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지명) |
편집 요약 없음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트}} | {{사트}} | ||
[[분류:지리]] | |||
{{아트리아 지도}} | {{아트리아 지도}} | ||
동경 110°에서 날짜변경선을 지나 서경 155°까지 이르는 남반구의 대륙. | 동경 110°에서 날짜변경선을 지나 서경 155°까지 이르는 남반구의 대륙. |
2022년 6월 18일 (토) 11:57 판
동경 110°에서 날짜변경선을 지나 서경 155°까지 이르는 남반구의 대륙.
개요
아트리아는 사트의 대륙이다. 동쪽에는 레니스카가 있고, 서쪽으로는 펠레마와 접하고 있다.
명칭 | |
---|---|
자소크어 |
Atria |
헤이어 |
Atria |
![]() 한국어 |
아트리아 |
![]() 영어 |
Atria |
![]() 일본어 |
アトリア |
![]() 한문 |
亞突亞 |
안드로어 |
dkxmfldk |
메다어 |
jf'gydjf |
상세
아트리아는 사트의 대륙 중에서 가장 최남단까지, 즉 남극야선을 넘어서까지 다다르는 곳이다. 바다의 경우 동쪽으로는 아트레니스카, 남쪽으로는 티펠라트리아 및 여러 내해와 해협, 북쪽으로는 메티샤와 인접한다. 이들 중에서 아트레니스카는 아트리아와 레니스카, 티펠라트리아는 티카와 펠레마-아트리아에서 따와 명명된 것으로 아트리아의 명칭이 그대로 드러나있다.
대륙의 경우 동쪽으로는 아트레니스카를 거쳐 레니스카, 남쪽으로는 티펠라트리아를 거쳐 티카, 북쪽으로는 메티샤를 거쳐 탄티샤와 접한다.
서쪽으로는 펠레마와 육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이에 펠라트리아해도 존재한다. 멀긴 하지만 북메디아까지도 역시 육로로 통한다. 이렇듯이 북메디아, 남메디아, 펠레마, 아트리아 4개 대륙은 사트에서 유일하게 육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들을 묶어 메펠라트리아라고 칭한다. 아트리아의 국가들은 예로부터 이 육로를 통해 활발하게 교류를 해왔다.
구성국
+ 서아트리아의 국가와 지역 | |||
---|---|---|---|
응크 |
![]() 칼로이디아 |
![]() 피페레 |
+ 북아트리아의 국가와 지역 | |||
---|---|---|---|
무르무르섬 |
![]() 두말린 ![]() |
호락존 안도 | |
![]() 피페레 |
![]() 라삼 헌국 |
무르무르섬(3204. 2. 11 ~)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5321. 8. 20 ~)
호락존 안도(4787. 1. 6 ~)
피페레 제국(2003. 3. 10 ~)
라삼 헌국(5524. 2. 14 ~)[3]
+ 남아트리아의 국가와 지역 | |||
---|---|---|---|
![]() 이츨레게 |
![]() 타이림 |
![]() 아나이 | |
![]() 파룸 |
뤼미에르 | ||
![]() 천도 |
![]() 키고 |
티펠라트리아 국가평의회(5305. 1. 1 ~)
이츨레게 왕국(4083. 0. 0 ~)
+ 동아트리아의 국가와 지역 | |||
---|---|---|---|
![]() 피페레 |
피페레 제국(2003. 3.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