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 요약 없음 |
Rainykaya2 (토론 | 기여) |
||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사트}} | {{사트}} | ||
{{나라 정보 | {{나라 정보 | ||
| 기여자 = | | 기여자 = | ||
| 현지이름 = | | 현지이름 = ايت گۋادٴىنە راسسامى | ||
| 다른표기 = Tainatio die | | 다른표기 = Tainatio die Lasam | ||
| 나라이름 = 라삼 헌국 | | 나라이름 = 라삼 헌국 | ||
| 국기_그림 = 라삼 헌국.png | | 국기_그림 = 라삼 헌국.png | ||
| 문장_그림 = | | 문장_그림 = | ||
| 나라_표어 = | | 나라_표어 = بۋامھجگۇا ادھ مۇۋافىنح مىڭاحس تونناشۋگۋاح ناڭٴىـجانڭوجٴـىماحد | ||
| 나라_표어_설명 = 칼과 태양, 우리는 영원히 충성하리. | | 나라_표어_설명 = 칼과 태양, 우리는 영원히 충성하리. | ||
| 국가 = | | 국가 = | ||
38번째 줄: | 36번째 줄: | ||
| 멸망 = | | 멸망 = | ||
| 이후_형태 = | | 이후_형태 = | ||
| 지도_그림 = | | 지도_그림 = {{지도 크롭/경위도|lat=-164|long=-7|size=1.8|width=320|height=180}} | ||
| 지도_그림_설명 = | | 지도_그림_설명 = 란카헤 반도 끄트머리와 아트리아 제도에 걸친 붉은색 국가 | ||
| 수도 = 아이트와일 | | 수도 = 아이트와일 | ||
| 수도위치 = | | 수도위치 = | ||
71번째 줄: | 69번째 줄: | ||
| 기대_수명 = | | 기대_수명 = | ||
| 수명조사년도 = | | 수명조사년도 = | ||
| 공용어 = {{국기그림|라삼 헌국}} [[ | | 공용어 = {{국기그림|라삼 헌국}} [[나시몬드어]] | ||
| 공용문자 = 아랍 문자 | | 공용문자 = 아랍 문자 | ||
| 지역어 = {{국기그림|란카헤 연방}} [[크랖토스젠]]<br>{{국기그림|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자수르만어]] | | 지역어 = {{국기그림|란카헤 연방}} [[크랖토스젠]]<br>{{국기그림|사흐러이스탄 부족연맹}} [[자수르만어]] | ||
105번째 줄: | 103번째 줄: | ||
| 2자코드 = RS | | 2자코드 = RS | ||
| 3자코드 = RSH | | 3자코드 = RSH | ||
| 한자약칭 = | | 한자약칭 = 喇 | ||
| 한자음 = | | 한자음 = 라 | ||
}} | }} | ||
== 개요 == | == 개요 == | ||
[[라삼 헌국]]<small>([[라삼어]]: | [[라삼 헌국]]<small>([[라삼어]]: ايت گۋادٴىنە راسسامى)</small>는 [[두말린 제도]]에 위치한 헌국이다. [[나시몬드인]]들은 자소크 계통의 도서거주민으로, 그 기원은 [[두말린 제도]]와 [[무르무르]]와 일치한다. 라삼 헌국의 영토는 본래 [[란카헤 연방]] 소속의 '신네 란부세'라고 하는 지역이자 라바힌 문명의 시발점이었으나, [[란카헤 연방]]의 멸망 이후 혼란시기 [[나시몬드인]]들의 시조가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자소크 문명권의 일부가 된다. | ||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가 설립된 이래로 [[두말린 제도]]의 자체적 불안에 의해 나시몬드 문명의 기반이 되는 자소크 계통 도서거류민의 이주는 가속화되었으며, 52세기 후반부터 [[AR 그룹]] 소속 [[AR 베센]] 및 소노르인들이 주축이 되는 살리오르 해적단의 영향을 받아 [[어스몬 신앙]]으로 개종하기 시작한다. [[5509년 대격변]]이 발생하기 이전부터 [[신네 란부세]]의 소속 지역 유지들이 하나 둘씩 '베크'를 선언하며 [[어스몬 신앙]]에 귀의하였으며, [[AR 그룹]]의 영향이 |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가 설립된 이래로 [[두말린 제도]]의 자체적 불안에 의해 나시몬드 문명의 기반이 되는 자소크 계통 도서거류민의 이주는 가속화되었으며, 52세기 후반부터 [[AR 그룹]] 소속 [[AR 베센]] 및 소노르인들이 주축이 되는 살리오르 해적단의 영향을 받아 [[어스몬 신앙]]으로 개종하기 시작한다. [[5509년 대격변]]이 발생하기 이전부터 [[신네 란부세]]의 소속 지역 유지들이 하나 둘씩 '베크'를 선언하며 [[어스몬 신앙]]에 귀의하였으며, [[AR 그룹]]의 영향이 커질수록 개종에 박차가 가해졌다. | ||
[[5509년 대격변]]으로 인해 [[신네 란부세]]의 국운이 기울기 시작하면서 [[신네 란부세]] 소속의 헌들이 일제히 국가에 반기를 일으키게 된다. 그들은 '불신자'에 해당하는 원지배층들에 대한 성전을 선포하고, 살리오르 해적단의 도움을 받아 신네 란부세 대부분 강역을 차지하게 된다. 그들은 이제는 피지배층이 된 란카헤인들에게 개종 또는 노예화를 강요하였으며, [[어스몬 신앙]]에 기반하여 새로운 질서를 정립하고, 영주중 가장 세력이 강했던 라삼 가문을 헌으로 선출한다. 이것이 [[라삼 헌국]]의 기원이다. | [[5509년 대격변]]으로 인해 [[신네 란부세]]의 국운이 기울기 시작하면서 [[신네 란부세]] 소속의 헌들이 일제히 국가에 반기를 일으키게 된다. 그들은 '불신자'에 해당하는 원지배층들에 대한 성전을 선포하고, 살리오르 해적단의 도움을 받아 신네 란부세 대부분 강역을 차지하게 된다. 그들은 이제는 피지배층이 된 란카헤인들에게 개종 또는 노예화를 강요하였으며, [[어스몬 신앙]]에 기반하여 새로운 질서를 정립하고, 영주중 가장 세력이 강했던 라삼 가문을 헌으로 선출한다. 이것이 [[라삼 헌국]]의 기원이다. | ||
[[라삼 헌국]]은 | [[라삼 헌국]]은 [[두말린 제도]]를 기반으로 [[어스몬 신앙]]의 포교 중심지로 활동하고 있다. | ||
== 명칭 == | == 명칭 == | ||
{{사트 언어|2 | {{사트 언어|2 | ||
| 처음언어 = {{국기그림|라삼 헌국}} [[ | | 처음언어 = {{국기그림|라삼 헌국}} [[나시몬드어]] | ||
| 처음언어_내용 = | | 처음언어_내용 = ايت گۋادٴىنە راسسامى | ||
| 뎅구르어 = | | 뎅구르어 = | ||
| 바란어 = | | 바란어 = | ||
| 바샨니어 = | | 바샨니어 = | ||
| | | 소노르어 = Hanate av Ressames | ||
| 아르토이트어 = | | 아르토이트어 = | ||
| 이렘나어 = | | 이렘나어 = | ||
| 자소크어 = Tainatio die | | 자소크어 = Tainatio die Lasam | ||
| 자수르만어 = | | 자수르만어 = راساما حانليگي | ||
| 자텐다어 = | | 자텐다어 = | ||
| | | 크리상치아어 = | ||
| 트라벨레메 = | | 트라벨레메 = | ||
| 헤이어 = | | 헤이어 = | ||
137번째 줄: | 135번째 줄: | ||
| 한국어 = 라삼 헌국 | | 한국어 = 라삼 헌국 | ||
| 일본어 = | | 일본어 = | ||
| 영어 = | | 영어 = Rassamid Khanate | ||
| 한문 = | | 한문 = | ||
}} | }} | ||
154번째 줄: | 152번째 줄: | ||
== 문화 == | == 문화 == | ||
{{본문|라삼 헌국/문화}} | |||
[[라삼 헌국]]의 문화는 무르무르와 두말린으로 대표되는 도서자소크문화와 유사한 형질을 지닌다. 열기를 제하기 위해 최대한 살갗을 옷으로 덮는 듯한 의복문화를 가지고있으며, [[어스몬 신앙]]의 영향으로 인하여 '여성의 눈' 법칙을 적용시킨 복식을 착용한다. [[라삼 헌국]]의 여성 복식은 [[어스몬 신앙]] 문화권 중 가장 보수적이며, 두부 및 목 전체를 덮는 '세디와드'라는 특수한 의복이 존재한다. | |||
[[라삼 헌국]]은 종교적으로도 보수적인 편으로, [[자소크]], [[피페레 제국]], [[셰스카테]]와 같은 주위 세력에 대한 경계 및 배척이 종교적 보수성으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 |||
라삼 헌국은 [[비아드 아잇 디와스]]<ref>도스 비아나라는 [[란카헤]]식 명칭으로 더 잘 알려져있다.</ref>라는 무역 거점을 중심으로 아트리아 북부와 아트리아 제도에서 삼각무역 및 노예무역에 집중하고 있다. 라삼 헌국의 대부분의 영토는 값어치가 나가는 향신료의 주 산지이며, '자향'이라 불리는 향신료는 [[라삼 헌국]]이 사트 전체 생산량의 80%를 담당하고 있다. 라삼 헌국은 그 자체만으로도 거대한 노예시장이며, 아트리아의 해안에서 납치된 수많은 불신자들이 [[라삼 헌국]]을 거쳐 [[북메디아]]로 이송된다. | |||
== 경제 == | == 경제 == | ||
178번째 줄: | 181번째 줄: | ||
== 생태와 생물군계 == | == 생태와 생물군계 == | ||
{{본문| | {{본문|라삼 헌국/생태와 생물군계}} | ||
== 도보게 == | == 도보게 == | ||
{{서레니스카 구성국}} | |||
== 각주 == | == 각주 == | ||
[[분류:기타 국가]] |
2025년 3월 14일 (금) 12:21 기준 최신판
ايت گۋادٴىنە راسسامى+ Tainatio die Lasam | ||
---|---|---|
라삼 헌국 | ||
| ||
표어 | بۋامھجگۇا ادھ مۇۋافىنح مىڭاحس تونناشۋگۋاح ناڭٴىـجانڭوجٴـىماحد 칼과 태양, 우리는 영원히 충성하리. | |
상세 정보 | ||
[ 펼치기 · 접기 ] |
상징색 | 라삼블론드(#931E1F) 라삼화이트(#ffffff) |
---|---|
역사 | |
건국 | 5524년 2월 14일 |
지리 | |
란카헤 반도 끄트머리와 아트리아 제도에 걸친 붉은색 국가 | |
수도 | 아이트와일 |
최대도시 | 비아드 아잇 디와스 |
문화권 | 자소크 문화권 ⟩ 나시몬드 문화 |
인구 | |
인구 | 2,443,720명 (5520년) |
민족 분포 | 나시몬드인 36% 란카헤인 47% 피루인 11% 사우카인 3% 소노르인 2% 기타 1% |
어문 | |
공용어 | ![]() |
공용문자 | 아랍 문자 |
지역어 | ![]() |
종교 | |
국교 | 어스몬 신앙 |
종교 분포 | 어스몬 신앙 76% |
최대종교 | 어스몬 신앙 |
정치 | |
정치체제 | 헌국 |
헌 | [[]] |
경제 | |
통화 | 자소크 테로[3] (Ŧ) |
단위 | |
기년법 | 어스몬력 |
국가 코드 | |
2자코드 | RS |
3자코드 | RSH |
한자약칭 | 喇(라) |
개요
라삼 헌국(라삼어: ايت گۋادٴىنە راسسامى)는 두말린 제도에 위치한 헌국이다. 나시몬드인들은 자소크 계통의 도서거주민으로, 그 기원은 두말린 제도와 무르무르와 일치한다. 라삼 헌국의 영토는 본래 란카헤 연방 소속의 '신네 란부세'라고 하는 지역이자 라바힌 문명의 시발점이었으나, 란카헤 연방의 멸망 이후 혼란시기 나시몬드인들의 시조가 이주하기 시작하면서 자소크 문명권의 일부가 된다.
셰스카테령 두말린 제도가 설립된 이래로 두말린 제도의 자체적 불안에 의해 나시몬드 문명의 기반이 되는 자소크 계통 도서거류민의 이주는 가속화되었으며, 52세기 후반부터 AR 그룹 소속 AR 베센 및 소노르인들이 주축이 되는 살리오르 해적단의 영향을 받아 어스몬 신앙으로 개종하기 시작한다. 5509년 대격변이 발생하기 이전부터 신네 란부세의 소속 지역 유지들이 하나 둘씩 '베크'를 선언하며 어스몬 신앙에 귀의하였으며, AR 그룹의 영향이 커질수록 개종에 박차가 가해졌다.
5509년 대격변으로 인해 신네 란부세의 국운이 기울기 시작하면서 신네 란부세 소속의 헌들이 일제히 국가에 반기를 일으키게 된다. 그들은 '불신자'에 해당하는 원지배층들에 대한 성전을 선포하고, 살리오르 해적단의 도움을 받아 신네 란부세 대부분 강역을 차지하게 된다. 그들은 이제는 피지배층이 된 란카헤인들에게 개종 또는 노예화를 강요하였으며, 어스몬 신앙에 기반하여 새로운 질서를 정립하고, 영주중 가장 세력이 강했던 라삼 가문을 헌으로 선출한다. 이것이 라삼 헌국의 기원이다.
라삼 헌국은 두말린 제도를 기반으로 어스몬 신앙의 포교 중심지로 활동하고 있다.
명칭
언어 | 명칭+ |
---|---|
![]() |
ايت گۋادٴىنە راسسامى |
![]() |
Hanate av Ressames |
Tainatio die Lasam | |
![]() |
راساما حانليگي |
![]() |
라삼 헌국 |
![]() |
Rassamid Khanate |
fktka gjsrnr | |
yfnfz mtskbx |
역사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언어
자세한 내용은 라삼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삼 헌국의 주요 언어인 나시몬드어는 자소크어족에 속하는 무르무르어의 일파이다.
지리 및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지리 및 행정구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문화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문화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삼 헌국의 문화는 무르무르와 두말린으로 대표되는 도서자소크문화와 유사한 형질을 지닌다. 열기를 제하기 위해 최대한 살갗을 옷으로 덮는 듯한 의복문화를 가지고있으며, 어스몬 신앙의 영향으로 인하여 '여성의 눈' 법칙을 적용시킨 복식을 착용한다. 라삼 헌국의 여성 복식은 어스몬 신앙 문화권 중 가장 보수적이며, 두부 및 목 전체를 덮는 '세디와드'라는 특수한 의복이 존재한다.
라삼 헌국은 종교적으로도 보수적인 편으로, 자소크, 피페레 제국, 셰스카테와 같은 주위 세력에 대한 경계 및 배척이 종교적 보수성으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라삼 헌국은 비아드 아잇 디와스[4]라는 무역 거점을 중심으로 아트리아 북부와 아트리아 제도에서 삼각무역 및 노예무역에 집중하고 있다. 라삼 헌국의 대부분의 영토는 값어치가 나가는 향신료의 주 산지이며, '자향'이라 불리는 향신료는 라삼 헌국이 사트 전체 생산량의 80%를 담당하고 있다. 라삼 헌국은 그 자체만으로도 거대한 노예시장이며, 아트리아의 해안에서 납치된 수많은 불신자들이 라삼 헌국을 거쳐 북메디아로 이송된다.
경제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경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외교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종족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종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라삼 헌국은 자소크 계통의 나시몬드인들이 주를 이루고, 란카헤인과 기타 종족으로 이루어져있다.
생태와 생물군계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생태와 생물군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마법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마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생태와 생물군계
자세한 내용은 라삼 헌국/생태와 생물군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도보게
+ 서레니스카의 국가와 지역 | |||
---|---|---|---|
![]() 카마르 |
![]() 제리드발로타 |
노베몰마디아 | |
사틸튼퇴 |
![]() 닉세 |
![]() 셰스카테 |
![]() 플리오센 |
![]() 루시코와 |
![]() 랑서국 |
![]() 신세이 |
모하지 ![]() |
카마르 헌국(5521. 7. 10 ~)
제리드발로타 공화국(5010. 08. 14 ~)
노베몰마디아 공화국(5014. 1. 17 ~)
사틸튼퇴 자유시(5518. 3. 2 ~)
닉세 공화국(0000. 0. 0 ~)
셰스카테(5111. 2. 7 ~)
플리오센 공화국(3078. 9. 3. ~)
루시코와(3323. 0. 0 ~)
랑서국(5511. 07. 24 ~)
신세이 왕국(4968. 3. 9 ~)
모하지 공화국(4958. 8. 22 ~)