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사트}} == 개요 == 민크는 펠레마에 위치한 국가로 펠라인카이아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수도는 베네록이다. {{사트 언어 | 주제 = 명칭 | 자소크어 = Minque | 헤이어 = Minqr | 한국어 = 민크 }} == 수인의 나라 == 펠라인카이아와 마찬가지로 민크에도 수인들이 살고있고, 풍요로운 땅을 바탕으로 풍족하게 삶을 영위하고 있다. 싸움을 싫어하며 균형적...)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트}} | {{사트}} | ||
{{나라 정보 | |||
|나라이름 = 민크 | |||
|현지이름 = | |||
|다른표기 = Minque | |||
|대표이미지= | |||
|대표이미지_설명= | |||
|국기_그림= 민크국기.png | |||
|문장_그림= | |||
|지도_그림= {{펠레마 지도|폭=330}} | |||
|지도_그림_설명 = 메데마 해안과 접해 있었던 펠레마의 국가이다.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가_듣기= | |||
|왕실_국가= | |||
|왕실_국가_듣기= | |||
|지도= | |||
|수도 = | |||
|수도위치= | |||
|최대도시 = | |||
|공용어 = | |||
|공용문자= | |||
|국민어= | |||
|지역어 = | |||
|정치체제= | |||
|왕실= | |||
|지도자_칭호= | |||
|지도자_이름 = | |||
|입법원= | |||
|집권여당= | |||
|주권= | |||
|주권_설명= | |||
|정부수립= | |||
|정부수립일= | |||
|EU 가입일= | |||
|면적= | |||
|면적_순위= | |||
|내수면_비율= | |||
|시간대= | |||
|UTC_시차= | |||
|일광절약시간= | |||
|인구어림년도= | |||
|어림인구수= | |||
|인구_순위= | |||
|인구조사년도= | |||
|조사인구수= | |||
|인구밀도= | |||
|인구밀도_순위= | |||
|민족_분포 = | |||
|종교_분포= | |||
|GDP_PPP_년도= | |||
|명목_GDP_년도= | |||
|GDP_PPP= | |||
|GDP_PPP_순위= | |||
|일인당_GDP_PPP= | |||
|일인당_GDP_PPP_순위= | |||
|명목_GDP = | |||
|명목_GDP_순위 = | |||
|일인당_명목_GDP= | |||
|일인당_명목_GDP_순위= | |||
|인간개발지수= | |||
|HDI_순위= | |||
|HDI_조사년도= | |||
|지니_계수= | |||
|통화= | |||
|통화기호= | |||
|단위= | |||
|국교= | |||
|최대종교= | |||
|ISO1= | |||
|ISO2= | |||
|ISO3= | |||
|국가도메인= | |||
|국제전화번호= | |||
|기년법= | |||
|보충설명= | |||
}} | |||
== 개요 == | == 개요 == | ||
[[민크]]는 [[펠레마]]에 | [[민크]]는 [[펠레마]]에 위치했던 국가로 [[펠라인카이아]]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수도는 [[베네록]]이다. | ||
== 상징 == | |||
=== 국호 === | |||
{{사트 언어 | {{사트 언어 | ||
| 주제 = 명칭 | | 주제 = 명칭 | ||
| 빠깐어 = Fakaksmink | |||
| 우이뇨르데괴자욤어 = Mink | |||
| 자소크어 = Minque | | 자소크어 = Minque | ||
| 헤이어 = Minqr | | 주노데어 = Miqka | ||
| 헤이어 = Minqr<small>(국내표준)</small><br>Vinchk<small>(국제표준)</small> | |||
| 한국어 = 민크 | | 한국어 = 민크 | ||
}} | }} | ||
== 수인의 나라 == | == 수인의 나라 == | ||
[[펠라인카이아]]와 마찬가지로 [[민크]]에도 수인들이 | [[펠라인카이아]]와 마찬가지로 [[민크]]에도 수인들이 살고 있고, 풍요로운 땅을 바탕으로 풍족하게 삶을 영위하고 있다. 싸움을 싫어하며 균형적인 삶을 사는데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 ||
== [[바란|바란령 민크]] == | == [[바란|바란령 민크]] == | ||
[[바라리온 계획]]의 진행으로 | [[바라리온 계획]]의 진행으로 민크는 바란의 자치령으로 존재했다. [[바란-민크 분쟁]]으로 촉발된 민크 사태 이후, 결국 바란의 군대는 민크를 무단으로 점거했으며, 민크 세력의 지도자들로부터 평화적 동맹을 합의시켰다. 동맹은 실질적으로는 무의미한 명분으로 수많은 바란인들과 주노데인들이 관리감독 및 노동을 위해 민크로 이주했으며 민크에 존재했던 [[수인]]들은 바란령 2등 시민으로서 재교육되었다. 백 여년 정도는 이에 대해 많은 수인들이 반발하였으나 계속된 강점과 체계적인 강압이 이어지자 완전히 바란의 일원으로 자리잡았다. | ||
== [[바란/군사|수인군]] == | 4630년 바란 내전이 발생한 지 정확히 10년이 지난 4640년, [[바란]]은 민크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고 이윽고 혼란이 찾아왔다. 붕괴된 민크를 통합할 만한 세력이 나타나지 않은 탓에 민크는 완전히 멸망하였다. | ||
=== [[바란/군사|수인군]] === | |||
[[바란 연방]]은 민크의 수많은 수인들 중 일부, 즉 전투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인원들에 대하여 2등 시민권과 함께 군복무 의무를 부여했다. 이 때문에 2등 시민군의 일부인 수인군은 그 대우가 본토에 비해 빈약하긴 하지만, 수준이 높은 편이며 편제 규모도 크다. | [[바란 연방]]은 민크의 수많은 수인들 중 일부, 즉 전투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인원들에 대하여 2등 시민권과 함께 군복무 의무를 부여했다. 이 때문에 2등 시민군의 일부인 수인군은 그 대우가 본토에 비해 빈약하긴 하지만, 수준이 높은 편이며 편제 규모도 크다. | ||
== 도보게 == | |||
== 각주 == |
2022년 6월 23일 (목) 20:28 판
개요
민크는 펠레마에 위치했던 국가로 펠라인카이아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수도는 베네록이다.
상징
국호
명칭 | |
---|---|
![]() 우이뇨르데 에괴자욤어 |
Mink |
자소크어 |
Minque |
![]() 주노데어 |
Miqka |
헤이어 |
Minqr(국내표준) Vinchk(국제표준) |
![]() 한국어 |
민크 |
안드로어 |
alszm |
메다어 |
ids0g |
수인의 나라
펠라인카이아와 마찬가지로 민크에도 수인들이 살고 있고, 풍요로운 땅을 바탕으로 풍족하게 삶을 영위하고 있다. 싸움을 싫어하며 균형적인 삶을 사는데 집중하는 것으로 보인다.
바란령 민크
바라리온 계획의 진행으로 민크는 바란의 자치령으로 존재했다. 바란-민크 분쟁으로 촉발된 민크 사태 이후, 결국 바란의 군대는 민크를 무단으로 점거했으며, 민크 세력의 지도자들로부터 평화적 동맹을 합의시켰다. 동맹은 실질적으로는 무의미한 명분으로 수많은 바란인들과 주노데인들이 관리감독 및 노동을 위해 민크로 이주했으며 민크에 존재했던 수인들은 바란령 2등 시민으로서 재교육되었다. 백 여년 정도는 이에 대해 많은 수인들이 반발하였으나 계속된 강점과 체계적인 강압이 이어지자 완전히 바란의 일원으로 자리잡았다.
4630년 바란 내전이 발생한 지 정확히 10년이 지난 4640년, 바란은 민크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고 이윽고 혼란이 찾아왔다. 붕괴된 민크를 통합할 만한 세력이 나타나지 않은 탓에 민크는 완전히 멸망하였다.
수인군
바란 연방은 민크의 수많은 수인들 중 일부, 즉 전투능력이 있다고 판단되는 인원들에 대하여 2등 시민권과 함께 군복무 의무를 부여했다. 이 때문에 2등 시민군의 일부인 수인군은 그 대우가 본토에 비해 빈약하긴 하지만, 수준이 높은 편이며 편제 규모도 크다.
도보게
각주
- ↑ 2025년 5월 25일 22시 36분 35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