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둔 제국/경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사트}}
{{사트}}
{{앙둔}}
{{앙둔}}
{{앙둔 경제}}
==개요==
==개요==
[[앙둔 제국]]의 경제를 다루는 문서.
[[앙둔 제국]]의 경제를 다루는 문서.
25번째 줄: 26번째 줄:
==기업==
==기업==
==무역==
==무역==
[[앙둔 제국]]은 '''산업단지'''<small>([[헤이어]]: Gifidanerir)</small>라는 이름의 무역 거점을 대륙마다 설치하여 운영하는데, 그 배경은 다음과 같다. [[자소크력]] 4630년 5월 4일 19대 [[켸피투]]로 즉위한 [[곈할라 앙둔]]은, 그동안 한정적이고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쳤던 대외무역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곈할라 앙둔]]은 대륙마다 무역 거점을 확보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고,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나갔다. [[갑인]]은 해저에 사는 민족이기 때문에, 육상의 다른 국가들을 상대하기 위해 생겨난 현상인 것이다. {{자소크력}} 기준으로 확보한 무역 거점은 다음과 같다.
{{본문|앙둔 제국/무역}}
 
* {{국기그림|이렘나 철랑대}} [[주북메디아 산업단지]]: 수교국인 [[이렘나 철랑대]]와 [[이렘나-앙둔 산업무역협정]]을 체결하여 [[서부 기사단 지역]] [[세셸브 지방]]에 설치한 산업단지이다. [[다이와]]-[[구오]]-[[이렘나]]-[[앙둔]]에 걸친 무역 벨트를 가지고 있어 사실 상 [[프로테바]]까지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렘나]]의 영토를 임차하는 대신 중개무역을 맡겼기 때문에 [[북메디아]]에서 [[이렘나]] 외에는 직접적인 거래를 하지 않는다.
* {{국기|주아트리아 산업단지}}: [[우이뇨르데]]와 [[에괴자욤]]의 주권을 이양받아 설치한 산업단지이다. [[앙둔 제국]]이 단지 내 상공업시설의 감독권을 보장하여, 사실상 자치령처럼 운영된다. [[아트리아]]에 위치한 수교국인 [[피페레 제국]]·[[뤼미에르 공화국]]·[[한카 교회국]]에 대한 무역을 맡고 있다.
 
앞으로 확보해야 할 무역 거점 후보지는 다음과 같다. 상황 진전에 따라, 몇몇 후보지는 통합될 가능성이 크다.
 
* [[주남메디아 산업단지]]
* [[주펠레마 산업단지]]
* [[주탄티샤 산업단지]]
* [[주레니스카 산업단지]]
 
==여담==
==여담==
==도보게==
==도보게==
* [[앙둔 제국]]
* [[앙둔 제국]]
==각주==
==각주==

2022년 9월 5일 (월) 17:53 판

+ 앙둔국장.png
Agdun Exurop
역사 지리와 행정구역 문화
경제 정치와 군사 외교
+ 앙둔국장.png
앙둔 제국의 경제
자원 산업 기업 무역
앙둔 제국의 산업단지
서부산단
(주북 · 주남)
남부산단
(주아 · 주배)
동부산단
(주이)
대양산단
(단양 · 아양)

개요

앙둔 제국의 경제를 다루는 문서.

자원

  • 수산물
    • 갑각류
    • 두족류
    • 산호석
    • 어류
      • 복어
    • 해조류
      • 우뭇가사리
      • 다시마
      • 미역
      • 감태
  • 광물

산업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앙두니으 기피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기업

무역

사트.svg 자세한 내용은 앙둔 제국/무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여담

도보게

각주

  1. 2025년 5월 29일 16시 20분 39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