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1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옛날}} | |||
{{사트}} | {{사트}} | ||
{{나라 정보 | {{나라 정보 | ||
22번째 줄: | 23번째 줄: | ||
| 주권 =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 | | 주권 =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 | ||
| 주권_설명 = 5185년 1월 8일 | | 주권_설명 = 5185년 1월 8일 | ||
| 정부수립1 = | | 정부수립1 = 국부천대 | ||
| 정부수립일1 = | | 정부수립일1 = 5288년 5월 8일 | ||
| 정부수립2 = | | 정부수립2 = | ||
| 정부수립일2 = | | 정부수립일2 = | ||
34번째 줄: | 35번째 줄: | ||
| 정부수립6 = | | 정부수립6 = | ||
| 정부수립일6 = | | 정부수립일6 = | ||
| 멸망 = | | 멸망 = 5510년 5월 7일 | ||
| 이후_형태 = | | 이후_형태 = | ||
| 지도_그림 = | | 지도_그림 = | ||
| 지도_그림_설명 = | | 지도_그림_설명 = | ||
| 수도 = 비카 | | 수도 = 비카 (명목상) 신 비카 (실질) | ||
| 수도위치 = | | 수도위치 = | ||
| 최대도시 = | | 최대도시 = | ||
| 면적 = | | 면적 = | ||
| 접경국 = | | 접경국 = | ||
58번째 줄: | 59번째 줄: | ||
| 행정구역6_내용 = | | 행정구역6_내용 = | ||
| 미수복지역 = | | 미수복지역 = | ||
| 조사인구수 = | | 조사인구수 = 37,002,685 | ||
| 인구조사년도 = | | 인구조사년도 = 5288 | ||
| 민족_분포 = | | 민족_분포 = 갑인 81%, 알레베데카인 19% | ||
| 인구밀도 = | | 인구밀도 = | ||
| 밀도계산년도 = | | 밀도계산년도 = | ||
67번째 줄: | 68번째 줄: | ||
| 합계출산율 = | | 합계출산율 = | ||
| 출산율계산년도 = | | 출산율계산년도 = | ||
| 기대_수명 = | | 기대_수명 = 102 | ||
| 수명조사년도 = | | 수명조사년도 = 5285 | ||
| 공용어 = | | 공용어 = 바데우트어 | ||
| 공용문자 = | | 공용문자 = | ||
| 지역어 = | | 지역어 = | ||
| 국교 = | | 국교 = | ||
| 종교_분포 = | | 종교_분포 = | ||
| 최대종교 = | | 최대종교 = | ||
| 군대 = | | 군대 = | ||
| 주둔군 = | | 주둔군 = | ||
| 정치체제 = 평의회 민주주의, 민주집중제, 프롤레타리아 독재, 일당독재 | | 정치체제 = 평의회 민주주의, 민주집중제, 프롤레타리아 독재, 일당독재 | ||
| 지도자_칭호 = 최고회의 상무회 의장 | | 지도자_칭호 = 최고회의 상무회 의장 | ||
| 지도자_성명 = 루밀리안-비카 | | 지도자_성명 = 루밀리안-비카 | ||
| 입법부_수장 = | | 입법부_수장 = | ||
| 입법부_수장_성명 = | | 입법부_수장_성명 = | ||
| 행정부_수장 = 총리 | | 행정부_수장 = 총리 | ||
| 행정부_수장_성명 = 아이르-아만 | | 행정부_수장_성명 = 아이르-아만 | ||
| 사법부_수장 = 최고법원 의장 | | 사법부_수장 = 최고법원 의장 | ||
| 사법부_수장_성명 = 아드리프-아이람 | | 사법부_수장_성명 = 아드리프-아이람 | ||
| 여당 = 알레데베카 | | 여당 = 알레데베카 사회민주노동자당 | ||
| 당명 = 알레데베카 | | 당명 = 알레데베카 사회민주노동자당 | ||
| 당색글씨 = #CC0000 | | 당색글씨 = #CC0000 | ||
| 당색배경 = #FBDD73 | | 당색배경 = #FBDD73 | ||
108번째 줄: | 109번째 줄: | ||
== 개요 == | == 개요 == | ||
알레베데카는 | 알레베데카는 코티야 섬에 위치한 사회주의 보편공화국이다. [[주노데 해협 쟁탈전]]의 영향으로 5510년 5월 7일 멸망하였다. | ||
== 상징 == | == 상징 == | ||
123번째 줄: | 123번째 줄: | ||
| 베르쿠암 = | | 베르쿠암 = | ||
| 사삼오일 = | | 사삼오일 = | ||
| 세멘티어 = Katiẽ sti | | 세멘티어 = Katiẽ sti Átelmora Állüvdáke | ||
| 소노르어 = | | 소노르어 = | ||
| 시메타시스어 = | | 시메타시스어 = | ||
130번째 줄: | 130번째 줄: | ||
| 자소크어 = Quorsinisétaiquorsinatio di'Alevedeka | | 자소크어 = Quorsinisétaiquorsinatio di'Alevedeka | ||
| 자수르만어 = الهۆهدهكا وُمۋمجاھان كيوۆاكوكوُ | | 자수르만어 = الهۆهدهكا وُمۋمجاھان كيوۆاكوكوُ | ||
| 자텐다어 = Latolin Gróyš Ádenmir ' | | 자텐다어 = Latolin Gróyš Ádenmir 'Elátvaharzákáy | ||
| | | 크리상치아어 = | ||
| 트라벨레메 = | | 트라벨레메 = | ||
| 파셀어 = | | 파셀어 = | ||
142번째 줄: | 142번째 줄: | ||
| 한국어 =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 | | 한국어 =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 | ||
| 한국_점자 = | | 한국_점자 = | ||
| 영어 = | | 영어 = Common Republic of Alevedeka | ||
| 일본어 = | | 일본어 = | ||
| 한문 = {{후리가나|沿參海普遍共和國|연삼해보편공화국}} | | 한문 = {{후리가나|沿參海普遍共和國|연삼해보편공화국}} | ||
154번째 줄: | 154번째 줄: | ||
== 역사 == | == 역사 == | ||
{{본문|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역사}} | |||
알레베데카는 바데우트 제공국을 계승한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 |||
== 정치 == | == 정치 == | ||
알레베데카는 보편공화국으로, 알레베데카 사회민주노동당만이 유일한 합법정당으로 기능한다. 각 작업소와 지역 별로 평의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평의회들은 다시 더 큰 평의회를 구성하는 식으로 이어져, 마지막은 최고회의에 다다르게 된다. 최고회의는 의회로서 기능한다 | {{본문|알레데베카 사회민주노동자당}} | ||
알레베데카는 보편공화국으로, 알레베데카 사회민주노동당만이 유일한 합법정당으로 기능한다. 각 작업소와 지역 별로 평의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평의회들은 다시 더 큰 평의회를 구성하는 식으로 이어져, 마지막은 최고회의에 다다르게 된다. 최고회의는 의회로서 기능한다. | |||
== 경제 == | == 경제 == | ||
알레베데카는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실시하며, 많은 부분이 전산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술이 전산망과 AI 분야에 특화된 상태로, 관련 물품을 주 수출품으로 삼는다. 주된 수입품은 원자재와 곡물 등이다. | 알레베데카는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실시하며, 많은 부분이 전산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술이 전산망과 AI 분야에 특화된 상태로, 관련 물품을 주 수출품으로 삼는다. 주된 수입품은 원자재와 곡물 등이다. 원체 해운이 발달한 국가의 해군의 대부분을 데려온 관계로 해운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도로 등 육상 기반시설은 빈약하다. 따라서 해상무역이 주가 되며, 특히 메데마와 티펠라트리아를 잇는 운하 건설은 거의 매 년 논의돠고 있는 주제이다. | ||
== 외교 == | == 외교 == | ||
184번째 줄: | 174번째 줄: | ||
== 각주 == | == 각주 == | ||
[[분류: | [[분류:멸망한 국가]] |
2025년 2월 20일 (목) 17:06 기준 최신판
아래 내용은 오랜 옛날 것입니다.
"도대체 언제적 이야기인지 기억이 안나는데…"
"도대체 언제적 이야기인지 기억이 안나는데…"
Diviana Vadova y Alevedeka+ Quorsinisétaiquorsinatio di'Alevedeka | ||
---|---|---|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 | ||
| ||
표어 | Rumylian, Liian, Vudian 사회주의, 노동자 통치, 우리들의 국가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 | |
---|---|
국가 | 착취의 끝 |
상징색 | Crimson Dawn(#CC0000) Star-lit Yellow(#FBDD73) |
역사 | |
이전 형태 | 바데우트 제공국 |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 | 5185년 1월 8일 |
국부천대 | 5288년 5월 8일 |
멸망 | 5510년 5월 7일 |
지리 | |
수도 | 비카 (명목상) 신 비카 (실질) |
인구 | |
인구 | 37,002,685명 (5288년) |
민족 분포 | 갑인 81%, 알레베데카인 19% |
기대 수명 | 102세 (5285년) |
어문 | |
공용어 | 바데우트어 |
정치 | |
정치체제 | 평의회 민주주의, 민주집중제, 프롤레타리아 독재, 일당독재 |
최고회의 상무회 의장 | 루밀리안-비카 |
총리 | 아이르-아만 |
최고법원 의장 | 아드리프-아이람 |
여당 | 알레데베카 사회민주노동자당 |
경제 | |
경제체제 | 생산수단 국유화, 사회주의 계획경제, 자동화 사회 |
통화 | 하마르 리야프 (HL) |
단위 | |
기년법 | 자소크력 |
국가 코드 | |
2자코드 | AL |
3자코드 | DVA |
한자약칭 | 參(삼) |
Mayo |
개요
알레베데카는 코티야 섬에 위치한 사회주의 보편공화국이다. 주노데 해협 쟁탈전의 영향으로 5510년 5월 7일 멸망하였다.
상징
국호
언어 | 명칭+ |
---|---|
![]() |
Diviana Vadova y Alevedeka |
![]() |
Katiẽ sti Átelmora Állüvdáke |
![]() |
es'Artn re'Kavnya k'Alaapetcha |
Quorsinisétaiquorsinatio di'Alevedeka | |
![]() |
الهۆهدهكا وُمۋمجاھان كيوۆاكوكوُ |
![]() |
Latolin Gróyš Ádenmir 'Elátvaharzákáy |
![]() |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 |
![]() |
Common Republic of Alevedeka |
![]() |
|
![]() |
滨参海普遍共和國 |
dkffpqpepzk qhvusrhdghkrnr | |
jfwyc;cuc0f ;vpeskvam/fkbx |
역사
자세한 내용은 알레베데카 보편공화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알레베데카는 바데우트 제공국을 계승한 사회주의 공화국이다.
정치
자세한 내용은 알레데베카 사회민주노동자당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알레베데카는 보편공화국으로, 알레베데카 사회민주노동당만이 유일한 합법정당으로 기능한다. 각 작업소와 지역 별로 평의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평의회들은 다시 더 큰 평의회를 구성하는 식으로 이어져, 마지막은 최고회의에 다다르게 된다. 최고회의는 의회로서 기능한다.
경제
알레베데카는 사회주의 계획경제를 실시하며, 많은 부분이 전산화되어 있다. 이에 따라 기술이 전산망과 AI 분야에 특화된 상태로, 관련 물품을 주 수출품으로 삼는다. 주된 수입품은 원자재와 곡물 등이다. 원체 해운이 발달한 국가의 해군의 대부분을 데려온 관계로 해운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도로 등 육상 기반시설은 빈약하다. 따라서 해상무역이 주가 되며, 특히 메데마와 티펠라트리아를 잇는 운하 건설은 거의 매 년 논의돠고 있는 주제이다.
외교
문화
도보게
각주
- ↑ 2025년 5월 5일 01시 59분 1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