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번째 줄: |
5번째 줄: |
| == 기년법 == | | == 기년법 == |
|
| |
|
| 현재 [[사트]]에서 사용되는 기년법에는 다음이 있다.
| | {{본문|사트/기년법}} |
| | |
| * {{국호|자소크 철학단}}, [[자소크력]]: [[자소크력]] ± 0
| |
| * {{국호|한카 교회국}}, [[한카력]]: [[자소크력]] + 8191.5
| |
| * {{국호|앙둔 제국}}, [[회유력]]: [[자소크력]] - 1999
| |
| * {{국호|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 [[코르력]]: [[자소크력]] - 3276
| |
| * {{국호|이렘나 철랑대}}, {{국호|자텐다 황금전단}}, {{국호|세멘티 공국}} [[파랑력]]: [[자소크력]] - 3095 - (87 / 176)
| |
| | |
| 사트 외 타 천체에서 사용되는 기년법에는 다음이 있다. | |
| * [[라그마]]
| |
| ** [[메시나력]]: 창기 / (73/44)
| |
| | |
| === [[사트]] ===
| |
| | |
| ==== [[자소크]]력 ====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자소크력}}입니다.</big>
| |
| |}
| |
| | |
| 사트는 지구에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의 단위도 다르다. 자소크력에서는 1년이 8개월로 나뉘고 한 달은 22일로 나뉜다. 사트는 정확히 176일마다 [[젤리]] 주위를 한 바퀴 돌기 때문에 윤년이나 윤초 등의 시간 보정법은 사용하지 않는다.
| |
| | |
| 자소크의 1년은 지구의 1년에 비해 약 595/404배 빠르다. 이는 지구의 1년이 사트의 약 1.4727년에 해당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사트의 1년은 지구의 0.6789년(247일 19시간 57분 58.991597초)이다.
| |
| | |
| 하지만 사트와 지구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약 299,792,319.412478 m/s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시간의 상대성을 보인다. 따라서 사트는 지구와 상호작용할 때에 자소크의 시간대를 사용하는데, 이때 자소크력 일주일이면 지구에서는 약 20년이 지난다.
| |
| 따라서 Python의 sat-datetime 라이브러리에서는 자소크력 기준일인 2017년 12월 25일 자정부터 지금까지를 일수로 나타내어 7로 나누고 20을 곱한 값을 자소크력 년으로 계산한다.
| |
| | |
| 자소크력의 연초·연말 기준은 춘분이므로, 자소크력으로 1월 1일은 사트가 춘분점에 있는 시점이 된다. 따라서 5월 1일은 추분점, 3월 1일과 7월 1일은 각각 하지와 동지이다. 따라서 8~1월은 봄, 2~3월은 여름, 4~5월은 가을, 6~7월은 겨울이 된다. 이는 북반구에 있는 자소크가 기준이므로, 남반구에 있는 국가들은 8~1월이 가을, 2~3월은 겨울, 4~5월이 봄, 6~7월이 여름이 된다.
| |
| | |
| [[광부위키]]에서 자소크력은 [[틀:자소크력]]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 |
| | |
| {{자소크력 천년기}}
| |
| | |
| 자소크력 기원전도 1월 1일부터 8월 22일까지를 가진다. 자소크력에는 0년이 있으며, -1년을 기원전 1년이라고 한다. 즉, -1년과 기원전 1년은 같은 말이다. 0년 1월 1일의 전 날은 -1년 8월 22일이다.
| |
| | |
| ==== 한카력 ====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한카력}}입니다.</big>
| |
| |}
| |
| | |
| 한카력은 {{국기|한카 교회국}}과 {{국기|칼라만다리 연방}}에서 사용하고 있는 기년법이다. 한카력은 [[십사처교]]에서 사트 지성체들이 처음으로 영혼을 부여받았다고 믿는 날을 0년 1월 1일로 정했다. 자소크력과는 정확히 8191.5년 차이가 나고, 1년에 8개월·1달에 22일이 있는 것은 자소크력과 동일하다.
| |
| | |
| 한카력은 자소크력과 반대로 남반구의 국가들이 8~1월은 봄, 2~3월은 여름, 4~5월은 가을, 6~7월은 겨울이 된다. 북반구의 국가들은 8~1월이 가을, 2~3월은 겨울, 4~5월이 봄, 6~7월이 여름이 된다.
| |
| | |
| | |
| ==== [[회유력]] ====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회유력}}입니다.</big>
| |
| |}
| |
| | |
| [[자소크력]]과 더불어 {{국호|앙둔 제국}}의 공식 기년법이다. 본디 메타계의 24절기와 같이 생활의 편의성을 위한 보조적인 역할만을 수행했으나, 점차 개국기원 문화와 결합하면서 [[앙둔 제국]]의 고유하고 전통적인 기년법으로 자리 잡았다.
| |
| | |
| 기원은 개국일인 1999년 3월 19일이다. [[회유력]]만 사용하던 시절에는 해당일을 입추로 보고 날을 정한 것이었으나, 육상 진출 후에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윤일 3일을 추가하여 [[자소크력]]과 월일을 맞추었다.
| |
| | |
| ====[[코르력]]====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코르력}}입니다.</big>
| |
| |}
| |
| | |
|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과 [[세멘티 공국]]에서 [[자소크력]], [[파랑력]]과 함께 사용되는 기년법이다. 원년은 [[제 4차 메디아 해협 공세]]가 끝난 3276년 8월 20일이다.
| |
| 원래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에서는 [[코르력]], [[파랑력]]만 사용했으나, [[자소크 철학단]]을 알게 된 이후 [[자소크력]]도 공식 기년법으로 인정하고 사용하고 있다.
| |
| | |
| 자소크력 도입 이후, 코르력과 자소크력을 맞추기 위해 윤일 2일을 추가하였다.
| |
| | |
| ====[[가베제국독자연호]]====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가베력}}입니다.</big>
| |
| |}
| |
| | |
| {{국기|가베 제국}}에서 사용하는 연호이다. 월법, 일법은 자소크력과 같고 년법만 자소크력과 다르다.
| |
| 자세한 연호는 [[가베 제국/왕조]]참고.
| |
| | |
| ====[[파랑력]]====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레나루의 아이들아, 우리의 발자취가 흐른지 {{파랑력}}만큼의 시간이 흘렀단다.</big>
| |
| |}
| |
| | |
| [[이렘나 철랑대]], [[자텐다 황금전단]], [[세멘티 공국]]과 같은 파랑계 국가 및 [[상 프레니처]]와 같은 카둔계 국가들,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에서 사용되는 기년법이다. 원년은 [[파랑인]]들이 [[레나루 호수]]에 결집한 3095년이다.
| |
| 1, 3, 6, 7, 9월은 17일, 2, 5, 8, 10월은 18일로 이루어져 있다. 4월은 특별하게 19일까지 존재한다. 이것은 [[레나루 호수]]의 긴 겨울을 반영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 |
| | |
| [[파랑력]]을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10월 13일 ~ 3월 6일을 가을, 3월 7일 ~ 5월 18일을 겨울, 6월 1일 ~ 8월 6일을 봄, 8월 7일 ~ 10월 12일을 여름으로 본다. [[파랑력]]에서는 가을을 한 해의 시작으로 본다.
| |
| | |
| ====[[셀렌드리얼 전례력]]====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셀렌드리얼}} {{#expr: floor({{자소크력 년}} - 2003)}}년 입니다.</big>
| |
| |}
| |
| | |
| [[셀렌드리얼 전례력]]은 [[피페레 제국]]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기년법으로, [[시띵]]이 탄생한 해인 자소크력 기준 2003을 기준으로 1년을 세는 역법이다. 1년은 6개의 달로 한달에 35일이 있으며, 6번째 달은 윤달이다. 1~2월이 봄, 3월이 여름, 4월이 가을, 5월이 겨울, 6월은 겨울과 봄의 사이쯤 되는 짧은 기간이다. 35일에서 주는 3주가 있으며, 1,2번째 주는 12일, 마지막 3번째 주는 11일이다.
| |
| | |
| [[레조넌스]]의 최남부 도시 [[셀렌드리얼]]에서 연구되어 내려오는 역법으로, 셀렌드리얼에서 만들어져 셀렌드리얼 역법이라 불리며, 현재는 정부에서 [[자소크력]]을 행정역법으로 사용하여 전례적으로 사용한다 하여 전례력이라 부른다. 자소크력이 수입된 이후에도 자소크력은 수도인 로토시아 부근에서만 쓰이며, 지방에서는 압도적으로 쓰이는 역법이기도 하다.
| |
| | |
| === [[라그마]] ===
| |
| | |
| ==== 메시나력 ====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메시나력}}입니다.</big>
| |
| |}
| |
| | |
| 메시나력은 {{국기|한카 교회국}}과 {{국기|칼라만다리 연방}}에서 [[라그마]] 탐사를 위해 고안한 역법이다. 한카력과 시작 날짜는 같지만, 사트의 공전주기가 [[라그마]]의 73/44배(약 1.65909배)이기 때문에 그만큼 느리다. 라그마는 1년이 365일이므로, 한 해를 16개월 23일(4월, 8월, 12월은 22일)로 나누게 된다.
| |
| | |
| ==== 루시타력 ====
| |
| | |
| {| class="wikitable"
| |
| ! <big>지금은 {{루시타력}}입니다.</big>
| |
| |}
| |
| | |
| {{국호|루시타 민주 연방}}이 건국된 해이자 당시 에스텔 레아토리스가 집권하던 원년인 1924년부터 쓰이기 시작한 달력. 메시나력으로 계산했을 때를 이야기한 것으로, 기존에 쓰이던 역법은 기록이 말살되어 알 수 없다. 루시타력은 종교적 색채를 지우기 위해 색깔 이름을 붙여 {{후리가나|월 화 수 목 금 토 일|月 火 水 木 金 土 日}} 대신 {{후리가나|자 도 청 녹 황 적 백|紫 桃 靑 綠 黃 赤 白}}이라고 하고, 국민 전원에게 각자의 휴일을 배당해 자기의 휴일에 쉬도록 한다. 가족 단위인 경우 그 가족을 하나로 묶어 휴일을 배정한다. 단 혁명기념일이나 노동자의 날(=노동절)과 같은 중요 행사에는 모두가 공휴일이다.
| |
| | |
| === 새로운 기년법 개발 방법 ===
| |
| | |
| [[사트]]에서는 [[자소크력]]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자소크력을 기반하여 새로운 기년법을 만드는 것이 편리하다. 제이위키에서 기년법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틀:자소크력 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표현식을 통해 기년법을 문서 내에서 작성해둘 수 있다.
| |
| | |
| {| class="wikitable"
| |
| ! style="width: 50%;" | 표현식
| |
| ! 미리 보기
| |
| |-
| |
| | <pre>{{#expr: floor({{자소크력 년}} - 4000)}}</pre>
| |
| | {{#expr: floor({{자소크력 년}} - 4000)}}
| |
| |}
| |
| | |
| 마찬가지로, 현재 [[라그마]]에서는 사트의 자소크력처럼 기반이 될 수 있는 [[메시나력]]이 만들어져 있으므로, 위 식에서 자소크력만 메시나력으로 바꾸는 식으로 만들면 된다.
| |
| | |
| === Python 구현 ===
| |
| | |
| 자소크력의 Python 구현은 [https://pypi.org/project/sat-datetime/ sat-datetime 라이브러리]를 통해 할 수 있다. 이 라이브러리에 따르면, 다음 Python 코드는 현재 자소크의 시간을 출력한다.
| |
| | |
| from datetime import datetime
| |
|
| |
| from sat_datetime import SatDatetime
| |
|
| |
| now = datetime.now()
| |
| sat_datetime = SatDatetime.get_from_datetime(now)
| |
|
| |
| print(sat_datetime) # 4165. 13. 2. 23:41:28.590850
| |
|
| |
|
| == 시차 == | | == 시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