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사건을 다룹니다.
"지금이 몇년도인가요?"
"지금이 몇년도인가요?"
자소크어 키릴 문자 표기법(Zasospikapotamodifia die Kiriláravîta)은 라루단 연방 ???에서 사용되는 자소크어의 키릴 문자 표기법이다.
표기법
기본적으로 키릴 문자 표기법은 라틴 문자로 표기한 자소크어와 다음과 같은 대응 표를 가진다.
라틴 문자 | G | N | M | S | D | V | Z | L | X | K, QU | T | P | C | H | R | F | A | Y | O | U | I | E | É |
---|---|---|---|---|---|---|---|---|---|---|---|---|---|---|---|---|---|---|---|---|---|---|---|
키릴 문자 | Г | Н | М | С | Д | В | З | Л | Ш | К | Т | П | Ч | Н | Р | Ф | А | Ы | О | У | И | Е | Э |
트레마(자소크어: Lizunÿtiskie)가 붙은 문자의 표기는 다음과 같이 한다.
라틴 문자 | Ä | Ÿ | Ö | Ü | Ï | Ë |
---|---|---|---|---|---|---|
키릴 문자 | Я | Ў | Ё | Ю | І | Є |
- я Штело – ä Extelo
- юрпат – ürpat
곡절 부호(자소크어: Asmotiskie)가 붙은 문자의 표기는 문자를 2개 써서 한다. 단, é와 합성해서 만들어진 곡절 부호는 é에 의한 표기를 따른다.
- Аравиита - Aravîta
- Крифьеэси – Krifêsie
억음 부호(자소크어: Sagoritiskie)가 붙은 문자의 표기는 어근의 시작 또는 끝에 ь를 붙이는 것으로 대신한다.
- Потаьуке – Potaùquê
- Наьштелоьоме – Nàxtelôme
양음 부호(자소크어: Virogatiskie)는 원형을 밝히는 것으로 대신한다.
- Лаз фолоесулах Эуат – Laz foløsulah Úat
Ø는 ое로 적는다.
- Фолоем – Foløm
각주
- ↑ 2025년 5월 29일 22시 15분 27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 7개 회사 전원
- ↑ 3.0 3.1 세멘티 왕국 설립과 동시에 탈퇴
- ↑ 크리상치아 내전으로 멸망
- ↑ 종속국인 아르토이트령 네즈니베 · 아르토이트령 무후니아 · 세멘티-네라크뤼스 공국도 동참하였다.
- ↑ 헤멜바르트 제국은 일라스판 · 눌루베즈 · 헤세남 등 3개 도시만 별도 가입하였으며, 총사무소는 헤세남에 위치한다.
- ↑ 올리뵈, 키미아, 루에나데스, 리브렌스카
- ↑ 일반적인 자소크어와 조금 차이가 있는 셰스카테 자소크어를 사용한다
- ↑ 종교 및 외교 분야에서 사용하며,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와기제 리 자소크어이다.
- ↑ 표준 자소크어가 아닌 갑인 자소크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