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각 노선의 지선은 본선과 같은 궤간을 따른다.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각 노선의 지선은 본선과 같은 궤간을 따른다.
* A : 아트리아 궤간 (1,500mm)
* A : 아트리아 궤간 (1,500mm)
* K : 코르 궤간
* Z : 자소크 궤간
* Z : 자소크 궤간


25번째 줄: 26번째 줄:


* 북메디아
* 북메디아
** [[메디아 해협 횡단철도]] (K) : [[퓌메]]~[[에카르]] 🚅
*** [[오펠]] 지선 : [[오펠]]~[[에카르]] 🚅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철도#타이티위그선|메디아 해협 종단철도]] (K) : [[에카르]]~[[쿠네르]] 🚅<ref>남메디아와 북메디아에 걸쳐있음</ref>
** 코르 철도 (K) : [[밀리토호스 타코뤼 왕국/철도]] 참조 🚅
*** 주노데선 [[레가]]~[[주노데]] 🛤
*** 앙둔선 : [[레가]]~[[앙둔 제국]] 🛤
*** 아르토이트선 : [[레가]]~[[아르토이트 제국]] 북부, [[타네스]]~[[아르토이트 제국]] 🛤
** 북메디아 전역철도
*** 프로트메디에르선 : [[구오]]~[[이렘나 철랑대]] 🛤
*** 오이투포선 [[자텐다 황금전단]]~[[도르나라]] 🛤
*** 서북메디아선 : [[가베 제국]]~[[칼리신 공화국]] 🛤
*** 야마토선 [[에이엔 공민공화국]]~ [[야마토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북부 🛤
*** 노나티오선 : [[에이큐 공민공화국]]~[[아마야스 주 정부]]🛤
*** 세이안선 : [[가베 제국]]~[[세이안 왕국]]🛤
* 남메디아
* 남메디아
** [[메디아 해협 횡단철도]] (K) : [[쿠네르]]~[[세멘티 공국/지리 및 행정구역#바리엘 후작령|바리엘]] 🚅
*** [[타뤼페]] 지선 : [[타뤼페]]~[[세멘티 공국/지리 및 행정구역#바리엘 후작령|바리엘]] 🚅
** 남메디아 전역철도
*** 에카넥선 : [[에카넥 왕국]]~[[주남메디아 산업단지]] 🛤
*** 아르토이트선 : [[세멘티 공국/지리 및 행정구역#실 레위니스 백작령|실 레위니스]]~[[베하니아]] 🛤
*** 에스라스타선 : [[베하니아]]~[[에스라스타 왕국]] 동부 🛤
* 펠레마
* 펠레마
** [[펠레마 횡단철도]] (A) : [[러냐 신정국]] 동부 구간 🚂 <ref>철도연락선을 통해 남아트리아 횡단철도와 직결</ref>
** [[펠레마 횡단철도]] (A) : [[러냐 신정국]] 동부 구간 🚂 <ref>철도연락선을 통해 남아트리아 횡단철도와 직결</ref>
* 아트리아
* 아트리아
** [[북아트리아 횡단철도]] (A) : [[부흐키옹]]~[[포레빌]] 🚂 <ref>[[한카 산맥]]을 통과하는 스위치백 구간 때문에, 고속열차가 운행하지 못한다.</ref>
** [[북아트리아 횡단철도]] (A) : [[부흐키옹]]~[[포레빌]] 🚂 <ref>[[한카 산맥]]을 통과하는 스위치백 구간 때문에, 고속열차가 운행하지 못한다.</ref>
36번째 줄: 60번째 줄:
** [[동아트리아 종단철도]] (A) : [[한하이]]~[[부흐키옹]] 🚅, [[부흐키옹]]~[[란시케]] 🚧 <ref>[[아트레니스카 대교]]를 통해 레니스카 순환철도와 연결 예정</ref>
** [[동아트리아 종단철도]] (A) : [[한하이]]~[[부흐키옹]] 🚅, [[부흐키옹]]~[[란시케]] 🚧 <ref>[[아트레니스카 대교]]를 통해 레니스카 순환철도와 연결 예정</ref>
** [[서아트리아 종단철도]] (A) : [[러나 신정국]]~[[로토시아]] 🛤
** [[서아트리아 종단철도]] (A) : [[러나 신정국]]~[[로토시아]] 🛤
* 레니스카
* 레니스카
** [[레니스카 순환철도]] (A) : [[에벵그즈]]~[[지야미레]] 🚧
** [[레니스카 순환철도]] (A) : [[에벵그즈]]~[[지야미레]] 🚧
* 탄티샤
* 탄티샤
** 자소크 철도 (Z) : [[자소크 철학단/철도]] 참조 🚅
** 자소크 철도 (Z) : [[자소크 철학단/철도]] 참조 🚅

2022년 9월 12일 (월) 10:30 판

본 문서에서는 사트의 철도교통에 관하여 서술한다.

지도

Railroad of sat.png 점선으로 표시된 구간은 철도연락선을 통하여 연결하는 구간이다. [3]

분류

궤간

특별한 표시가 없으면 각 노선의 지선은 본선과 같은 궤간을 따른다.

  • A : 아트리아 궤간 (1,500mm)
  • K : 코르 궤간
  • Z : 자소크 궤간

열차 운행

  • 🚅 고속열차 운행 중
  • 🚂 일반열차 운행 중
  • 🚧 공사 중
  • 🛤 계획 중

노선

아래는 자소크력 4781년 (한카력 12972년) 기준이다.

일반철도

도시철도

  • 북메디아
  • 남메디아
  • 펠레마
  • 아트리아
  • 레니스카
  • 탄티샤

도보게

각주

  1. 2024년 6월 28일 23시 57분 09초 기준. 미디어위키 표현식의 한계에 의해서 이 값은 정확하게 나타나기 힘들다. 정확한 값을 얻기 위해서는 사트/표준#Python 구현에서 설명하는 방법을 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디스코드 서버에는 차단된 사람이 아니라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습니다.
  3. 위 지도에서 '구상 중'으로 표시된 구간은 현재 한카 교통청의 구상만 반영되어 있다. 타국에서 구상하고 있는 노선을 고려하여 수정 바람.
  4. 남메디아와 북메디아에 걸쳐있음
  5. 철도연락선을 통해 남아트리아 횡단철도와 직결
  6. 한카 산맥을 통과하는 스위치백 구간 때문에, 고속열차가 운행하지 못한다.
  7. 아트레니스카 대교를 통해 레니스카 순환철도와 연결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