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 궤간 ===
=== 궤간 ===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각 노선의 지선은 본선과 같은 궤간을 따른다.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각 노선의 지선은 본선과 같은 궤간을 따른다.
* A : 아트리아 궤간 (1,500mm)
* A : 아트레니스카 궤간 (1,500mm) <ref>[[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에서 표준 궤간으로 지정하였다.</ref>
* K : 코르 궤간
* K : 코르 궤간
* Z : 자소크 궤간
* Z : 자소크 궤간
21번째 줄: 21번째 줄:


== 노선 ==
== 노선 ==
아래는 자소크력 4781년 (한카력 12972년) 기준이다.
아래는 자소크력 4909년 (한카력 13100년) 기준이다.


=== 일반철도 ===
=== 일반철도 ===
54번째 줄: 54번째 줄:
* 아트리아
* 아트리아
** [[북아트리아 횡단철도]] (A) : [[부흐키옹]]~[[포레빌]] 🚂 <ref>[[한카 산맥]]을 통과하는 스위치백 구간 때문에, 고속열차가 운행하지 못한다.</ref>
** [[북아트리아 횡단철도]] (A) : [[부흐키옹]]~[[포레빌]] 🚂 <ref>[[한카 산맥]]을 통과하는 스위치백 구간 때문에, 고속열차가 운행하지 못한다.</ref>
*** 레조넌스 지선 : [[킴산]]~레조넌스 🛤 <ref>피페레 이북 구간에 고속열차를 운행하기 위해 계획되었다.</ref>
*** [[레스하이]] 지선 : [[로토시아]]~[[레스하이]] 🚂
*** [[레스하이]] 지선 : [[로토시아]]~[[레스하이]] 🚂
*** [[에뢴게레티]] 지선 : [[제로소]]~[[주아트리아 산업단지]] 🚂
*** [[에뢴게레티]] 지선 : [[제로소]]~[[주아트리아 산업단지]] 🚂
** [[남아트리아 횡단철도]] (A) : [[남키옹]]~[[러냐 신정국]] 🚅
** [[남아트리아 횡단철도]] (A) : [[남키옹]]~[[러냐 신정국]] 🚅
*** [[뤼미에르]] 지선 : [[다이림]]~[[끌레르]] 🚅, [[끌레르]]~[[니트]]~[[천도]] 🛤
*** [[뤼미에르]] 지선 : [[다이림]]~[[끌레르]] 🚅, [[끌레르]]~[[니트]]~[[천도]] 🛤
** [[동아트리아 종단철도]] (A) : [[한하이]]~[[부흐키옹]] 🚅, [[부흐키옹]]~[[란시케]] 🚧 <ref>[[아트레니스카 대교]]를 통해 레니스카 순환철도와 연결 예정</ref>
** [[동아트리아 종단철도]] (A) : [[한하이]]~[[부흐키옹]]~[[란시케]] 🚅 <ref>[[아트레니스카 대교]]를 통해 레니스카 횡단철도와 직결</ref>
** [[서아트리아 종단철도]] (A) : [[러나 신정국]]~[[로토시아]] 🛤
** [[서아트리아 종단철도]] (A) : [[러냐 신정국]]~[[로토시아]] 🛤
** 한카 철도 : [[한카 교회국/철도]] 참고.


* 레니스카
* 레니스카
** [[레니스카 순환철도]] (A) : [[에벵그즈]]~[[지야미레]] 🚧
** [[레니스카 횡단철도]] (A) : [[란시케]]~[[에벵그즈]] 🚅, [[에벵그즈]]~[[플리오센]] 🛤
*** [[엔지]] 지선 : [[이룰]]~[[하나세티]]~[[지야미레]] 🚅


* 탄티샤
* 탄티샤

2022년 9월 18일 (일) 04:49 판

본 문서에서는 사트의 철도교통에 관하여 서술한다.

지도

Railroad of sat.png 점선으로 표시된 구간은 철도연락선을 통하여 연결하는 구간이다. [3]

분류

궤간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각 노선의 지선은 본선과 같은 궤간을 따른다.

  • A : 아트레니스카 궤간 (1,500mm) [4]
  • K : 코르 궤간
  • Z : 자소크 궤간

열차 운행

  • 🚅 고속열차 운행 중
  • 🚂 일반열차 운행 중
  • 🚧 공사 중
  • 🛤 계획 중

노선

아래는 자소크력 4909년 (한카력 13100년) 기준이다.

일반철도

도시철도

  • 북메디아
  • 남메디아
  • 펠레마
  • 아트리아
  • 레니스카
  • 탄티샤

도보게

각주

  1. 2024년 6월 26일 04시 31분 36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위 지도에서 '구상 중'으로 표시된 구간은 현재 한카 교통청의 구상만 반영되어 있다. 타국에서 구상하고 있는 노선을 고려하여 수정 바람.
  4. 아트레니스카 조약기구에서 표준 궤간으로 지정하였다.
  5. 남메디아와 북메디아에 걸쳐있음
  6. 철도연락선을 통해 남아트리아 횡단철도와 직결
  7. 한카 산맥을 통과하는 스위치백 구간 때문에, 고속열차가 운행하지 못한다.
  8. 피페레 이북 구간에 고속열차를 운행하기 위해 계획되었다.
  9. 아트레니스카 대교를 통해 레니스카 횡단철도와 직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