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ĈLEGE |
---|
이츨레게 왕국 · 이츨레게어 · 하느님, 황제를 지켜주소서! |
사용 국가 | ![]() |
---|---|
어순 | SVO |
유형 | 굴절어 |
언어코드 | IN-IC |
사전 | [ 이츨레게어_사전] |
공용어 및 표준 | |
공용어로 쓰는 나라 |
![]() |
표기문자 | 피페레 문자, 라틴문자 |
이츨레게어는 이츨레게 왕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역사
음운론
양순 | 순치 | 치경 | 후치경 | 경구개 | 연구개 | |||||||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무성 | 유성 | |
파열 | p | b | t | d | k 〈k〉 |
g 〈g〉 | ||||||
비 | m | n | ŋ 〈n/ng〉 | |||||||||
전동 | r | |||||||||||
마찰 | f | v | s 〈s/x〉 |
z 〈z/x〉 |
ʃ | ʒ ~ d͡ʒ 〈ĝ〉 |
||||||
파찰 | t͡s 〈ts/tz/ĉ〉 |
(d͡z) 〈z/ĝ〉 |
||||||||||
접근 | j | |||||||||||
설측접근 | l | |||||||||||
양순접근음 | ||||||||||||
무 | 유 | |||||||||||
접근 | w |
모음
전설 | 중설 | 후설 | |||
---|---|---|---|---|---|
평순 | 원순 | 평순 | 원순 | 원순 | |
고 | i | (y) | u | ||
중고 | e | (ø) | o | ||
중 | ə 〈e/r〉 |
||||
저 | a |
발음 규칙
- 단음절을 제외하고 2음절 이상이고 단어가 e로 끝날 때 어미 e는 생략하고 발음한다.
- r/k,l,s + -ed, -et, -en, em 등은 e만 생략한다.
- e/i/o + -r에서 -r은 /ə/로 바뀐다.
예시
Ģire [지레] (x) / Ģire [지어] (o)
Ģired [지어] (x) / Ģired [지어드] (o)
gersen [게르슨] (x) / gersen [게어슨] (o)
문법
자세한 내용은 이츨레게어/표준 문서를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