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셀어/표준

Junhg0211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8일 (수) 19:16 판 (새 문서: {{사트}} ==음운== ===자음===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colspan="2" | ! 양순음 ! 순치음 ! 치음 ! 치경음 ! 후치경음 ! 치경구개음 ! 권설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colspan="2" | 비음 | [m]〈m〉<br> [mʲ]〈mh〉 | colspan="4" | [n] 〈n〉 | [nʲ] 〈ń〉 | [ɳ] 〈nŷ〉 | [ɲ] 〈nh〉 | [ŋ] 〈ğ〉 | | |- ! rowspan="2" style="vertical-align:middle;" | 파열음 ! 무성음 | [p]...)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음운

자음

양순음 순치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치경구개음 권설음 경구개음 연구개음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 [m]〈m〉
[mʲ]〈mh〉
[n] 〈n〉 [nʲ] 〈ń〉 [ɳ] 〈nŷ〉 [ɲ] 〈nh〉 [ŋ] 〈ğ〉
파열음 무성음 [p] 〈p〉 [t] 〈t〉 [c] 〈ť〉
[cʰ] 〈þ〉
[k] 〈k〉
[kʰ] 〈q〉
유성음 [b] 〈b〉 [d] 〈d〉 [ɟ] 〈ď〉 [g] 〈g〉
파찰음 무성음 [ts] 〈ç〉 [tʃ] 〈çh〉 [tsʲ] 〈ḉ〉 [ʈʂ] 〈çż〉
유성음 [dz] 〈c〉 [dʒ] 〈ch〉 [dzʲ] 〈ć〉 [ɖʐ] 〈cż〉
마찰음 무성음 [ɸ] 〈ph〉 [f] 〈f〉 [θ] 〈th〉 [s] 〈s〉 [ʃ] 〈sh〉 [sʲ] 〈ś〉 [ʂ] 〈sż〉 [ç] 〈ťh〉
[çʰ]〈þh〉
[x] 〈kh〉 [h] 〈h〉
유성음 [β] 〈bh〉 [v] 〈f〉 [ð] 〈dh〉 [z] 〈z〉 [ʒ] 〈zh〉 [zʲ] 〈ź〉 [ʐ] 〈ż〉 [ʝ] 〈ďh〉 [ɣ] 〈gh〉 [ʁ] 〈qh〉
탄음 [ɾ] 〈r〉/〈rh〉 [ɾʲ]〈ŕ〉 [ɽ] 〈ṙ〉
전동음 [r] 〈rr〉 [ʀ] 〈ř〉
접근음 [w]〈vh〉
[ʋ]〈w〉
[j] 〈j〉 [ɰ] 〈wh〉
설측 접근음 [l] 〈l〉 [lʲ] 〈ĺ〉 [ɭ] 〈lŷ〉 [ʎ] 〈lh〉
표기 발음
Fh [ð̞] / [ʔ] / 묵음
Ɯ [ɥ]
X [ks]
Xh [kts]

ğ의 발음

ğ는 원칙적으로 [ŋ]의 발음을 가지나, ğ의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양하게 나타난다. 원칙적으로 ğ가 [ŋ]의 발음을 가질려면 연구개음(k, kh, g, gh, q, wh, ğ)과 구개수음(qh, ř), 성문음(h, fh) 앞에서 발현되며, 그 외 환경에서는 ğh로 표기했을때 발현된다. ğ가 모음 뒤에 오고, ğ는 모음의 비음화를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모음

전설모음 중설모음 후설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평순 원순
고모음
í ü y î ů u
ì ű ý â ŭ ù
근고모음
i ú
ㅤㅤㅤㅤㅤㅤ ㅤㅤㅤㅤㅤㅤ ㅤㅤㅤㅤㅤㅤ ㅤㅤㅤㅤㅤㅤ ㅤㅤㅤㅤㅤㅤ ㅤㅤㅤㅤㅤㅤ
중고모음
e ă o
é ò
중저모음
è ö å
ê ő ó
저모음
ㅤㅤㅤㅤ a
á

명사

격변화

일반명사

대명사

동사

  1. 2024년 6월 29일 00시 10분 25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