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2대표이미지.png
오팔투구오인류이다.

오팔투(사삼오일: 582) 또는 초월기계족구오의 영토에 해당하는 북메디아 대륙의 최북단에 밀집하여 생활하는 신체가 기계로 구성된 종족이다.

구오의 영토 면적에 비해 오팔투의 개체 수는 적은 편인데, 아미르비아 탐험대에 의하면 구오가 발견될 당시에 조사된 오팔투의 개체수는 전부 합쳐서 100체를 넘지 않는다고 한다.

+
테두리582대표이미지.png
개체 편제 [ 펼치기 · 접기 ]
비가동 개체[1]
§ 구역 방어기 † § 단 참모기묻는 개체 채광하는 개체 ? 지우는 개체 ?
청백톱니바퀴.svg
구오 관련 문서
95구오 582오팔투 4351사삼오일 95 42외교 9259역사 9 { 13ϙ }지리 및 행정구역 492 96군사 4351참기름

각종 언어 표기

언어 명칭+
구오 사삼오일 582, 95.582[2]
바샨니 바샨니어 Keshaaki
시메타시스 시메타시스어 Sasamoil
이렘나 철랑대 이렘나어 s'Aupaiyltu
자소크 철학단 자소크어 Opaltu
크리상치아 왕국 크리상테스어 l’Opaltouos
앙둔 제국 헤이어 Opaltu
대한민국 한국어 오팔투
영국 영어 Opaltwo
일본 일본어 オパルツー

기관

오팔투가 다른 인간형 종족에 비해 가장 도드라지는 특징은 신체가 기계적인 기관으로 구성되어있다는 점이다. 이와 더불어 오팔투는 개체에 따른 외관이나 구조의 통일성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다만, 개체가 살아서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신체 기관의 집합은 정해져 있는데, 이러한 기관들을 주요 기관이라고 한다. 오팔투는 주요기관을 각각 하나 이상씩 갖고 있다.

개체가 살아서 움직이기 위해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오팔투로 분류되는 개체들은 소통을 위한 기관도 갖는다. 이는 다른 개체와 소통할 수 없는 개체는 오팔투로 분류하지 않기 때문이다. 입력 기관출력 기관을 각각 하나 이상씩 가지고 있는 개체만이 오팔투로 분류된다. 입력 기관과 출력 기관을 하나로 묶어서 통신 기관이라고 부른다.

주요 기관

오팔투의 주요 기관에는 다음이 있다.

  • 동력 기관
  • 기억 기관
  • 연산 기관
  • 클럭 생성기

통신 기관

입력 기관

오팔투의 입력 기관에는 다음이 있다.

  • 진동 감지 기관
  • 조도 감지 기관
  • 전기 신호 감지 기관

출력 기관

오팔투의 출력 기관에는 다음이 있다.

  • 진동 기관
  • 발광 기관
  • 전기 신호 발생 기관

존속

오팔투의 번식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오팔투는 번식을 통해 개체수를 늘리지 않으며, 때문에 각 개체는 성별을 가지지 않는다는 결론이 나왔다.

구오의 학자인 구이치 무오야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기동 중인 대부분의 개체는 갑자기 요람의 제단 위에서 나타나, 가장 먼저 그 개체를 발견한 다른 개체에 의해 보호되어 기초적인 교육을 받았다고 한다.[3]

모든 오팔투 개체를 통틀어 가장 마지막에 나타난 구이치 원빵서니의 출생년도가 아무리 늦더라도 자소크력 제1천년기 후반일 것으로 추정되므로, 근 수천 년 동안 새로운 개체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앞으로도 새로운 개체가 나타날 가능성은 희박할 것이라고 구오와 자소크 철학단의 학자들은 예상하고 있다.

개체와 개체명

오팔투 개체는 고유한 식별명을 갖지 않는 대신 직업이나 개체 특성을 호칭으로 갖는다. 이러한 호칭을 개체명이라고 한다. 개체명은 바뀌거나 계승될 수 있다.

전술 개체명

전술 개체명(사삼오일: 492 91 426)은 전투 및 특수 임무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작전을 전개할 때에 한하여 사용하는 개체명으로, 자소크력 3190년경에 파랑 기병대의 공격을 방어하는 과정에서 구이치 무오야에 의해 처음 제시되었다.

전개 중인 작전과 관련하여 개체간 통신을 할 때에는 작전 내에서 맡은 역할에 따라 개체명을 붙이고 호출한다. 예컨데 구이치 무오야가 파랑 기병대 격퇴 작전 중에 작전대를 지휘하는 참모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면, 작전 중에는 구이치 무오야 (91 658)라는 개체명 대신에 '작전대 참모'라는 의미의 구로쿠 시쿠이 (96 492)라는 전술 개체명을 사용한다.

도보게

각주

  1. [§ -] 전술 개체명. [- †] 사망한 개체명. [- ?] 미확인 개체명.
  2. 구오인(-人). 현재는 오팔투 이외의 민족도 구오의 영토에 거주하기 때문에 오팔투를 가르키는 말보다는 구오에 거주하는 국민을 이르는 말이 되었다.
  3. 예외적으로 구이치 원빵서니는 다른 개체의 보호와 교육을 받은 기록이 없다고 한다. 구이치 원빵서니가 스스로 움직여서 요람 밖으로 나가는 것을 보았다는 구이치 오센의 목격 정보도 있다.
  4. 2025년 4월 19일 21시 36분 29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