 있는 문장
자소크어에서 목적어는 "Al, B lo"[22]로 나타낼 수 있다. 이를테면, "나는 그 사람(hiro)을 본다."는 "Miros hirol vizashùm."이 된다. 단어가 중요한 것은 아니지만, -l, lo를 목적격 조사라고 하고, 이것이 붙어서 꾸며진 말을 목적격이라고 한다.
단어 | 의미 | 목적격 | 의미 |
---|---|---|---|
hiro | 그 사람 | hirol | 그 사람을 |
trend | 예정, 일정 | trend lo | 예정을, 일정을 |
“ Lofanasinas[23] trend lo ammirasùm.
” — 선생님은 일정을 확인합니다.
Lofanasin과 같이 n으로 끝나는 단어는 lo와 같이 있을 때에 발음하기가 힘들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유음화 현상이 일어나 "lofanasin lo"를 /로파나실로/라고 읽게 되는데, 이것을 표기에 반영하여 "lofanasi' lo"라고 쓴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조사로 쓰인 l과 단어의 l이 가까이 있는 경우(Zasospikal lofanùm과 같이)에는 조사의 l을 따옴표로 표기하여(Zasospika' lofanùm) 나타낸다.
단어 | 의미 | 목적격 | 의미 |
---|---|---|---|
alonin | 애인 | aloni' lo | 애인을 |
lofanasin | 선생님 | lofanasi' lo | 선생님을 |
glishin | 비행기 | glishi' lo | 비행기를 |
“ Lofanin da lofanasi' lo vizashùm.
” — 학생이 선생님을 봅니다.
~에 있습니다.
자소크어에서 "~에 있습니다."라는 말을 하기 위해서는 "~ u iksisùm."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문장 | 의미 |
---|---|
doliah u | 집에 |
lofafashas u | 학교에 |
dafashas u | 저기에 |
“ Geshtaluatinas doliah u iksisùm.
” — 휴대폰은 집에 있습니다.
“ Aikifas aikitutaÿr u iksisùm.
” — 나무는 숲에 있습니다.
~의, ~한
자소크에서 관형사, 형용사를 만들어 명사를 수식할 때에는 관형격조사 é를 "(A)é, Bé"의 형태로 사용한다. 즉,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모음을 모두 지우고 é를 붙이며, 모음으로 끝나지 않는 단어는 단어 뒤에 é를 붙여서 관형격으로 만든다. 단, öa(깃발)와 같이 단어의 대부분이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는 단어의 경우, 모음을 지우지 않은 채로 é를 붙이는 것을 허용한다.
자소크어 | 관형격 | 의미 |
---|---|---|
fontlan | fontlané | 맛있는 |
sion | sioné | 예쁜 |
shain | shainé | 좋은 |
öa | öé | 깃발의 |
보통 이러한 단어는 명사에 붙여서 AéB의 형태로 사용하지만, A éB, Aé B, A é B와 같은 형태로 명사를 수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이 모든 표기가 같은 의미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보통 수식된 명사인 명사구가 띄어쓰기를 포함하고 있고, 그 부분을 관형격으로 만들 때에는 A é의 형태로 관형격조사와 명사구 사이에 간격을 둔다.
“ fontlanéfudie[24]
” — 맛있는 음식
“ sionéziroküh
” — 예쁜 친구
“ shainéspika
” — 좋은 언어
만약 é의 바로 뒤에 a가 온다면 éa를 á로 표기하고 /야/로 읽는다. 이와 같이 i, o도 í, ó로 바뀌고, 각각을 /의/, /요/로 읽는다. 예외적으로, ée는 ê로 바뀌고 /에:/로 읽는다. 예외적으로 èu는 j로 표기하지 않고 그대로 èu로 표기하는데, 이것은 /유/로 읽는다.
자소크어 | 의미 |
---|---|
hisínsürta[25] | 그 사실 |
mashêlit[26] | 많은 돈 |
또한, 어떠한 대상이 어떠하다는 것을 주로 하는 문장 "A는 B하다."를 서술할 때에는 "[A]s [B]"로, é 없이 나타낼 수 있다.
“ Fudis[27] fontlan.
” — 음식은 맛있다.
“ Disézirokühas non[28].
” — 이 친구는 나이가 많다.
시제
자소크어에는 -ùm으로 나타낼 수 있는 일반시제, 대과거(원과거), 과거, 현재(현재진행), 미래 시제가 있습니다. 상은 크게 발달하지 않았습니다. 각각의 시제는 다음과 같은 어미를 통해 실현됩니다.
시제 | 실현 방법 | 하다(dios) | 의미 |
---|---|---|---|
일반시제 | -ùm | diosùm | 한다. |
대과거시제(원과거시제) | -èa | diosèa | 하곤 했다. 했었다. |
과거시제 | è | diosè | 했다. |
현재시제 | -ìc | diosìc | 하고 있다. 하는 중이다. |
미래시제 | -àd | diosàd | 할 것이다. 하겠다. |
“ Miros Zasospika'[29] lofanàd.
” — 나는 자소크어를 공부할 것이다.
“ Zirokühas erasheniluo'[30] lofanèa.
” — 친구는 철학을 공부하곤 했다.
곡절 부호 ê
곡절 부호(â, ê, î, ô, û)는 그 곳에 해당 모음이 2번 왔다는 뜻이며, 대부분의 경우 해당 모음을 길게 읽는다.
자소크어 | 읽는 방법 | 의미 |
---|---|---|
aravîta | /아라비:타/ | 글자 |
sôsha | /소:샤/ | 공, 구 |
litûm[31] | /리툼:/ | 잔잔하게 퍼진다 |
어말의 que
자소크어에서 어말에 오는 /ㅋ/ 음소는 -que로 표현하며, Zasoque(자소크), linque(링크, link), livkosque(금지하다)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단어가 활용될 때에는 e를 제외한 -qu의 형태로 활용되므로 "금지한다"는 livkosquùm, 따라서 livkosqûm으로 나타내고, "자소크의"는 Zasoqué라고 표기한다. E와 é는 다른 글자이기 때문에 Zasoqué는 /자소케/라고 읽는다.
피동, 사동 표현
어떤 동사를 피동사, 사동사로 만들 때에는 각각 -ùque, -às 어미를 사용한다.
동사 | 의미 | 사동사 | 의미 | 피동사 | 의미 |
---|---|---|---|---|---|
dios | 하다 | diosàs | 시키다 | diosùque | 당하다 |
lofan | 공부하다 | lofanàs | 가르치다 | lofanùque | 배우다 |
uat | 말하다 | uatàs | 말하게 하다 | uatùque | 말을 듣다 |
시제를 표시하는 어미는 사동어미와 피동어미의 뒤에 표현하며, 이때 -ùm은 -um과 같이, 자음 위의 억음 부호를 생략하고 나타낸다. 즉, diosàsè는 diosàse로 표기한다.
“ Miros Zasospika' lofanùquê[32].
” — 나는 자소크어를 배웠다.
“ Miros dashéuat lo girodàsuquea[33].
” — 나는 그 말을 듣도록 하게 되었었다.
욕구, 의무 표현
자소크어에서 욕구(하고 싶다)와 의무(해야 한다)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ùd, -ùn을 사용한다.
동사 | 의미 | 욕구동사 | 의미 | 의무동사 | 의미 |
---|---|---|---|---|---|
dios | 하다 | diosùd | 하고 싶다 | diosùn | 해야 한다 |
lofan | 공부하다 | lofanùd | 공부하고 싶다 | lofanùn | 공부해야 한다 |
uat | 말하다 | uatùd | 말하고 싶다 | uatùn | 말해야 한다 |
욕구동사와 의무동사는 기존의 동사와 같이 -ùm 등의 시제를 사용해서 일반적인 동사와 같이 활용할 수 있으나, 이 자체로 형용사처럼 활용되기도 한다.
“ Hiros Zasospika' lofanùdum.
” — 그는 자소크어를 공부하고 싶다.
“ Hiros Zasospika' lofanùd.
” — 그는 자소크어를 공부하고 싶다.
위 두 문장의 의미상의 차이는 없으나, 주로 위는 구어체, 아래는 문어체적인 느낌이 든다.
명령문
자소크어에서 명령문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òm 어미나 -òme 어미를 사용한다.
동사 | 의미 | 명령문 | 의미 | 청유문 | 의미 |
---|---|---|---|---|---|
orüd | 먹다 | orüdòm | 먹어라 | orüdòme | 먹자, 먹거라 |
krif | 만들다 | krifòm | 만들어라 | krifòme | 만들자, 만들거라 |
moque | 가다 | moquòm | 가라 | moquòme | 가자, 가거라 |
“ Hanür orüdòme!
” — 밥 먹어라!
복수명사
명사의 복수를 표현할 때에는 "As, Bis"의 형태로 나타낸다.
단어 | 의미 | 단어 | 의미 |
---|---|---|---|
quorsin | 사람 | quorsinis | 사람들 |
natio | 나라 | natios | 나라들 |
satanä | 컴퓨터 | satanäs | 컴퓨터들 |
단, 예외적으로 erasheniluin(철학자)의 복수형은 erasheniluins로 쓰고 읽는다.
고유명사 표시자 j
자소크어 문장 내에서 고유명사를 나타낼 때에는 고유명사 표시자 j를 사용하여야 한다. j는 /이/라고 읽는다.
단어 | 의미 | 단어 | 의미 |
---|---|---|---|
scie | 미치다 | j scie | 스치 |
vlazif | 문제 | j vlazif | 블라지프 |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j와 단어 사이에 띄어쓰기 대신 어포스트로피를 두어 표기하며, 읽을 때에는 j를 반모음 /j/와 같이 읽는다.
단어 | 의미 | 단어 | 의미 |
---|---|---|---|
atrüsnie | 진실 | j'atrüsnie | 아트류스니 |
asus | 고민 | j'asus | 아수스 |
특히 외래어 고유명사는 표기와 읽는 방법이 다를 때가 있는데, 발음을 표기한 경우에는 j 뒤에 단어의 첫글자를 소문자로, 원어 표기로 표기한 경우에는 뒤에 단어의 첫글자를 대문자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어 | 의미 | 단어 | 의미 |
---|---|---|---|
j'amērika | 미국 | j'America | 미국 |
j doic | 독일 | j Deutsch | 독일 |
j scie | 스치 | j Sch | 스치 |
j'hanguque[34] | 한국 |
단 j를 사용할 때 한 가지 예외가 있는데, Zasoque는 고유명사이기 때문에 첫 글자를 대문자로 씀에도 불구하고 j를 붙이지 않는다. 따라서 자소크를 나타낼 때에는 j Zasoque가 아니라 Zasoque라고 하여야 한다.
dé
자소크어 단어 dé는 /데/라고 읽으며, é와 반대로, dé 뒤의 단어를 관형사로 하여 앞의 단어를 수식하게 한다. 의미상 é를 사용해 나타낸 명사구와 차이는 없으나, 수식을 받는 대상을 더욱 강조한다는 느낌을 준다.
단어 | 의미 | 단어 | 의미 |
---|---|---|---|
Erasheniluins dé Zasoque | 자소크의 "철학자들" | Zasoquêrasheniluins | 자소크의 철학자들 |
fudie dé fontlan | 맛있는 "음식" | fontlanéfudie | 맛있는 음식 |
dia dé sion | 예쁜 "그림" | sionédia | 예쁜 그림 |
Dé 뒤의 단어가 모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dé를 d'-로 줄일 수 있고 이를 발음에도 반영한다.
“ Insürta d'Erasheniluin
” — 철학자의 진리
Dé 뒤의 단어가 고유명사 표시자 j로 시작하는 경우, dé와 j를 합쳐서 die라고 쓴다.
“ Livialofafashas die Zaägosh
” — 자야고시 대학교
-ùll
자소크어에는 ~해서, ~하기 때문에, ~하여, ~하고 등의 의미를 가진 동사를 만드는 어미 -ùll가 존재한다. -ùll은 시제와 함께 쓰이지 않는다.
단어 | 의미 | 단어 | 의미 |
---|---|---|---|
naput | 넣다 | naputùll | 넣어서, 넣어, 넣고 |
liviat | 넘다 | liviatùll | 넘어서, 넘어, 넘고 |
fsalisùque | 웃다 | fsalisùqûll | 웃어서, 웃어, 웃고 |
“ Miros hisínsürtal narisùll hirol parè.
” — 나는 그 사실을 알았기 때문에 그 사람을 자랑했다.
접속사와 조사
자소크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속사와 조사에는 다음이 있다.
단어 | 의미 |
---|---|
ad | 그리고 |
laro | 또는 |
tia | 하지만 |
조사 | 의미 |
---|---|
lo[35] | -을/를 |
da | -이/가 |
as[36] | -은/는 |
u | -에 |
svo | -에서 |
tou | -(이)라고 |
degro | -도, -역시 |
samie | -와/과 |
kaim | -지도 |
gie | -에게 |
gifas | -에게는 |
spo | -부터, -에서부터 |
tho | -까지 |
svofas | -에는 |
tia | -번째 |
é | -의, -한, -인 |
roj | -(으)로 |
조사와 조사가 아닌 단어가 만나서 음운축약이 일어났을 때, 이를 조사의 표기에 반영한다.
문장 | 의미 | 축약된 문장 |
---|---|---|
jíc lo oh ätè. | 하루를 더 기다렸다. | jíc l'oh ätè. |
Vesh samie opor roj paradicòme | 자연과 함께 앞으로 나아가자 | Vesh 'amie opor 'oj paradicòme |
"Sat samie"[37]에서와 같이, 조사가 아니라 조사와 결합한 단어에서 축약이 일어난 경우, 이 역시 표기에 반영한다.
문장 | 의미 | 축약된 문장 |
---|---|---|
Sat samie opor roj paradicòme | 세계와 함께 앞으로 나아가자 | Sa' samie opor 'oj paradicòme |
수
자소크어의 수는 한국어, 일본어의 수 표기법과 일치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일, 십, 백, 천을 작은 단위로 사용하며, 만, 억, 조 등을 큰 단위로 사용합니다.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noh | j | li | so | fa | il | ce | she | aie | fe |
10 | 100 | 1,000 | 10,000 | 10^8 | 10^12 |
---|---|---|---|---|---|
dos | rod | mor | gaie | naf | daf |
11 | 20 | 22 | 50 | 55 | 75 | 88 | 90 | 99 |
---|---|---|---|---|---|---|---|---|
dosj | lidos | lidoslie | ildos | ildosil | shedosil | aidosaie | fedos | fedosfe |
314 | 31,560 | 299,792,458 | ||||||
soroddosfa, sorodjdosfa | sogaie-morilrodcedos | linaf-femorferodshedosfegaie-limorfarodildosaie |
서수, 특히 "-번째의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수 뒤에 tia를 붙인다. 또한, "-번째의"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tia 대신 tié를 사용한다.
서술어 명사화
서술어를 명사로 만들기 위해서는 -ìe 어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를테면, taic(높은)에 -ìe를 붙이면 taicìe(높이)가 되는 식이다.
대박 !
자소크어의 기초 문법을 모두 마스터했습니다! 앞으로는 자소크어로 작문을 하거나 자소크어 문장을 읽으며 자소크어에 익숙해지도록 합시다.
도보게
각주
- ↑ 2024년 11월 5일 08시 29분 33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7개 회사 전원
- ↑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라크렐데사를 위시한 서북부 지역을 제외한 전국에서 사용
- ↑ 서력 2022년 1월 30일 기준, 현대 자소크어이다. 자세한 내용은 자소크어/역사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바니샤/
- ↑ 'é'는 'e'와 같이 /에/로 읽는다.
- ↑ a, i, u, e, o 위에 점 2개(움라우트)가 있는 글자, 즉 ä, ï, ü, ë, ö는 각각 /야/, /jee/, /유/, /예/, /요/로 읽는다. 따라서 "Üpa."는 /유파/라고 읽는다. Ï는 발음이 어렵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 ↑ hiro, hira와 같이 단어에 처음에 나타나는 h는 쌍이응(일(work)과 일(one)에서 일(one)의 초성)으로 소리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쌍이응으로 /이로/, /이라/라고 읽는다. 하지만 /ㅎ/으로 소리내도 관계없다.
- ↑ A는 모음, B는 자음을 의미한다. 즉,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s',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는 '-as'를 사용해서 "~은/는"을 나타낼 수 있다.
- ↑ /나티오/
- ↑ 단어 뒤에 오는 h는 무성 구개수 전동음 [ʀ̥]로 발음된다.
- ↑ a, i, u, e, o 위에 그라브(◌̀)가 붙은 문자는 붙지 않은 문자와 똑같이 읽는다. 따라서 단어 "-ùm"은 /-움/이라고 읽는다.
- ↑ 비자슘
- ↑ 미로스 토이움.
- ↑ 타소 다 비자슘.
- ↑ makafashasin = 회사원
- ↑ 모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는 -l, 자음으로 끝나는 단어 뒤에는 lo를 붙여서
- ↑ lofanasin = 선생님
- ↑ 폰틀라네푸디. 어말의 ie는 /이/로 읽는다.
- ↑ = his é insürta. /이싄슈:르타/
- ↑ =masha é elit. /마셸:리트/
- ↑ 어말이 ie인 단어는 활용할 때에 e를 표기하지 않는다. 따라서 "음식은"이라는 뜻이 된다.
- ↑ 나이가 많은
- ↑ Zasospika = 자소크어
- ↑ erasheniluo = 철학
- ↑ = lituùm. litu = 잔잔하게 퍼지다
- ↑ lofan-ùque-e (공부-PASS-PST.PROG) /로파누케:/
- ↑ girod-às-uque-ea (듣-CAUS-PASS-PST.PROG) /기로다수케아/
- ↑ /양구크/라고 읽는다.
- ↑ 일부 상황에서 앞 단어와 합쳐서 -l로 표기함
- ↑ 앞 단어와 붙여쓰고, 일부 상황에서는 앞 단어와 합쳐서 -s로 표기함
- ↑ /사 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