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사론)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아직}} | {{아직}} | ||
{{규조}} | |||
{{언어 정보 | {{언어 정보 |
2024년 1월 19일 (금) 12:49 판
"지금이 몇년도인가요?"
+ |
---|
규조 · 규조어 (규조 문자) |
언어 계통 | 규조어족 규조어 |
---|---|
언어코드 | SL-DG |
사전 | 규조어_사전 |
규조어는 규조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메타적으로는 통사론적 모호함을 배제하는 콘셉을 가지고 만들어진 인공어이다.
언어 | 명칭+ |
---|---|
![]() |
Slengeus, Chlyngjus |
Slengeus, Tlyngüs | |
![]() |
규조어 |
![]() |
規條語 |
rbwhdj | |
k5lvjt |
음운론
자음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구개수 | 성문 | ||||||||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
파열 | p | b | t | d | kʲ 〈k〉 |
gʲ 〈g〉 |
(ʔ) | ||||||||
비 | m | n | |||||||||||||
전동 | χ 〈x〉 |
ʁ 〈r〉 |
|||||||||||||
마찰 | f | v | s | z | ʃ 〈cs〉 |
ʒ 〈cz〉 |
ç 〈c〉 |
ʝ 〈j〉 |
|||||||
파찰 | t͡s 〈ts〉 |
d͡z 〈dz〉 |
|||||||||||||
설측 마찰 | t͡ɬ 〈sl〉 |
d͡ɮ 〈zl〉 |
|||||||||||||
접근 | (j) | ||||||||||||||
설측 접근 | l |
모음
전설 | 중설 | 후설 |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원순 | |
고 | i | (y) | u | ||
중고 | e 〈ae〉 |
(ø) | o | ||
중 | ə 〈e〉 |
||||
저 | a |
이중모음
↗️ | a | e | i | o | u | |
---|---|---|---|---|---|---|
a | a | e | aj | aː | ||
e | ə | iː | əː | juː | ||
i | i | ja | jə | jo | ju | |
o | o | ø | wi | oː | ||
u | u | wa | yː |
표기 규칙
- 기본적으로 유성음 표기도 무성음 표기를 우선한다.
- 즉, 대부분 유성음으로 발음한다.
- 어두에서는 표기를 그대로 발음에 반영한다.
- 모음 연쇄로 인한 음절 구분이 필요한 경우 억음 부호(`)를 사용한다.
- Vaìoulet /va.ʝoː.lət/
발음 규칙
- 음절이 n으로 끝나면 해당 음절의 모음을 비음화한다.
- 음절이 s, sl, cs, c로 끝나면 유음화하지 않는다.
- 음절이 z로 시작하면 z를 /t͡s/로 읽는다.
- 음절의 초성이 지정되어있지 않으면 /ʔ/로 읽는다.
- 단, 음절이 /j/로 시작한다면 /j/를 /ʝ/로 바꾸는 것으로 대체한다.
- /d/, /b/가 어말에 오면 각각 /t/, /p/로 발음한다.
예시
- Aemasceon /ʔe.ma.ʒə̃ː/
- Cat /çad/
- Gatuil /gʲa.dyːl/
- Cennesleus /çə̃.nə.d͡ɮjuːs/
- Gajeiva /gʲa.ʝiː.va/
- Aetsen Afijoun /ʔe.d͡zə̃ ʔa.fi.ʝõː/
- Zasok /za.zokʲ/
문자
자세한 내용은 규조 문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통사론
자세한 내용은 규조어/문법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규조어의 통사론에서는 단어 뒤에 오는 단어는 통사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것으로 본다. "Zen cat"라는 명사구가 있을 때 cat는 zen을 수식하는 단어로 작용하여 zen의 의미를 추가하는 것이다.
품사
규조어의 단어는 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연결사, 조사, 접사, 미사, 수형사, 감탄사의 10개 품사로 이루어진다.
- 접사(接詞)는 주로 명사 앞에 붙어, 명사에 뜻을 더해주는 단어이다.
- 미사(尾詞)는 서술어를 꾸미는 단어로, 현재진행이나 사동, 피동과 같은 서술어의 형태를 나타낸다.
- 수형사(樹形詞)는 통사적 구조를 명시적으로 꾸미는 단어이다.
문장
문장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어미 ::= 미사 격구 ::= 조사 명사구 서술어구 ::= 어미 동사 | 서술어구 격구 합성어 ::= 명사 명사 | 명사 합성어 준명사 ::= 명사 | 합성어 불완전명사구 ::= 서술어구 조사 명사구 ::= 준명사 | 준명사 형용사 | 명사구 불완전명사구 문장 ::= 명사구 불완전명사구 | 서술어구
"Kerat mu zlen cat non zon."은 "사람이 맛있는 사과를 먹었다.Orüdè lo Vesin dé fontlan da Quorsin."이라는 뜻의 문장이다. 문장은 "서술어 조사 명사 조사 명사 …"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미사어와 동사는 합쳐져 서술어로써 수형도에 함께 위치하게 되고, 조사가 등장할 때마다 가장 마지막에 등장한 서술어로 커서가 옮겨간다.
명사구
명사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어미 ::= 미사 격구 ::= 조사 명사구 서술어구 ::= 어미 동사 | 서술어구 격구 합성어 ::= 명사 명사 | 명사 합성어 준명사 ::= 명사 | 합성어 불완전명사구 ::= 서술어구 조사 명사구 ::= 준명사 | 준명사 형용사 | 명사구 불완전명사구
"Zon kerat mu zlen rat non."맛있는 사과를 먹은 사람은 문장을 사용하여 명사구를 꾸미는 예시이다. 명사 뒤에 조사에 대한 명사가 없는 불완전한 문장이 오면 해당 비어있는 부분을 서술받는 명사가 대신하여 의미를 나타낸다. 따라서 上記한 예문과 "Kerat mu zlen rat non zon"는 같은 상황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전자는 사람을 나타내는 것인 반면, 후자는 문장일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