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트}} | {{사트}} | ||
[[날짜 형식]]은 [[자소크력]] 날짜의 세 요소인 년, 월, 일을 어떻게 표현하는 지에 대한 것이다. | [[날짜 형식]]은 [[자소크력]] 날짜의 세 요소인 년, 월, 일을 어떻게 표현하는 지에 대한 것이다. 표현 방식 비교를 위한 예시 날짜는 5000년 3월 7일로 한다. | ||
== 현존 국가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국가 ! | ! style="width:20%;" | 국가 | ||
! style="width: | ! style="width:10%;" | 형식 | ||
! style="width:70%;" | 설명 | |||
|- | |- | ||
| {{ | | {{국가코드|앙둔 제국}}<br>{{국가코드|기피다네리르}} || YMD || | ||
# <code>yyyy. m. (d)d.</code><br>→ 5000. 3. 7. | |||
# <code>yyyy-g m-t (d)d-k</code><ref>순서대로 '''g'''inin(해류), '''t'''uwa(열기), '''k'''olmir(빛)에서 따온 것이다. 다만 이는 육상 진출 이후에 도입한 것으로, 문장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아직까지도 [[회유력]] 방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ref><br>→ 5000g 3t 7k | |||
|- | |||
| {{국가코드|플리오센 공화국}} || MDY || | |||
# <code>m. (d)d. yyyy.</code><br>→ 3. 7. 5000. | |||
|- | |||
| {{국가코드|칼라만다리 연방}}<br>{{국가코드|칸다리 천문국}} || YMD || | |||
# <code>yyyy. m. (d)d.</code><br>→ 5000. 3. 7. | |||
|- | |||
| {{국가코드|란카헤 연방}} || DMY || | |||
# <code>(d)d. m. yyyy.</code><br>→ 7. 3. 5000. | |||
|- | |||
| {{국가코드|무르무르섬}} || YDM || | |||
# <code>yyyy. (d)d. m</code><br>→ 5000. 7. 3 | |||
# <code>yyyy Ghánge (d)d-Te-m</code><ref name="monthname">m은 월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ref><br>→ 5000 Ghánge 7-Tethótan | |||
|- | |||
| {{국가코드|피페레 제국}} || DMY || | |||
# <code>(d)d. m. yyyy.</code><br>→ 7. 3. 5000. | |||
|- | |||
| {{국가코드|은 장성연맹}} || DMY || | |||
# <code>(d)d. m. yyyy.</code><br>→ 7. 3. 5000. | |||
# <code>Fakas-D Fakae-M Oge-Y</code><br>→ Fakas7 Fakae3 Oge5000<ref>원어로는 "Fakafinfakaetempetogeamuwutanke"라고 한다.</ref> | |||
|- | |||
| {{국가코드|시메타시스}} || YDM || | |||
# <code>yyyy. (d)d. m</code><br>→ 5000. 7. 3 | |||
# <code>yyyy Aerge (d)d-Te-m</code><ref name="monthname">m은 월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ref><br>→ 5000 Aerge 7-Tesotal | |||
|- | |||
| {{국가코드|자소크 철학단}} || YDM || | |||
# <code>yyyy. (d)d. m</code><br>→ 5000. 7. 3 | |||
# <code>yyyy Ärgê (d)d-Té-m</code><ref name="monthname">m은 월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ref><br>→ 5000 Ärgê 7-Tésotal | |||
|- | |||
|} | |||
== 멸망한 국가 == | |||
{| class="wikitable sortable" | |||
! style="width:20%;" | 국가 | |||
! style="width:10%;" | 형식 | |||
! style="width:70%;" | 설명 | |||
|- | |||
| {{국가코드|아사}} || YMD || | |||
# <code>yyyy. m. (d)d.</code><br>→ 5000. 3. 7. | |||
|- | |||
| {{국가코드|헤스할디레}} || YMD || | |||
# <code>yyyy. m. (d)d.</code><br>→ 5000. 3. 7. | |||
|- | |||
| {{국가코드|스샤툴루아}} || YMD || | |||
# <code>yyyy. m. (d)d.</code><br>→ 5000. 3. 7. | |||
|- | |||
| {{국가코드|울타펭차르}} || YMD || | |||
# <code>yyyy. m. (d)d.</code><br>→ 5000. 3. 7. | |||
|- | |- | ||
|} | |} | ||
== 각주 == | == 각주 == |
2022년 12월 17일 (토) 01:47 판
날짜 형식은 자소크력 날짜의 세 요소인 년, 월, 일을 어떻게 표현하는 지에 대한 것이다. 표현 방식 비교를 위한 예시 날짜는 5000년 3월 7일로 한다.
현존 국가
국가 | 형식 | 설명 |
---|---|---|
YMD |
| |
![]() |
MDY |
|
![]() ![]() |
YMD |
|
DMY |
| |
YDM |
| |
![]() |
DMY |
|
![]() |
DMY |
|
YDM |
| |
YDM |
|
멸망한 국가
국가 | 형식 | 설명 |
---|---|---|
![]() |
YMD |
|
![]() |
YMD |
|
![]() |
YMD |
|
![]() |
YMD |
|
각주
- ↑ 2025년 5월 29일 21시 20분 39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 ↑ 순서대로 ginin(해류), tuwa(열기), kolmir(빛)에서 따온 것이다. 다만 이는 육상 진출 이후에 도입한 것으로, 문장으로 표현하고자 할 때에는 아직까지도 회유력 방식이 압도적으로 많이 쓰인다.
- ↑ 4.0 4.1 4.2 m은 월 이름을 나타내는 단어
- ↑ 원어로는 "Fakafinfakaetempetogeamuwutanke"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