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5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틀:사트}}
{{옛날}}
{{사트}}
{{나라 정보
{{나라 정보
|나라이름 = 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 현지이름 = Gutůosux Urůgunedu
|현지이름 = Bamfu Miśezari Abrůnbaloga<ref>남미세자리아 표준</ref>
| 다른표기 = Hoiretaiquorsinatio die Kitimisesaria
|다른표기 = Pampomiśezari Abranbaluga<ref>미세자리아 표준</ref>
| 나라이름 =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대표이미지=  
| 국기_그림 = 남미세자리아국기.png
|대표이미지_설명=
| 문장_그림 =
|국기_그림= 남미세자리아국기.png
| 나라_표어 =
|문장_그림=
| 나라_표어_설명 =
|지도_그림=  
| 국가 =
| 국수 =
| 국조 =
| 국화 =
| 상징색1 = black
| 상징색1_이름 = 미세자리아 블랙
| 상징색1_글씨색 = white
| 상징색2 = #ac0000
| 상징색2_이름 = 미세자리아 브라운
| 상징색2_글씨색 = white
| 이전_형태 = {{국기|바란 연방}}
| 주권 =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 주권_설명 = 4639년 2월 13일
| 정부수립1 =
| 정부수립일1 =
| 정부수립2 =
| 정부수립일2 =
| 정부수립3 =
| 정부수립일3 =
| 정부수립4 =
| 정부수립일4 =
| 정부수립5 =
| 정부수립일5 =
| 정부수립6 =
| 정부수립일6 =
| 멸망 =
| 이후_형태 = {{국호|아르토이트 왕국}}
| 지도_그림=  
| 지도_그림_설명 =  
| 지도_그림_설명 =  
|나라_표어=
| 수도 = 탈리소브
|나라_표어_설명=
| 수도위치 =
|국가=
| 최대도시 = 셀로도브
|국가_듣기=
| 면적 =
|왕실_국가=
| 접경국 = {{국기|미세자리아 연합}}<br>{{국기|베니치 대공국}}
|왕실_국가_듣기=
| 문화권 = [[메데마 문화권]]
|지도=
| 문화 = [[미세자리아|으루그네드 문화]]
|수도 =
| 행정구역1 =
|수도위치=
| 행정구역1_내용 =
|최대도시 =
| 행정구역2 =
|공용어 = [[미세자리아어]], [[바란어]]
| 행정구역2_내용 =
|공용문자= [[바란 문자]]
| 행정구역3 =
| 주권 =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 행정구역3_내용 =
| 주권_설명 = 4639년 2월 13일
| 행정구역4 =
|국민어=
| 행정구역4_내용 =
|지역어 =  
| 행정구역5 =
|정치체제=
| 행정구역5_내용 =
|왕실=
| 행정구역6 =
|지도자_칭호=  
| 행정구역6_내용 =
|지도자_이름 =  
| 미수복지역 =
|입법원=
| 조사인구수 = 223,163
|집권여당=
| 인구조사년도 = 4720
|정부수립=
| 민족_분포 = [[미세자리아인]] 78%, [[바란인]] 19%, 기타 3%
|정부수립일=
| 인구밀도 =
|EU 가입일=
| 밀도계산년도 =
|면적=
| 출생아_수 =
|면적_순위=
| 출생조사년도 =
|내수면_비율=
| 합계출산율 =
|시간대=
| 출산율계산년도 =
|UTC_시차=
| 기대_수명 =
|일광절약시간=
| 수명조사년도 =
|인구어림년도=
| 공용어 = [[뎅구르어]], [[바란어]]
|어림인구수=
| 공용문자 = [[뎅구르 문자]]
|인구_순위=
| 지역어 =
|인구조사년도=
| 국교 =
|조사인구수=
| 종교_분포 =
|인구밀도=
| 최대종교 =
|인구밀도_순위=
| 군대 =
|민족_분포 = 미세자리아인 65%, 바란인 29%, 기타 6%
| 주둔군 =
|종교_분포=  
| 정치체제 =
|GDP_PPP_년도=
| 지도자_칭호 =
|명목_GDP_년도=
| 지도자_성명 =
|GDP_PPP=
| 입법부_수장 =
|GDP_PPP_순위=
| 입법부_수장_성명 =
|일인당_GDP_PPP=
| 행정부_수장 =
|일인당_GDP_PPP_순위=
| 행정부_수장_성명 =
|명목_GDP =
| 사법부_수장 =
|명목_GDP_순위 =
| 사법부_수장_성명 =
|일인당_명목_GDP=
| 여당 =
|일인당_명목_GDP_순위=
| 당명 =
|인간개발지수=
| 당색글씨 =
|HDI_순위=
| 당색배경 =
|HDI_조사년도=
| 경제체제 =
|지니_계수=
| 통화 =
|통화=
| 통화기호 =
|통화기호=
| 기년법 =
|단위=
| 시간대 =
|국교=
| 도량형 =
|최대종교=
| 날짜형식 =
|ISO1=
| 통행방향 =
|ISO2=
| 수교국 =
|ISO3=
| 외교문서 =
|국가도메인=
| 숫자코드 =
|국제전화번호=
| 2자코드 = MR
|기년법=
| 3자코드 = MSR
|보충설명=
| 한자약칭 = 南湄
| 한자음 = 남미
}}
}}
== 개요 ==
== 개요 ==
[[부토니에]] 북부에서 [[세자리아 강]] 권역에 세워진 남부 [[미세자리아인]]들의 부족공화국이다. [[바란 내전]]으로 인해 [[세자리아 강]] 근교의 [[미세자리아인]]들이 독립하여 생긴 국가이다. 남부 [[미세자리아인]]들은 북부 [[미세자리아인]]과 비슷하나, 역사적으로 다른 길을 걸어온 탓에 사이가 그렇게 좋지 못하다.
[[부토니에]] 북부에서 [[세자리아 강]] 북부에 세워진 남부 [[미세자리아인]]들의 부족공화국이다. [[바란 내전]]으로 인해 [[세자리아 강]] 근교의 [[미세자리아인]]들이 독립하여 생긴 국가이다.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남부 미세자리아인]]들은 [[미세자리아 연합|북부 미세자리아인]]과 비슷하나, 역사적으로 다른 길을 걸어온 탓에 사이가 그렇게 좋지 못하다.
{{사트 언어
{{사트 언어
| 주제 = 명칭
| 주제 = 명칭
| 바란어 =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 처음언어 = {{국기그림|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br>[[뎅구르어|{{글씨 색|black|뎅구르어}}]]
| 자소크어 =  
| 처음언어_내용 = Gutůosux Urůgunedu
| 바란어 = Kautosauchs Misesariar
| 세멘티어 = Átelmora sti Selanü Erná Miserásie
| 세멘티어 = Átelmora sti Selanü Erná Miserásie
| 헤이어 =  
| 자소크어 = Hoiretaiquorsinatio die Kitimisesaria
| 트라벨레메 = Qhtuoshx Misezaria
| 헤이어 = SapMisrejaria Zaxdokcini{{표준|국내}}<br>Shapvisedzarya Zakhdocktsini{{표준|국제}}
| 한국어 =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 한국어 =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 한문 = {{후리가나|南湄世自利亞部族共和國|남미세자리아부족공화국}}
}}
}}
== 역사 ==
== 역사 ==
[[바란 연방]]의 내전기, 힘의 공백은 [[세자리아 강]] 유역의 [[미세자리아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자신들을 지배하던 [[바란]]의 통치권 약화는 억압받던 [[미세자리아인]]들을 자극했고, [[바란 내전]]의 혼란을 틈타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을 세우게 된다.
[[바란 연방]]의 내전기, 힘의 공백은 [[세자리아 강]] 유역의 [[미세자리아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자신들을 지배하던 [[바란]]의 통치권 약화는 억압받던 [[미세자리아인]]들을 자극했고, [[바란 내전]]의 혼란을 틈타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을 세우게 된다.


처음에는 자신들을 노예로 부렸던 바란인들에 앙심을 품고 복수를 하려 했으나, 얼마 가지 못해 국가가 처한 지정학-경제적 상태를 직시한 [[미세자리아인]]들은 방침을 바꾸어 [[바란 연방]]과 비슷한 행동을 하기 이른다. 이 이유는 세자리아 강 근교의 기반이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미세자리아]]의 부족 연합을 가장한 복속 위협도 있었을 것이라 추측된다.
처음에는 자신들을 노예로 부렸던 바란인들에 앙심을 품고 복수를 하려 했으나, 얼마 가지 못해 국가가 처한 지정학-경제적 상태를 직시한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미세자리아인]]들은 방침을 바꾸어 [[바란 연방]]과 비슷한 행동을 하기 이른다. 원인은 잘 알려져있지 않으나, 세자리아 강 북부의 기반 부족과 [[미세자리아 연합]]의 부족 연합을 가장한 복속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추측된다.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은 과거 자신들을 탄압했던 [[바란인]] 및 [[베니치 대공국]]과 연합하여 [[미세자리아 연합]]의 동족을 [[바란 연방]] 시기보다 훨씬 가혹한 노예매매의 희생물로 내몰았다.
 
{{인용문|'''우리가 바란의 노예가 되어 치욕을 당하고 있었을 때, 그대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미세자리아 연합|북부 부족]]들의 연합 제의에 대한 제보아 부족의 답신}}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은 4665년 우호국가였던 [[바움-베니치 연합왕국]]의 후신인 [[아르토이트 왕국]]의 왕국 참여 요청을 수락하여 [[아르토이트 왕국]]으로 합병되었다. 이 합병을 두고 [[미세자리아 연합]]은 격렬하게 반발하였다.
 
== 인구 ==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에는 약 55개의 부족 약 165,000명 가량의 [[미세자리아인]]과 3개의 [[바란인 연합]]<ref>바란인들의 도시를 중심으로 구성된 연합</ref> 약 45,000명으로 구성되어있다.
 
다음은 주요 부족과 [[바란인 연합]]의 목록이다.


현재,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은 국내의 [[바란인]] [[베니치 대공국]]과 연합하여 북부 [[미세자리아]]인들을 [[바란 연방]] 시기보다 훨씬 가혹한 노예매매의 희생물로 내모는 중이다.
* [[베나시아]]
* [[테니아]]
* [[자투시아]]
* [[키토부니아]]
* [[누렘디아]]
* [[제보아]]
* [[바콘데시아]]
* [[말쿠시아]]
* [[라시아]]
* [[다티노두시아]]
* [[셀로도브 바란인 연합]]
* [[탈리소브 바란인 연합]]
* [[나칼루모브론트 바란인 연합]]


{{인용문|'''우리가 바란의 노예가 되어 치욕을 당하고 있었을 때, 그대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북부 부족들의 연합 제의에 대한 답신}}
== 도보게 ==


== 각주 ==
== 각주 ==
[[분류:멸망한 국가]]

2025년 2월 20일 (목) 14:49 기준 최신판

아래 내용은 오랜 옛날 것입니다.
"도대체 언제적 이야기인지 기억이 안나는데…"
Gutůosux Urůgunedu+
Hoiretaiquorsinatio die Kitimisesaria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남미세자리아국기.png
국기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상징색 미세자리아 블랙(black)
미세자리아 브라운(#ac0000)
역사
이전 형태 바란 연방 바란 연방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4639년 2월 13일
이후 형태 아르토이트 왕국 아르토이트 왕국
지리
수도 탈리소브
최대도시 셀로도브
접경국 미세자리아 연합 미세자리아 연합
베니치 대공국 베니치 대공국
문화권 메데마 문화권
으루그네드 문화
인구
인구 223,163명 (4720년)
민족 분포 미세자리아인 78%, 바란인 19%, 기타 3%
어문
공용어 뎅구르어, 바란어
공용문자 뎅구르 문자
국가 코드
2자코드 MR
3자코드 MSR
한자약칭 南湄(남미)

개요

부토니에 북부에서 세자리아 강 북부에 세워진 남부 미세자리아인들의 부족공화국이다. 바란 내전으로 인해 세자리아 강 근교의 미세자리아인들이 독립하여 생긴 국가이다. 남부 미세자리아인들은 북부 미세자리아인과 비슷하나, 역사적으로 다른 길을 걸어온 탓에 사이가 그렇게 좋지 못하다.

명칭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뎅구르어
Gutůosux Urůgunedu
바란 연방
바란어
Kautosauchs Misesariar
세멘티 왕국
세멘티어
Átelmora sti Selanü Erná Miserásie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Hoiretaiquorsinatio die Kitimisesaria
헤멜바르트 제국
트라벨레메
Qhtuoshx Misezaria
앙둔 제국
헤이어
SapMisrejaria Zaxdokcini(국내표준)
Shapvisedzarya Zakhdocktsini(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
중화민국
한문
南湄世自利亞部族共和國 (남미세자리아부족공화국)
안드로
안드로어
skaaltpwkfldk qnwhrrhdghkrnr
메다
메다어
hfzidnclfydjf ;blvxkvam/fkbx

역사

바란 연방의 내전기, 힘의 공백은 세자리아 강 유역의 미세자리아인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자신들을 지배하던 바란의 통치권 약화는 억압받던 미세자리아인들을 자극했고, 바란 내전의 혼란을 틈타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을 세우게 된다.

처음에는 자신들을 노예로 부렸던 바란인들에 앙심을 품고 복수를 하려 했으나, 얼마 가지 못해 국가가 처한 지정학-경제적 상태를 직시한 미세자리아인들은 방침을 바꾸어 바란 연방과 비슷한 행동을 하기 이른다. 원인은 잘 알려져있지 않으나, 세자리아 강 북부의 기반 부족과 미세자리아 연합의 부족 연합을 가장한 복속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추측된다.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은 과거 자신들을 탄압했던 바란인베니치 대공국과 연합하여 미세자리아 연합의 동족을 바란 연방 시기보다 훨씬 가혹한 노예매매의 희생물로 내몰았다.

우리가 바란의 노예가 되어 치욕을 당하고 있었을 때, 그대들은 무엇을 하고 있었는가?

 
북부 부족들의 연합 제의에 대한 제보아 부족의 답신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은 4665년 우호국가였던 바움-베니치 연합왕국의 후신인 아르토이트 왕국의 왕국 참여 요청을 수락하여 아르토이트 왕국으로 합병되었다. 이 합병을 두고 미세자리아 연합은 격렬하게 반발하였다.

인구

남미세자리아 부족공화국에는 약 55개의 부족 약 165,000명 가량의 미세자리아인과 3개의 바란인 연합[3] 약 45,000명으로 구성되어있다.

다음은 주요 부족과 바란인 연합의 목록이다.

도보게

각주

  1. 2025년 5월 25일 09시 46분 5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바란인들의 도시를 중심으로 구성된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