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 헤이어
+ ![]() Agdun Exurop | ||||
---|---|---|---|---|
역사 | 지리와 행정구역 | 문화 | ||
경제 | 정치와 군사 | 외교 |
개요
헤이어의 문법을 설명하는 문서이다. 아래 내용은 앙둔 제국에서 사용하는 국내표준 표기법을 사용하였다.
음운조화
헤이어에는 모음조화와 자음조화가 모두 존재한다. 다만 단어 자체보다는, 접사와 결합할 때에 엄격하게 지켜지는 편이다.
우선 자음조화란, 어느 한 단어가 자음으로 된 접미사와 결합할 때에 발생하는 것이다. 단어의 어말이 유성음일 경우 마찬가지로 유성음이거나 혹은 무기 무성음인 접미사와만 결합이 가능하고, 반대로 무성음일 경우 유기 무성음인 접미사와만 결합이 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자음조화는 다음의 모음조화가 동반되어야만 한다. 모음조화란, 단어와 접미사 사이에서 발생한다. i와 u 그리고 e와 o가 조화쌍을 이루며, v와 a는 스스로를 짝으로 삼는다. 접미사가 여럿 붙을 때에는 일반적으로 이어붙이는 것이 원칙이나, 파열음의 경우에는 사이에 모음을 첨가한다.
품사론
명사 · 대명사 · 수사 · 동사 · 형용사 · 부사 · 접사 · 감탄사로 총 8개의 품사가 있다. 아래에서는 각 품사 별 세부적인 분류 및 관련된 접사를 설명토록 한다.
- 명사(-r)
- 보통명사
- 고유명사
- 대명사
- 인칭대명사
- 지시대명사
- 수사
- 기수사
- 서수사(-lv-)
- 동사
- 자동사(-d, -du, -tu)
- 사동사(-d, -du, -tu)
- 피동사(-qi-)
- 형용사(-p, -f)
- 부사(-m, -n, -g)
- 접사
- 감탄사
명사
헤이어의 명사는 보통명사와 고유명사로 나뉜다. 접미사 -r를 사용하여 동명사를 만들 수 있다. 한국어의 -ㅁ, 영어의 -ing 등과도 비슷한 용법이다.
elebad(알다) + -r(명사화) = elebadar(앎, 지식 …)
대명사
헤이어의 대명사는 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나뉜다.
- 인칭대명사
- 1인칭: Omi(나), Zomi(우리)
- 2인칭: Fio(너), Zio(너희)
- 3인칭: -tax(단)/-zax(복)를 붙인다.
- Contax(이), Conzax(이들)
- Daltax(저), Dalzax(저들)
- Niyax(그), Nicax(그들)
- 부정칭: Gup(누구), Zup(누구누구)
- 지시대명사
- 지시사
- Con(이것), Zon(이것들)
- Dal(저것), Zal(저것들)
- Nit(그것), Zit(그것들)
- 의문사: Gup(무엇), Zup(무엇무엇)
- 지시사
수사
헤이어의 수사는 기수사와 서수사로 나뉜다. 접요사 -qi-를 사용하여 서수사를 만들 수 있는데, 기수사의 두번째 음절로 들어간다.
동사
elebad(알다) + -d(사동사화) = elebadad(알게 하다)
형용사
부사
접사
감탄사
- ↑ 2025년 7월 16일 10시 02분 49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