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분류: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사트}}
{{사트}}
 
{{NST 회원국}}
{{에스라스타}}
{{나라 정보
{{나라 정보
| 기여자 = [[다이아]]
| 현지이름 = Tempran Nuit Esrastien
| 현지이름 = Tempran Nuit Esrastien
| 다른표기 = Karotainatio di'Esrasta
| 다른표기 = Karotainatio di'Esrasta
10번째 줄: 11번째 줄: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 =
| 나라_표어_설명 =
| 나라_표어_설명 =
| 국가 =
| 국가 =  
| 국수 =
| 국수 =
| 국조 =
| 국조 =
20번째 줄: 21번째 줄:
| 상징색2_이름 = 에스라스타 옐로
| 상징색2_이름 = 에스라스타 옐로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상징색2_글씨색 = black
| 이전_형태 =
| 이전_형태 = [[에스라스타 공국]]
| 주권 = 에스라스타
| 주권 = 에스라스타
| 주권_설명 = 4122년 6월 11일
| 주권_설명 = 4122년 6월 11일
45번째 줄: 46번째 줄:
| 접경국 =
| 접경국 =
| 문화권 = [[남메디아 문화권]]
| 문화권 = [[남메디아 문화권]]
| 문화 = [[에스라스타 문화]]
| 문화 = [[에스라스타|에스라스타 문화]]
| 행정구역1 =
| 행정구역1 =
| 행정구역1_내용 =
| 행정구역1_내용 =
61번째 줄: 62번째 줄:
| 조사인구수 =
| 조사인구수 =
| 인구조사년도 =
| 인구조사년도 =
| 민족_분포 = [[테이아]] 34%, [[카스메니]] 27%, [[트우레]] 11%, [[코르카냐]] 14%, 기타 14%
| 민족_분포 = [[테이아인]] 34%, [[카스메니인]] 27%,<br>[[트우레인]] 11%, [[코르카냐인]] 14%,<br>기타 14%
| 인구밀도 =
| 인구밀도 =
| 밀도계산년도 =
| 밀도계산년도 =
78번째 줄: 79번째 줄:
| 군대 =
| 군대 =
| 주둔군 =
| 주둔군 =
| 정치체제 =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 지도자_칭호 =
| 지도자_칭호 =  
| 지도자_성명 =
| 지도자_성명 =
| 입법부_수장 =
| 입법부_수장 =
94번째 줄: 95번째 줄:
| 통화 = 페사
| 통화 = 페사
| 통화기호 = PE
| 통화기호 = PE
| 기년법 = [[자소크력]],[[연호/에스라스타]]
| 기년법 = [[자소크력]], [[연호/에스라스타|에스라스타 연호]]
| 시간대 =
| 시간대 =
| 도량형 =
| 도량형 =
107번째 줄: 108번째 줄:
| 한자음 = 애
| 한자음 = 애
}}
}}
== 개요 ==
== 개요 ==
에스라스타는 남메디아에서도 제일 남쪽에 있는 연방 왕국이다. 바다와 상당부분 맞닿아 있어 조선업과 어업이 발전되어있다.
에스라스타는 남메디아에서도 제일 남쪽에 있는 연방 왕국이다. 바다와 상당 부분 맞닿아 있어 조선업과 어업이 발전되어 있다.


== 상징 ==
=== 국호 ===
{{사트 언어|2
{{사트 언어|2
| 주제 =  
| 주제 =  
120번째 줄: 124번째 줄:
| 베르쿠암 =  
| 베르쿠암 =  
| 사삼오일 = 839329 40 5559, 839329
| 사삼오일 = 839329 40 5559, 839329
| 세멘티어 = Mikamora sti Efr Esirásti
| 세멘티어 = Mikamora sti Efr Esiráste
| 소노르어 = Frithoŕane un Asŕent
| 시메타시스어 =
| 시메타시스어 =
| 엘레르디어 =
| 엘레르디어 =
| 이렘나어 = es'Friymichniy k'Eshrastiy
| 이렘나어 = es'Friymichniy k'Eshrastiy
| 자소크어 = Karotainatio di'Esrasta
| 자소크어 = Karotainatio di'Esrasta
| 자텐다어 = Vrónnuhabán 'Ezrášt
| 자텐다어 = Vrónnuhabán 'Zrštá
| 크리상테스어 = Regnum Unitéum Esrastas, l'Esraste
| 크리상테스어 = Regnum Unitéum Esrastas, l'Esraste
| 트라벨레메 =  
| 트라벨레메 =  
| 파셀어 =  
| 파셀어 =  
| 펠라인카이아어 =
| 펠라인카이아어 =
| 퍈프소븜 = gok naunt kmu esrasta
| 프칸어 =
| 프칸어 =
| 피페레어 =  
| 피페레어 =  
| 한카어 =
| 한카어 =
| 헤이어 = Esrrasrta Ketse Digmuhazian<small>(국내표준)</small><br>Esrasta Cetshe Dingvuhayan<small>(국제표준)</small>
| 헤이어 = Esrrasrta Ketse Digmuhazan{{표준|국내}}<br>Esrasta Cetshe Dingvuhayan{{표준|국제}}
| 한국어 =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
| 한국어 =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
| 한국_점자 =
| 한국_점자 =
147번째 줄: 153번째 줄:
}}
}}


== 역사 ==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역사}}
== 지리 ==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지리}}
== 군사 ==
== 정치 ==
== 정치 ==
에스라스타는 왕정의회가 있는데 의장은 국왕이고 42명의 의원이 존재한다.
{{차트/시작|정렬=중앙}}
의원은 각 주에서 3명씩 뽑는데 주로 전임 주지사가 뽑힌다.
{{차트|||||||||국|국=국왕}}
주지사는 각 주에서 투표로 뽑고 임기는 5년이다.
{{차트||,|-|-|-|-|-|-|-|+|-|-|-|-|-|-|-|.|}}
왕정의회에서는 법을 제정하고 왕정법원에선 법을 집행한다.
{{차트|행|~|~|~|~|~|왕||||||대|왕=왕정의회|대=대법청|행=행정청}}
당연히도 모든 기관의 우두머리는 국왕이다.
{{차트||)|-|-|-|v|-|-|-|v|-|-|-|v|-|-|-|.|}}
{{차트||!|||왕||재||외||방|왕=왕정청|재=재정청|외=외무청|방=방범청}}
{{차트||)|-|-|-|v|-|-|-|v|-|-|-|v|-|-|-|.|}}
{{차트||!|||과||교||자||해|과=과학청|교=교육청|자=자연청|해=해양청}}
{{차트||`|-|-|-|v|-|-|-|v|-|-|-|.|}}
{{차트|||||교||북||남|교=교통청|북=북방청|남=남방청}}
{{차트/끝}}


=== 행정 ===
에스라스타는 왕정의회 산하 공무청이 존재한다.공무청 산하에는 부처라 하는 세부 관리부서가 존재한다.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정부}}
에스라스타는 입헌군주국으로서 입법부인 왕정의회, 행정부인 공무청, 사법부인 대법청을 두어 기초적인 삼권분립 체제를 구축하였다. 당연히도 모든 기관의 우두머리는 국왕이다.


== 경제 ==
왕정의회는 각 주에서 3명씩 투표로 선출된 총 42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는데 주로 전현직 주지사가 뽑힌다. 수반은 총리로, 임기는 20년이며 내각불신임권을 가진다. 산하에 공무청이 존재하며, 11개의 부속청을 두고 있다. 각 청의 장관은 의원을 겸할 수 없으며 소속정당을 가져서도 안된다. 주지사는 각 주에서 투표로 뽑고 임기는 15년이다.
에스라스타의 경제는 상당히 안정되어 있는 편이다.
에스라스타는 해안3주라 하여 어업생산량이 특출난 3개의 주가 있는데 이 주에서 에스라스타의 어류 소비량의 80%가 생산된다.
그리고 수출 또한 항구가 많아 호황이다.


메데마 해안에 개통한 베하니아 항구로 엄청난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다.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아코아 4자협정}}


== 교육 ==
* [[페이시아 왕조]]
에스라스타는 기초교육 6년 , 본교육 3년 , 고등교육 4년 , 전문교육 3,4년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 [[테이아의 왕조]]
** [[카스메니의 왕조]]
** [[트우레의 왕조]]
** [[코르카냐의 왕조]]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교육}}
== 경제 ==
 
에스라스타의 경제는 상당히 안정되어 있는 편이다. 에스라스타는 해안3주라 하여 어업생산량이 특출난 3개의 주가 있는데 이 주에서 에스라스타의 어류 소비량의 80%가 생산된다. 그리고 수출 또한 항구가 많아 호황이다. 메데마 해안에 개통한 [[베하니아]] 항구로 엄청난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다.
== 4대 왕조 ==
== 행정 ==
[[테이아의 왕조]]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행정}}
 
[[카스메니의 왕조]]
 
[[트우레의 왕조]]


[[코르카냐의 왕조]]
== 사회 ==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사회}}


== 외교 ==
== 외교 ==
에스라스타는 [[남메디아]]에서도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외교관계가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다.
다만,4657년부터 [[베하니아]]의 항구가 개통되면서 메데마 연안의 국가와 교섭하려 노력 중이다.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외교}}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외교}}


에스라스타는 [[남메디아]]에서도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외교관계가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다. 다만, 4657년부터 [[베하니아]]의 항구가 개통되면서 메데마 연안의 국가와 교섭하려 노력 중이다.
== 문화 ==
== 문화 ==
에스라스타는 현재 약 10개의 민족이 있다.
하지만 과거 테이아민족의 탄압이 심했던 탓에 테이아민족의 문화에 다른 민족의 문화가 동화된 사례가 많다.
== 행정 구역 ==
주급:
[[fentuvek]],
[[mikak]],
[[vekolua]],
[[vehnia]],
[[vesitin]],
[[fengi]],
[[wali]],
[[narvia]],
[[tenore]],
[[hatsai]],
[[estan]],
[[pino-gis]],
[[kue-gis]],
[[gazja]],
특별주급: [[vehania]]
== 역사 ==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의 역사]]


[[에스라스타의 북동탐험 일지]]
== 교통 ==
{{본문|에스라스타 연방 왕국/교통}}


[[에스라스타의 메데마 확장 일지]]
== 도보게 ==
{{티크메디에르 구성국}}
{{티펠라트리아 구성국}}


== 각주 ==
== 각주 ==
[[분류:일반 국가]]

2024년 3월 17일 (일) 21:20 기준 최신판

+극해평의회기.png
티펠라트리아 국가평의회 회원국
[ 펼치기 · 접기 ]
총괄사무기구
아트리아 본부
안전보장기구
통합본부
경제통상기구
티크메디에르 본부
한해일출기.png
아나이
스카드기.png
스카드
에스라스타국기.svg
에스라스타
과학교육기구 사회통합기구 문화예술기구
Farum국기.png
파룸
뤼미에르-공화국.svg
뤼미에르
천도 국기.png
천도
식량농업기구 환경생태기구 국제종합보관소
대림만월기.png
타이림
비익기아기.png
키고
은국기.png
에스라스타국기.svg
Tempran Nuit Esrastien
역사 지리 군사 정치 경제
행정 사회 외교 문화 마법
틀 수정하기
Tempran Nuit Esrastien+
Karotainatio di'Esrasta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국기.svg
국기
상세 정보
[ 펼치기 · 접기 ]
상징색 에스라스타 블루(#26c1db)
에스라스타 옐로(#fff300)
역사
이전 형태 에스라스타 공국
에스라스타 4122년 6월 11일
지리
에스라스타 지도.png
수도 에스티헤
최대도시 에스티헤, 에토니아, 아흐크,
이누우쿠, 즈야라냐
문화권 남메디아 문화권
에스라스타 문화
인구
민족 분포 테이아인 34%, 카스메니인 27%,
트우레인 11%, 코르카냐인 14%,
기타 14%
어문
공용어 에스라스타어
지역어 베하니아어
종교
국교 페스냐교
정치
정치체제 입헌군주제
경제
통화 페사 (PE)
단위
기년법 자소크력, 에스라스타 연호
국가 코드
2자코드 ES
3자코드 ESR
한자약칭 (애)
다이아

개요

에스라스타는 남메디아에서도 제일 남쪽에 있는 연방 왕국이다. 바다와 상당 부분 맞닿아 있어 조선업과 어업이 발전되어 있다.

상징

국호

언어 명칭+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어 trempran nuit esrastien
바샨니 바샨니어 Ashuriselliy Vanir Anyamhteva
구오 사삼오일 839329 40 5559, 839329
세멘티 왕국 세멘티어 Mikamora sti Efr Esiráste
소노르 루허이니국 소노르어 Frithoŕane un Asŕent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es'Friymichniy k'Eshrastiy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Karotainatio di'Esrasta
AR 그룹 자텐다어 Vrónnuhabán 'Zrštá
크리상테스 왕국 크리상테스어 Regnum Unitéum Esrastas, l'Esraste
디누단마 퍈프소븜 gok naunt kmu esrasta
앙둔 제국 헤이어 Esrrasrta Ketse Digmuhazan(국내표준)
Esrasta Cetshe Dingvuhayan(국제표준)
대한민국 한국어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 에스라스타
중화민국 한문 涯首羅首妥聯邦王國 (애수라수타연방왕국)
안드로 안드로어 dptmfktmxk dusqkd dhkdrnr, dptmfktmxk
메다 메다어 jcngyfng'f jes;fa j/fakbx, jcngyfng'f

역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지리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지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군사

정치

국왕
행정청왕정의회대법청
왕정청재정청외무청방범청
과학청교육청자연청해양청
교통청북방청남방청


에스라스타는 입헌군주국으로서 입법부인 왕정의회, 행정부인 공무청, 사법부인 대법청을 두어 기초적인 삼권분립 체제를 구축하였다. 당연히도 모든 기관의 우두머리는 국왕이다.

왕정의회는 각 주에서 3명씩 투표로 선출된 총 42명의 의원으로 구성되는데 주로 전현직 주지사가 뽑힌다. 수반은 총리로, 임기는 20년이며 내각불신임권을 가진다. 산하에 공무청이 존재하며, 11개의 부속청을 두고 있다. 각 청의 장관은 의원을 겸할 수 없으며 소속정당을 가져서도 안된다. 주지사는 각 주에서 투표로 뽑고 임기는 15년이다.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아코아 4자협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경제

에스라스타의 경제는 상당히 안정되어 있는 편이다. 에스라스타는 해안3주라 하여 어업생산량이 특출난 3개의 주가 있는데 이 주에서 에스라스타의 어류 소비량의 80%가 생산된다. 그리고 수출 또한 항구가 많아 호황이다. 메데마 해안에 개통한 베하니아 항구로 엄청난 수입을 벌어들이고 있다.

행정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행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사회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사회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외교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에스라스타는 남메디아에서도 가장 남쪽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외교관계가 그리 활발한 편이 아니다. 다만, 4657년부터 베하니아의 항구가 개통되면서 메데마 연안의 국가와 교섭하려 노력 중이다.

문화

교통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에스라스타 연방 왕국/교통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보게

+ 티크메디에르의 국가와 지역
파일:Tasdia de sat.png다이와AR 에르뎀은 장성연맹구오 / 초월기계국가AR 세르네데AR 프레니처AR 프레니처AR 세요짐AR 일몰 제도 지사AR 일몰 제도 지사AR 오닉서커트AR 에르뎀AR 나지에셔트AR 베센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이렘나 무주지네라다 공민공화국셰헤카사 제도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자소크의 아마야스 주 정부가린다리 헌국쇠예흐 대제국도르나라세이안 왕국쟈헤나 섬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칼르신 공화국야마토-타코뤼 공동구역레프레누제의 툼라시니노 연방 공화국에카넥 왕국에스라스타 연방 왕국에스라스타의 베하니아 항구 특별주일라스파니스티칼리바리프노이헤멜바르트 제국세멘티 공국아르토이트 제국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주남메디아 산업단지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아나키스트 코뮌 연방아나키스트 코뮌 연방베레테르니유 신성국주펠레마 산업단지디메르테스 자치령남토이트 기사단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주노데 왕국칼로이디아천도주아트리아 산업단지피니투라-페투치아-레조넌스 제국파룸뤼미에르무르무르섬아나이 공화국한카 교회국칸다리 천문대호락존 안도주아트레니스카 산업단지신네 란부세가오크랍토스앙둔 제국터트족자소크 철학단크리상테스 왕국자소크 철학단에비타겐-밀리아 왕국에비타겐-밀리아 왕국극해 과학자와 군인과 인민 연합 코뮌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아브렌시아아브렌시아북 자소크 평의회모닉쇼 공화국북자소크 국가 통합 위원회라루단라루단주탄티샤 산업단지이룰 연방루시코와노베몰마디아 공화국유제이체 공화국그래그래 공화국레프레누제 연합대엔지 제국플리오센 공화국주레니스카 산업단지모하지 공화국신세이 왕국라졔르베라사떼 로요그리로아센셰스카테포투티칸 대제국테사시테스 자치령Tasdia de sat.png
은국기.png
에스라스타국기.svg
에스라스타
+ 티펠라트리아의 국가와 지역
극해평의회기.png
티펠라트리아
AR 헤브녀트.jpg
AR 관문도
오모나 자유국 국기.png
오모나

각주

  1. 2024년 6월 1일 06시 51분 42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3.0 3.1 3.2 3.3 3.4 3.5 3.6 기타 국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