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269번째 줄: | 269번째 줄: | ||
=== 사칙연산 === | === 사칙연산 === | ||
(숫자) + on/inon/ceren/inceren<ref>순서대로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ref> + (숫자) + anoin(은/는) | (숫자) + on/inon/ceren/inceren<ref>순서대로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ref> + (숫자) + anoin(은/는) + [숫자(답)] | ||
== 각주 == | == 각주 == |
2023년 3월 12일 (일) 19:28 판
셰스카테어의 문법을 담은 문서다.
특징
자소크어의 문법에 영향을 받았으며, 보조사도 대부분 자소크어가 어원이다.
표기
양음부호
1. 셰스카테어에선 같은 모음이 한번에 올 수 없다. 그래서 셰스카테어에서 모음이 겹칠 때에는 보통 양음부호로 표현한다.
예: Scheskattee --> Scheskatté
2. 양음부호는 같은 모음이 겹칠 때 쓰는 용도 외에 이 단어가 문법적 요소가 있음을 나타낼 때에도 사용된다.
예: 이 단어가 수식어임을 알리는 조사 -né, -'é
3. 양음부호는 종종 다른 단어와 겹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한다
예: Mera 1인칭 단수 --> Merá 1인칭 단수 소유격
양음부호의 발음은 언제나 1개다.
예) ei = [아이]
eí 또는 éi [에이]
그 외
1. Q는 언제나 U와 함께 쓴다.
예: Qa X --> Qua
2. e와 ö는 같이 쓸 수 없다
그래서 e와 ö가 같이 올 땐 e를 생략하고 ö만
3. 인칭대명사는 언제나 대문자로 쓴다.
예: mera X --> Mera
4. 4. x가 맨앞에 올때에는 h를 붙여준다
xes X --> hxes O
관사
Il
특정한 대상을 지목할 때 쓰는 관사. 정관사.
예: Il nusaben 그 단체
Önt
특정한 대상을 높여 부를 때 쓰는 관사
Önt kuruku 쿠루쿠님
대명사
인칭대명사
1인칭 | 2인칭 | 3인칭 제1[3] | 3인칭 제2[4] | 3인칭 제3[5] | 부정칭 | |
---|---|---|---|---|---|---|
단수 | Mera | Nera | Hiru | Hiro | Hira | Sira |
복수 | Meras | Neras | Hirus | Hiros | Hiras | Siras |
소유격 단수 | Merá | Nerá | Hirú | Hiró | Hirá | Sirá |
소유격 복수 | Merás | Nerás | Hirús | Hirós | Hirás | Sirás |
지시대명사
단수 | 복수 | |
---|---|---|
이것 | his | hes |
저것, 그것 | quis | ques |
명사
보조사
조사 | 기능 | 의미 |
---|---|---|
lo | 목적격 | -을/를 |
da | 주격 | -이/가 |
ul | 내격, 내보조격 | -에, -에는 |
své | 소격, 소보조격 | -에서, -에서는 |
zlet | 인용격 | -(이)라고 |
zlen | 가정격 | -라면, -라고 친다면 |
gro | 야격 | -도, -역시 |
ad | 공동격[6] | -와/과 |
gi | 여격, 여보조격 | -에게 |
be | 시발격 | -부터, -에서부터 |
to | 종착격 | -까지 |
-'trad | 서격 | -번째 |
né | 속격 | -의 |
növ | 향격 | -로, -향해 |
gá | 사용격 | -로 |
öre | 부사격 | -처럼, -(와)같이 |
né
기본적으로 속격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수식어를 나타낼 때에는 접사(-né)로 쓴다.
-né가 두 번 이상 올 때에는 뒤에 오는 -né는 생략한다.
단어가 모음으로 끝난다면 ' + (다이어크리틱 있는 끝 모음)으로 쓸 수 있다.
단어가 -m으로 끝난다면 ' + é 로 쓸 수 있다[7]
동사
어미
시제 | 실현 방법 | 양상 | 의미 |
---|---|---|---|
대과거 | -éa | iroséa | 했었다, 하곤 했다. |
과거 | -éi | iroséi | 했다. |
현재 | -íz | irosíz | 하고 있다. |
일반 | -un[8] | irosun | 한다. |
미래 | -úd | irosúd | 할 것 이다, 하겠다. |
대과거는 현재와 단절 되어있을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난 11살이었다."는 지금은 11살이 아니므로 대과거를 써야한다.
형태 | 실현 방법 | 실현 양상 | 뜻 |
---|---|---|---|
피동 | -úque | irosúque | 당한다 |
가능 | -út | irosút | 할 수 있다 |
불가능 | -nóun | irosnóun | 할 수 없다 |
필요 | -únes | irosúnes | 해야 한다 |
욕구 | -úr | irosúr | 하고 싶다 |
부정욕구 | -nóur | irosnóur | 안 하고싶다 |
사동 | -ás | irosás | 시킨다 |
가정 | -úsa | irosás | 하면 |
부정 | -nós | irosnós | 하지 않는다 |
명령 | -ál | irosál | 해라, 해줘 |
청유 1 | -ása | irosása | 하자 |
청유 2 | -úns | irosúns | 해주세요, 하자 |
양보 | -ós | irosós | 했더니 |
명사 | -lén / -én[9] | durtelén / irosén | 굽기, 굽는 것 / 하기, 함, 하는 것 |
이유 | -úls | irosúls | 하니까 |
과정 | -refé | irosrefé | 하고, 해서 |
비록 | -éux | iroséux | 할지라도 |
반전 | -já | irosjá | 하지만 |
확신 | -zé | iroszé | 한다, 하겠다, 할 것이다 |
또는 | -arós | irosarós | 하거나 |
공동/연결 | -adún | irosadún | 하면서, 하며 |
의문
시제 어미, 또는 형태 어미 뒤에 á를 쓴다.
예: irosun 하다 --> irosun á? 하니?
하지만 구어체에선 잘 안쓰인다.
상
셰스카테어에서 상은 어두가 뭐가 붙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셰스카테어는 원래 상이 없었지만 풀르어에게 영향을 받으면서 점차 생기기 시작했다.
완료법
형태/뜻 | 실현 방법 | 실현 양상 |
---|---|---|
완료/막/이미 ~ 했다 | pés- | pésiros |
경험/~한 적이 있다 | lés- | lésiros |
진행/지금까지 계속 ~해 왔다 | tén- | téniros |
결과/~해버렸다 | més- | mésiros |
현재 완료로 쓴다면 접두사가 현재의 의미도 같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현재 시제 어미 -un을 안 쓴다.
하지만 과거 완료로 쓴다면 과거 시제 어미 -éi를 써야한다.
수
숫자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셰스카테어 | eim | ien | liet | so | fa | til | lu | le | aiz | fle |
숫자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셰스카테어 | dos | dosien | dosiet | doso | dosa | dosil | dosu | dose | dosaiz | dosle |
숫자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셰스카테어 | ros | rosien | rosiet | roso | rosa | rosil | rosu | rose | rosaiz | rosle |
숫자 | 30 | 40 | 50 | 60 | 70 | 80 | 90 | 100 | 200 | 300 |
셰스카테어 | lietz | sol | fal | tilz | lul | lel | aizez | ienges | lietges | soges |
숫자 | 1000 | 2000 | 3000 | 4000 | 10000 | 20000 | 100,000 | 100,000,0 | 100,000,00 | 100,000,000 |
셰스카테어 | ienelas | lietelas | soelas | faelas | ienlas | lietlas | ienafe | ienofe | ienufe | ienyfe |
사칙연산
(숫자) + on/inon/ceren/inceren[10] + (숫자) + anoin(은/는) + [숫자(답)]
각주
- ↑ 2025년 5월 25일 23시 19분 18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그것, 그 사람
- ↑ 그
- ↑ 그녀
- ↑ '그리고'라는 뜻도 있다.
- ↑ 접사일 때
- ↑ -un에 디아크리틱 없어서 헷갈릴 수 있지 않냐고 할 수 있지만, -un은 동사에만 해당되고, 그 외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 ↑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면 -lén을 쓰고, 자음으로 끝나면 -én을 쓴다
- ↑ 순서대로 더하기, 빼기. 나누기, 곱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