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렘나 철랑대/지리 및 행정구역

Junhg0211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8일 (수) 19:19 판 (새 문서: {{사트}} {{이렘나 철랑대}} == 개요 == 이렘나 철랑대의 지리와 행정구역에 관련된 문서이다. 이렘나 철랑대는 총 15개의 기사연맹관할구, 2개의 외부 기사단 지방, 11개의 실리킬 기사단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3973년에 일어난 재폭풍을 전후로 60% 이상의 지역이 수몰되었다. == 기사연맹관할구 == === 아르세른의 방벽 (일부 수몰) === 아르세른의 방벽<small>(이렘...)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렘나국기.svg
이렘나 철랑대 | 역사 | 지리 및 행정구역 | 문화 | 종교 | 경제 | 외교 | 종족 | 언어 | 생태와 생물군계 | 마법 | 전쟁
이렘나 3차 내전 | 셰헤카사 제도 | 네라다 공민공화국
엘레르디 왕국

개요

이렘나 철랑대의 지리와 행정구역에 관련된 문서이다. 이렘나 철랑대는 총 15개의 기사연맹관할구, 2개의 외부 기사단 지방, 11개의 실리킬 기사단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3973년에 일어난 재폭풍을 전후로 60% 이상의 지역이 수몰되었다.

기사연맹관할구

아르세른의 방벽 (일부 수몰)

아르세른의 방벽(이렘나어: î'Kaban k'Arsern)은 이렘나 동부에 위치한 악지지방이다.

사헤트페흐라데 지방

사헤트페흐라데.jpeg -

사헤트페흐라데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s'Ahetpechrade)은 이렘나 남부, 아르세른의 방벽에 위치한 지방이다.

레트누르 지방

레트누르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r'Etnuur)은 이렘나 남부, 아르세른의 방벽에 위치한 지방이다.

녹슨 산맥

녹슨 산맥(이렘나어: î'Nurr re'Batech)은 이렘나 남서부에 위치한 산간지방이다.

사힐 지방

사힐.jpeg -

사힐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î'Kyl)은 이렘나 남서부, 녹슨 산맥에 위치한 지방이다.

북 레에헤

북 레에헤(이렘나어: î'Velbashai re'Env k'Reehe)는 이렘나 남부, 레에헤 산맥 자락에 위치한 지역이다.

프네르 지방

프네르.jpeg -

프네르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f'Ner)은 이렘나 남부, 북 레에헤에 위치한 지방이다.

세헤르베네스텔레게 지방

세헤르베네스텔레게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a s'Eher-Venes-t'Elege)은 이렘나 남부, 북 레에헤에 위치한 지방이다.

니크비츠 삼림

니크비츠 삼림(이렘나어: î'Akiy Nikvitz)은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고도가 낮은 백색 숲으로 이루어져 있다. 니크비츠 지역 동북부에는 삼림의 타 지역과 다르게 이렘나 철랑대의 지역중 가장 해발 고도가 높은 지역인 하늘 협곡영원의 요새가 위치한다.

란누엘브 지방

란누엘브.jpeg -

란누엘브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r'Annuelv)은 이렘나 중부, 니크비츠 산림에 위치한 지방이다.

사르자니케브 평야 (일부 수몰)

사르자니케브 평야(이렘나어: î'Haiys s'Arzanikev)는 이렘나 남서부의 평야이다. 이 지역은 강철 평야(이렘나어: î'Haiys k'Till)로도 불린다.

시네도라 지방

시네도라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s'Inedora)은 이렘나 남서부, 사르자니케브 평야에 위치한 지방이다. 강철 평야의 중심지역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메르디의 별자리 (일부 수몰)

메르디의 별자리(이렘나어: î'Illuna k'Merdiy)는 과거 이렘나의 중심부에 위치한 낙후된 지역이었으나, 재폭풍 이후로 가장 북부에 위치한 수도지역이 되었으며, 현재는 이렘나 철랑대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진 지역이 되었다.

셀니키히 지방

셀니키히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s'Elnikichiy)은 메르디의 별자리에 위치한 지방이다. 셀니키히 수도시가 이 지방에 위치한다.

하네브 지방

하네브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Hanev)은 메르디의 별자리에 위치한 지방이다. 셀니키히 수도시의 위성도시들이 이곳에 위치하여 있다.

서부 기사단 지역 (대부분 수몰)

서부 기사단 지역(이렘나어: î'Velbashai re'Ket k'Enav)재폭풍 이전 이렘나의 지역에서 2번째로 큰 구역이었으나, 재폭풍 이후로는 세셸브 지방만 남게되었다.

세셸브 지방

세셸브.jpeg -

세셸브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s'Eshelv)은 서부 기사단 지역에 위치한 지방이다. 재폭풍 이전까지는 이렘나의 본토와 연결되어있었으나, 현재로써는 월경지이다.

남 크리할니킬 (대부분 수몰)

남 크리할니킬(이렘나어: î'Velbashai re'Naal k'Richalnikiyl)은 이렘나 중부의 지역이다.

자샤마 지방

레에헤-아르세른 외부 기사단

여러 특성으로 인해 타 지역보다 자치권이 높은 2개의 지역이다. 이 2개의 지역은 지리적으로 이렘나의 본토와 분리되어 있다.

네라다 지방

네라다.jpeg -


네라다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Nerada)은 유일하게 레에헤 산맥 이남에 위치한 지방이다. 원래는 내륙 지방이었으나 재폭풍 이후로는 해안지방이 되었다.

셰헤카사 제도

셰헤카사 제도.jpeg -


셰헤카사 제도(이렘나어: î'Lenevelu î'Sechekasa)는 이렘나의 본토와 매우 멀리 떨어져있는 제도 지역이다. 다른 이렘나 지역과 다르게 북극권 근처에 위치한다. 평균 위도는 67도로, 최북단은 북극 수렴선 너머인 73도에 위치한다. 메티샤 극해의 유일한 육지 지역인 탓에 고립된 위치에도 무역이 활성화되어 있는 편이다.

이렘나의 타 지방과 다르게, 다른 세력과의 접촉이 잦은 탓에 텐메이어, 헤이어, 자소크어, 크리상테스어 등의 외국어 화자들이 많이 존재한다.[3]

아마자쿠라와의 교역이 활성화되어 있어 텐메이교가 지방 종교로 인정되어있다.

실리킬 기사단

이렘나-엘레르디 전쟁 이후 엘레르디 왕국의 수도에 설치된 군정청에서 기원을 둔다. 원래, 이곳은 엘레르디 왕국의 영토였으나, 엘레르디 멸망전쟁 이후 공지가 되었고, 이렘나 철랑대의 영향권으로 남았다. 최근의 세력 불균형과 난민 문제로 인해 철각 회의에서는 이곳을 다시 개척하기로 결정한다.[4] 그 결과로, 실리킬 기사단이 설립된다.

이 지방의 대부분의 명칭은 이렘나어 특유의 접두어가 붙지 않는다. 지역의 명칭이 엘레르디어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레르디에 지방

엘레르디 군정청.jpeg -

레르디에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Llerdie, 엘레르디어 : Lerdie)엘레르디 왕국의 수도였던 레르디에 시를 중심으로 하는 해안지방이다. 이곳은 원래 레르디에 군정청이 세워졌으나, 최근의 대외적인 세력 불균형으로 인해 실리킬 숲 재개척이 허용되면서 군정청 상태에서 해제되어 일반 시역이 되었다. 또한, 과거의 군정청에 비해 5배정도의 크기가 되었다.

라나실 지방

라나실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Lanasiyl, 엘레르디어 : Lanasyl)은 실리킬 숲 중부의 지방이다. 공중도를 이어 만든 고대의 도시가 특징이다.

이실룬 지방

이실룬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Isiylun, 엘레르디어 : Isilun)은 실리킬 숲 북동부의 지방이다.

하노릴 지방

하노릴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Hanoriyl, 엘레르디어 : Hanoryl)은 실리킬 숲 북서부의 지방이다. 구오의 하치와 경계를 접한다.

루타 지방

루타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Luta, 엘레르디어 : Luta)은 실리킬 숲 중서부의 지방이다.

레브니아 지방

레브니아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Levniya, 엘레르디어 : Lävnia)은 실리킬 숲 서부의 지방이다.

드리윈 지방

드리윈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Triviyn, 엘레르디어 : Đryƿyn)은 실리킬 숲 남부의 지방이다.

프리헬루 지방

프리헬루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Friyhelut, 엘레르디어 : Pryhelu)은 실리킬 숲 서부의 지방이다.

세나킬 지방

세나킬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Senakiyl, 엘레르디어 : Senakyl)은 실리킬 숲 남동부의 지방이다.

루오모 지방

세나킬 지방(이렘나어: î'Velpraya Luomo, 엘레르디어 : Luomo)은 실리킬 숲 중북부의 지방이다.

레헤네하스투라페흐 지방

레헤네하스투라페흐(이렘나어: î'Velpraya re'Hene h'Asturapech, 엘레르디어 : Syr Astrielu)은 실리킬 숲 남부 외곽 지방이다. 이 지방은 실리킬 숲에 포함되어있지 않았지만 이렘나는 이 지역에 지속적으로 영향권을 투사하여[5] 타 지역임에도 실리킬 숲으로 합병이 되었다. 따라서, 이곳은 이렘나, 엘레르디와 전통적으로 관계가 없는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이름의 뜻은 새로운 하스투라페흐라는 의미[6]이다. 원래의 하스투라페흐와는 다르게 해안도시이다.

재폭풍 이후 완전히 소실된 지역

체나냐 (수몰)

체나냐(이렘나어: î'Velbashai Tzenanya)는 이렘나 동부의 옛 지역이다.

북부 기사단 지역 (수몰)

북부 기사단 지역(이렘나어: î'Velbashai re'Env k'Enav)은 이렘나 북부의 옛 지역이다.

하스투라페흐 연호 (수몰)

하스투라페흐 연호(이렘나어: î'Tenu h'Asturapech)는 이렘나 중북부의 옛 지역이다.

이렘나 철랑대의 과거 수도가 이곳에 존재한다.

북 크리할니킬 (수몰)

북 크리할니킬(이렘나어: î'Velbashai re'Env k'Richalnikiyl)은 이렘나 중부의 옛 지역이다.

얼음해안 지역 (수몰)

얼음 해안 지역(이렘나어: î'Velbashai k'Ana re'Niyl)는 이렘나 동북부의 옛 지역이다.

파시헤 (수몰)

파시헤(이렘나어: î'Velbashai f'Asiche)는 이렘나 서부의 옛 지역이다.

즈헤르피니샤카 (수몰)

즈헤르피니샤카(이렘나어: î'Velbashaa Zcherpiniy-î'Saka)는 이렘나 북부의 옛 지역이다.

  1. 2025년 5월 25일 22시 25분 1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이렘나어바샨니어, 엘레르디어를 제외한 언어가 거의 통하지 않는 본토와 매우 대조적이다.
  4. 재폭풍으로 인한 인구 포화문제의 영향이 있다.
  5. 원주민들을 강제 소개시키고 탄압하여
  6. 정확하게는 하스투라페흐 신지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