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부위키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최신 | 오래됨) (다음 50개 | 이전 50개) (20 | 50 | 100 | 250 | 500) 보기- 2022년 9월 29일 (목) 18:2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디메르테스 자치령/행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개요== 디메르테스 자치령는 4주 16시로 이루어져있다. ==이데스티아<small>(idestia)</small>== ==아다제아<small>(adazea)</small>== ==이페도텐<small>(ipedoten)</small>== ==사르스미네<small>(sarsmine)</small>==)
- 2022년 9월 29일 (목) 00:3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신세이 왕국/역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개요 == 신세이 왕국의 역사를 다룬 문서 == 아가와-루 시대 == 1000년대,신세이는 아가와(像涯) 세력과 루(爲) 세력이 점령하고 있었다. 이 중 아가와 세력의 에타가마 에도바쿠마가 루를 통합하여 남부에 에타가마(閣上)를 세운 것을 시작으로 각 지역의 권력가들이 자신들만의 국가를 세우며 전국시대가 시작된다. == 에타가마 전국시대 == 남부는 에타...)
- 2022년 9월 28일 (수) 00:53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어/표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스라스타}} == 음운 == == 자음 == == 모음 == {{모음표 | i = | y = | ɨ = | a6 = | ɯ = | u = | e = | ø = | c5 = | c6 = | c9 = | o = | e1 = | e2 = | e5 = | e6 = | ʌ = | e10 = | a = | g2 = | g5 = | g6 = | g9 = | g10 = }})
- 2022년 9월 28일 (수) 00:16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니제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마법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새 넘겨주기
- 2022년 9월 28일 (수) 00:0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마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사트 마법 | 이름 = 에니제카 | 상징_그림 = | 상징_이름 = | 문화권 = {{국기그림|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 | 지역 = 남메디아 남부 | 사용_가능 = 일반인 | 사용자 = 에니젠 | 습득_방법 = 공부,재능 | 자원 = 체내 풍력 | 도구 = 에니제덴 }})
- 2022년 9월 25일 (일) 19:4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신세이 왕국의 국기)
- 2022년 9월 25일 (일) 19:4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신세이.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신세이 왕국의 국기)
- 2022년 9월 25일 (일) 18:3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신세이 왕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神聖王國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신세이 왕국 | 국기_그림 =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 상징색1_이름 = | 상징색1_글씨색 = | 상징색2 = | 상징색2_이름 = | 상징색2_글씨색 = | 이전_형태 = | 주권 = 신세이 | 주권_설명 = | 정부수립1 = | 정부수립...)
- 2022년 9월 22일 (목) 00:0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디메르테스 자치령/특산물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디메르테스 자치령의 대부분의 사람들은 과수원에 종사하고 있다. 디메르테스 북부의 기후는 온난하고 남부는 냉랭하여 모든 기후의 과일이 골고루 자생한다. == 에데르자 == 메타계의 사과와 비슷한 과일로 딱딱하고 하얀 과육에 붉은색 껍질로 덮여있다. 온난한 북부의 아다제아평원에서 주로 자라며,에스라스타에서...)
- 2022년 9월 19일 (월) 23:3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니즈 선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에니즈 선박이란 에스라스타의 마법인 에니제카를 배에 접목시켜 배의 과열을 막거나 항해를 더욱 순조롭게 하게 한다. == 종류 == 에니즈 선박은 흔히 3가지로 나뉘는데 그 3가지는 비그-에니즈 선박,라호트-에니즈 선박,악시메스-에니즈 선박이다. == 비그-에니즈 선박 == 비그 레토르트가 개발한 에니즈 2기형 선...)
- 2022년 9월 18일 (일) 01:4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디메르테스.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디메르테스 국기)
- 2022년 9월 18일 (일) 01:4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디메르테스.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디메르테스 국기)
- 2022년 9월 18일 (일) 01:4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디메르테스 자치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adesperitan nuit dimertesien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에스라스타령 디메르테스 자치령 | 국기_그림 =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26c1db | 상징색1_이름 = 에스라스타 블루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fff300 | 상징색2_이름 = 에스라스...)
- 2022년 9월 15일 (목) 19:5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교통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에스라스타의 전철은 내순환철과 외순환철로 나뉜다. 내순환철은 에스라스타를 전체적으로 빙 두르는 전철로 정식명칭으로는 에스라스타 전국 내순환철<small>(esrastanu daiden reset-adbortan)</small>이라고 한다. 외순환철은 에스라스타 주외순환철과 에스라스타 베하니아외순환철로 나뉘며 주외순환철은 각 주에서 운행하는 전철이...)
- 2022년 9월 15일 (목) 00:3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4670년대,베하니아항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가장 항해가 활발하던 시기 당시 에스라스타 해양청 청장이었던 이데사야 아도르프는 왕정의회 계획안에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이라는 원대한 정책을 내놓는다.이로부터 1년 뒤 해양정책의 첫번째 단계였던 사설탐험대가 허가됐다. == 대에스라스타 해양정책 제 1령 남...)
- 2022년 8월 30일 (화) 23:23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민족 전국 시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 개요 == 에스라스타인의 남메디아 최남단 정착 과정에서 일어난 여러가지 마찰과 공국의 전쟁에 대해 서술한 문서 == 각 국가의 탄생 == 에스라스타인이 남하하면서 그 지역의 여러 민족들이 외부 세력에 맞서기 위해 민족국과 연합공국을 세우기 시작하며 에스라스타 지역에 여러 국가가 난립하게 된 시작이다. 이도베룬이...)
- 2022년 8월 29일 (월) 00:2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티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estihe denad | 다른표기 = | 나라이름 = 에스티헤 | 국기_그림 = 에스티헤.png | 문장_그림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 상징색1_이름 = | 상징색1_글씨색 = | 상징색2 = | 상징색2_이름 = | 상징색2_글씨색 = | 이전_형태 = | 주권 = 에스티헤 | 주권_설명 =...)
- 2022년 8월 29일 (월) 00:2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에스티헤.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8월 29일 (월) 00:2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에스티헤.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8월 24일 (수) 01:0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페스냐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페스냐교는 세계의 탄생과 종말을 점친 아드파르가스의 서를 기본으로 따르며 카도베스의 서,렐타의 서,야후구니아의 서 등 여타 서를 믿는 자들을 이단이라 칭하며 배척한다.)
- 2022년 8월 8일 (월) 01:36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아코아 4자협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개요 == 아코아 4자 협정은 현재까지 5차까지 진행되었으며 단일왕 즉위와 관련해 5차가 마지막일 것이란 분석이 대다수이다. 아코아 4자 협정은 에스라스타의 대표적인 4민족인 테이아인,카스메니인,트우레인,코르카냐인의 왕조인 펠레니아,일레스카,엘루울타,엑테토르테의 가주가 모여 에스라스타의...)
- 2022년 8월 1일 (월) 16:4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하니아괴뢰왕국기.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8월 1일 (월) 16:4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하니아괴뢰왕국기.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8월 1일 (월) 16:3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베하니아 괴뢰왕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나라 정보 | 나라이름 = 베하니아 괴뢰왕국 | 현지이름 = puwanen pempran nuit vehania | 지도_그림 = 베하니아.png | 최대도시 = 베하니아 | 공용어 = 에스라스타어,베하니아어 }})
- 2022년 8월 1일 (월) 02:2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베하니아 인민자유국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4776년 북베하니아 소요사태가 진압된 직후 북베하니아의 도시인 아포르카니에서 베하니아 원주민 21명이 세운 국가이다. 건국일은 4776년 3월 9일이다. 현재 에스라스타 방범청이 선전포고한 상태로 빠른 시일내로 제압 당할 것으로 보인다. 베하니아 인민자유국의 최종목표는 베하니아 일대를 통일시켜 베하니아 왕국을 세우는 것으로 보인다....)
- 2022년 8월 1일 (월) 02:0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국영방송.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 2022년 8월 1일 (월) 02:0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국영방송.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 2022년 7월 26일 (화) 17:5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쿠에-기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에스라스타 행정구역}} {{나라 정보 | 현지이름 = peritan nuit kue-gisian | 나라이름 = 쿠에-기스주 | 상징색1 = #26c1db | 상징색1_이름 = 에스라스타 블루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fff300 | 상징색2_이름 = 에스라스타 옐로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지도_그림 = 에스라스타주지도.png | 최대도시 = 하크니아시 | 공용어 = 에스라스타어 }} ==...)
- 2022년 7월 24일 (일) 02:3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정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 에스라스타 삼권분립 == 에스라스타는 왕정의회,에스라스타대법청,에스라스타행정청이 존재한다. === 에스라스타 왕정의회 === 에스라스타는 왕정의회가 입법부를 담당한다. === 에스라스타대법청 === 에스라스타는 에스라스타대법청이 사법부를 담당한다. === 에스라스타행정청 === 에스라스타는 에스라스타행정청이 행정부를 담당한다. == 에스라스타행...)
- 2022년 7월 23일 (토) 19:0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연호/에스라스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의 연호는 왕의 이름으로 정하는데 첫 아코아 협정 당시에는 계절에 따라 집권기간을 나눴지만 현재는 한 부족의 왕이 '''죽을 때까지''' 집권한다. 개헌 후 첫 왕이었던 펠레니아 테이아 아파사우네는 4132년부터 집권하여 4172년까지 집권했는데 4132년을 아파사우네 1년이라 부르고 4172년을 아파사우네 이년이라 부른다...)
- 2022년 7월 13일 (수) 00:03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베르시 평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학교 정보 | 이름 = 베르시 평단 | 교훈 = Exuropek Oirowlip (제국의 미래) | 창단 = 4512년 2월 1일 | 설립형태 = 에스라스타 내 극단주의자 | 국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위치 = 즈야라냐, 베하니아,페쿠마아타 }})
- 2022년 7월 12일 (화) 23:44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베하니아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언어 정보 | 이름 = 베하니아어 | 자기이름 = vehaniak | 나라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지역 = 남메디아 남동부 | 문자 = 라틴문자 | 계통1 = 남신구르어족 | 계통2 = 티에니아어† | 계통3 = 테니아어† | 계통4 = 타에니아어† | 초기 = | 공용나라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베하니아주 | 방언 = 파코세 방언 | 표기문자 = 라틴 문자 | 지도 = 베하니아.png }})
- 2022년 7월 10일 (일) 16:2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언어 정보 | 이름 = 에스라스타어 | 자기이름 = tadorin nuit esrastien | 나라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지역 = 남메디아 남부 | 문자 = 라틴문자 | 계통1 = 남신구르어족 | 계통2 = 페르빅 에스라스타어† | 계통3 = 중세 에스라스타어† | 계통4 = 필리벤 에스라스타어† | 초기 = | 공용나라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방언 = 지역 방언 | 표기문자 =...)
- 2022년 7월 9일 (토) 01:28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코르카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피부가 거의 완전한 백색으로 키는 기본적으로 180cm가 넘어간다. 평균 수명은 약 70~80살이다. == 문화 == 지형이 험한 산지지대의 민족이다보니 산과 산 사이 골짜기에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다. 4민족 중 가장 폐쇄성이 짙은 민족이어서 원주민의 문화나 생활 방식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 2022년 7월 8일 (금) 17:2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트우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본래의 에스라스타인보단 북방 민족 중 익인족(翼人)에 더 가까운 모습을 보여준다. 평균 수명은 30~50살로 에스라스타인 중 가장 짧다. 트우레인은 크게 카스메니계 트우레인과 익인계 트우레인으로 나뉘는데 카스메니계는 외관이 인간과 비슷하고 평균 수명이 약 50살 정도이다. 익인계는 인간에 날개가 달려있는 모습으로 평균 수명은 약 30살 정도로...)
- 2022년 7월 8일 (금) 17:0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카스메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에스라스타인에서 분화됐다보단 테이아인에서 분화됐다는 말이 더 어울리는 민족이다. 테이아인과 마찬가지로 외관은 인간과 비슷하지만 평균 수명은 100살을 넘는다. == 문화 == 고령자에 대한 인식이 좋지 않은 테이아에 비해 카스메니는 고령자에 대한 존경과 예우가 기본적이다. 이와 같이 테이아에 비해 카스메니의 고령자 예우 문화는 카스메니가...)
- 2022년 7월 8일 (금) 17:03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테이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에스라스타 4민족 중 가장 본래의 에스라스타인의 모습을 유지하고 있는 민족이다. 외관은 인간과 비슷하지만 평균 수명이 120년을 넘어가는 장수 민족이다. == 문화 == 평균 수명이 다른 민족에 비해 길다보니 핵가족 형태의 가족보단 대가족 형태의 가족이 발달하였다. 테이아인이 100살을 넘기는 시기를 평안기라고 하는데 이때는 점점 사회로부터 격리...)
- 2022년 6월 29일 (수) 01:0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의 메데마 확장 일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개요 == 4657년 베하니아 항구가 완공된 직후 메데마 해양탐험대가 베하니아 항구에서 출발하였다. == 제 1차 메데마 해양탐험대의 성과 == 제 1차 메데마 해양탐험대는 picanic gauso (직험탐험대원) bilisi kinel (지질학자) gahak kanel (선장,에스라스타 미카크 국립대학 방언학부 교수) pilise helnja (탐험대원) geku kisikiruk (베하니아 출신 탐험대원) hembonel halak (조선업자)...)
- 2022년 6월 20일 (월) 22:17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국기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나라 정보 | 나라이름 = 사성청기 | 현지이름 = peksu nuit kiltan irven | 국기_그림 = 에스라스타국기.svg }} == 개요 == 에스라스타의 국기로 사용되는 사성청기이다. 우측 상단의 사성은 4개의 다수민족을 상징하고,하늘색은 하늘,파란색은 드넓은 바다를 상징한다. == 여담 == 사성청기는 에스라스타를 대표하는 국기다. 각 민족은...)
- 2022년 6월 20일 (월) 16:4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Vehania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사트}} {{나라 정보 | 나라이름 =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 | 현지이름 = | 지도_그림 = 베하니아.png | 최대도시 = 베하니아 | 공용어 = 에스라스타어 }})
- 2022년 6월 20일 (월) 16:4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하니아.png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베하니아의 지도)
- 2022년 6월 20일 (월) 16:4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파일:베하니아.png 파일을 올렸습니다 (베하니아의 지도)
- 2022년 6월 19일 (일) 15:40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테노레 혁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역사 테노레 혁명 참조)
- 2022년 6월 19일 (일) 15:39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베코로사 전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역사 베코로사 전쟁 참조)
- 2022년 6월 19일 (일) 15:36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3해안의 비극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역사 3해안의 비극 참조)
- 2022년 6월 19일 (일) 13:58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펠레니아 테이아 이레니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인물 정보 | 이름 = 펠레니아 테이아 이레니아 | 출생일 = 4421년 7월 1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탄주의 에스티헤 가흐텐 왕궁 별아궁 | 사망일 = 4520년 2월 5일 | 사망지 = 에스탄주의 에스티헤 가흐텐 왕궁 가주궁 | 사인 = 노환 | 국적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직업 = 에스라스타...)
- 2022년 6월 19일 (일) 12:21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아르마나이 헬레세오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트}}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인물 정보 | 이름 = 아르마나이 헬레세오노 | 출생일 = 4580년 4월 3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펜기주의 에스라베티 | 사망일 = 4620년 1월 7일 | 사망지 = 에스탄주의 에스티헤 가흐텐 왕궁 가주궁 | 사인 = 과로사 | 국적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직업 = 직업탐험대원 | 전임자 = 이트니...)
- 2022년 6월 19일 (일) 02:0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에스라스타의 북동탐험 일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출발 == 에스라스타의)
- 2022년 6월 16일 (목) 00:02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이레니아 테이아 펠레니아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인물 정보 {{인물 정보 | 이름 = 이레니아 테이아 펠레니아 | 출생일 = 4421년 7월 1일 | 출생지 = {{국기|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 사망일 = | 사망지 = | 사인 = | 발견지 = | 매장지 = | 거주지 = | 국적 = {{국기|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 민족 = 자수르만인 | 시민권 = | 고향 = | 본관 = | 별칭 = | 학력 = 아마자쿠라 헤이주 제 3...)
- 2022년 6월 14일 (화) 22:35 다이아 토론 기여님이 미카크 분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